『정일당유고』의 명에 대한 태도
Attitude of Ming in Jeongildang-yugo
- 주제(키워드) 강정일당 , 정일당유고 , 대부자작(代夫子作) , 명(命) , 공감 , 타인의 명 , 지(志) , Kang Jeongildang , Jeongildang-yugo , ming , empathy , the attitude towards others’ ming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정소이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종교학과
- UCI I804:11029-00000006598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Jeongildang-yugo written by Kang Jeongildang(1772~1832) shows different attitudes toward the ming(命) of oneself and others. Her own poems and brief letters to husband have different attitudes toward ming compared to the writings she ghostwrote for husband. Kang Jeongildang accepted her ming with the will(zhi 志) and sincerely cultivated herself to become a junzi 君子(Confucian sage), not responding emotionally to good and bad lucks. Although she believed that women have moral equality of men and women, both having potential to become a Confucian sage, Kang Jeongildang as a woman of Confucian society shows adherence to gender role and gendered virtue(li 禮). This contradictory attitudes inevitably make conflicts between the virtue of sage and female chastity. The conflicts especially manifest in an emotional dimension since female chastity is relational virtue. Also, Kang Jeongildang actively expresses emotions and empathy towards others’ ming. She is more passionate and emotionally engaged in others’ ming rather than being ‘acceptive’. This attitude towards others’ ming stimulates interaction between people. The rich expression of sympathy for other people’s ming shed light on the human agency. This is because empathy for others stems from an understanding of the other’s context by accumulating mutual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In an inter-participatory relationship, mutual empathy enables oneself to exist as an individual personality with a specific history and emotion, not as one of human beings with universal moral nature.
more초록/요약
강정일당(1772~1832)의 『정일당유고』는 자신의 명(命)과 타인의 명(命)에 대해 각각 다른 양상을 보인다. 이는 자작시 및 남편에게 쓴 짧은 편지(尺牘)와 대부자작(代夫子作; 남편을 대신해서 씀)한 글이 명(命)과 관련된 소재를 다룰 때 보이는 태도의 차이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강정일당은 자신의 명을 지(志)의 태도로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성인(聖人)이 되고자 수양을 하며, 인생의 길흉화복을 주어진 명으로서 수용하여 이에 대한 감정 표현을 절제한다. 강정일당은 유교사회 여성으로서 남성과 같이 성인이 될 수 있다 믿으면서도 동시에 성별에 따른 사회적 기대 및 예를 숙지하고 내면화했다. 이는 필연적으로 성인의 미덕과 여성의 부덕(婦德)의 충돌을 가져왔는데, ‘부덕’이 관계적 맥락에서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감정적 차원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나아가 강정일당은 타인의 명을 대할 때 적극적으로 안타깝고 절실한 공감의 감정을 표하는 태도를 가진다. 이는 ‘수용적’이기보다 외부를 향해 발산되며 적극적으로 인간 간의 상호작용을 이끌어 낸다. 하늘이 내린 길흉화복을 받아들이고, 하늘의 명령을 따르는 기존 자신의 명에 대한 태도와 비교했을 때 타인의 명에 대한 풍부한 공감 표출은 인간 개체의 자율성을 조명한다. 타인에 대한 공감은 관계 속 상호 교류가 축적되어 상대의 맥락에 대한 이해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상호참여 관계 속 주고받는 공감은 상대가 명을 받아들이고 도덕적으로 수양해야 하는 천성을 가진 인간 중 한 명을 넘어서, 구체적인 길흉화복과 감정의 역사를 가진 개별적 인격으로서 존재할 수 있게 한다. 즉, 강정일당 스스로가 사상적으로 고유한 명의 개념을 발전시키지는 않았지만 그녀가 자신의 명을 받아들이고 타인의 명을 대하는 태도를 통해 기존 유교의 명 개념을 자신에게만 귀속된 것이 아닌 타인에게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