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과 의도적 망각에 대한 개관 연구 : 생각/비생각 과제를 중심으로
A review of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ntional forgetting using the Think/No-think Task
- 주제(키워드) 우울 , 반추 , 망각 , 의도적 망각 , 생각/비생각 과제 , depression , rumination , forgetting , intentional forgetting , think/no-think task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향숙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UCI I804:11029-00000006597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우울 집단은 부정적인 생각을 반추하며, 인지적 결함으로 인해 이를 쉽게 잊어버리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부정적인 기억을 잊는 것 역시 정서 조절의 중요한 측면이기에 우울과 망각의 관계를 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울과 의도적 망각을 다룬 연구를 선별하고 분석해 두변수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1년 3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출판된 경험적 연구 문헌 가운데 생각/비생각 과제(Think/No-think Task; TNT)를 사용한 논문 12편을 개관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 연구는 억압 유도 망각이 관찰된 연구 6편, 억압 유도 망각이 관찰되지 않은 연구 6편으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의 비일관성을 (1)참가자 특성 (2)연구 자극 (3)학습 전략 (4)망각 전략의 측면에서 정리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은 우울과 의도적 망각을 포괄적으로 고찰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more초록/요약
Prior studies have investigated that depressed individuals ruminate on negative memories and tend to have difficulty forgetting them due to cognitive deficits. Yet, 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forgetting, as forgetting negative memories is another important aspect of emotional regulation. The present study selected and analyzed a total of 12 previous research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ntional forgetting conducted from March 2001 to November 2020,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experimental research utilizing the think/no-think task. The analysis categorized 12 studies into two groups with six studies each; one observed suppression-induced forgetting but the other one did not. The current study explai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1)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2)stimuli, (3)learning strategies, and (4)forgetting strategies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comprehensive approach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ntional forgetting that has not yet been fully explored within the domestic fiel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discussed in the en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