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기 천주교 선교 문제 연구
A Study on the questions of the Catholic mission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in Korea
- 주제(키워드) 천주교 선교 , 조선 정부 , 프랑스 선교사 , 조불조약 , 프랑스 공사 , 교안 , 교민조약 , 교민화의약정 , 교민범법단속조례 , Catholic mission , Joseon Government , French missionary , Treaty of Joseon and France , French minister to Joseon , Gyoan , Gyomin joyak , Gyomin hwaui yakjeong , Byeombyeop gyomin dansok jory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최기영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2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사학과
- UCI I804:11029-000000065948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This dissertation aims to examine the questions of the Catholic mission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in Korea. The main focus of this dissertation is how the Joseon government's oppression against the Catholicism had ended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and how the so-called "Freedom of Catholic Mission" had progressed. Also the three Catholic Conventions which had been discussed between the Joseon government and the Catholic Church, were reviewed. French missionaries were forced to stop their missionary works in Joseon due to the persecution in 1866(Byeongin). They attempted to enter Joseon while staying in China, and in 1876, two missionaries succeeded in infiltrating. The following year, Bishop Ridel, the Vicar Apostolic of Joseon, entered Joseon. In 1878, he was arrested, but without execution he was deported to China by arbitration of the Qing Dynasty. After this incident, missionaries in Joseon were arrested, but were deported or released without execution. This meant that the Joseon government's response to Catholicism had changed. The Joseon government didn’t want to cause conflict with France by executing missionaries, and they also had to be aware of Cheoksaron(Theory of Wickedness Expulsion). Thus, the Joseon government condoned the existence of missionaries, but still defined Catholicism as Sahak and suppressed its believers. French missionaries hoped that a treaty between Joseon and France would be signed for free missionary works. In the early 1880s, when Joseon signed treaties with the United States and Britain, the French government also contacted Joseon. However, because of the outbreak of the Sino-French War and political events in Joseon, the French government suspended their plan to negotiate a treaty with Joseon. While France hesitated, the Joseon government promoted a treaty with France. Although the Joseon government officially maintained the Cheoksaron, King Gojong, progressives officials, and foreign policy advisor(Möllendorff) were favorable to Catholicism and French missionaries. In 1886, in negotiating a treaty between Joseon and France, there were differences of opinion over Catholic issues, the two sides concluded that they condoned the Catholic missionary work. A treaty between Joseon and France was signed, but Catholic missionary work was not fully guaranteed. Missionaries were allowed the free exercise of their religion only in Seoul and the open port areas. In the interior of Joseon, they could travel, but could neither reside in nor engage freely religious activities. Also, there were no provisions on the believers in Joseon in the treaty. However, the Catholic Church handled these questions with the support of the French minister, who was dispatched to Joseon from 1888. Collin de Plancy, the first French minster to Joseon, attempted to abolish the Joseon's law banning Catholicism under the order of the French government. However, his attempt failed because the Joseon government rejected it. Frandin, the second French minster, also tried to repeal the law, but was frustrated by changes in the French government's position and negative or skeptical responses from Western diplomats and the Catholic Church. Despite the missionaries' request, the French minister was not actively involved in the believers' cases because there was no provision related to the believer in the treaty. After receiving instruction from the French government in 1891, he began to intervene in cases involving Catholics. In 1893, at the request of the French minister, the Joseon government ordered the local officials to protect catholics and treat them equally with non-Catholic compatriots. This was meaningful in that the Joseon government officially recognized Catholics. As a result, though law banning catholicism was not abolished, but it virtually lost its validity. French missionaries were allowed to live in the interior of Joseon from 1891. Robert, a missionary who had been expelled from Daegu by the Gyeongsang Province Governor, settled in Daegu by the French minister's intervention. Bishop Mutel, the Vicar Apostolic of Joseon, regarded that French missionaries obtained the right to reside in the interior of Joseon. After this case, missionaries built churches throughout the country. As a result, in the early 1900s, the Joseon government actually recognized the missionary's residence in the interior of Joseon. As Catholicism expanded, conflicts related to Catholicism surged. The missionaries' basic policy was that they would not be involved in the Joseon people's case unless it was "in urgent need". However, missionaries distrusted Joseon government official and law, and were involved in dispute and trial in the name of protecting Catholics. With the involvement of the French minister in this dispute, it escalated into a Gyoan(Anti-Christian Movement). As a result, local government officials had difficulty managing local administrarions, and the Joseon government demanded that missionaries not intervene in disputes or trials. The resolution of the Gyoan was not easy due to disagreements between the Joseon government and the Catholic Church. Thus, the Joseon government proposed three conventions to the Catholic Church and the French legation. It were the Gyomin joyak(Treaty of Catholics) in 1899, the Gyomin hwaui yakjeong(convention for reconciliation with Catholics) in 1901, and the Byeombyeop gyomin dansok jorye(Ordinance to crack down on Catholics who break the law) in 1904. The conventions included clauses such as guaranteeing Catholic missionary work,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prohibiting missionaries from intervening in trials and protecting Catholics who violated the law. However, the Catholic Church was negative to the conventions because there were already guaranteed issues and unnecessary claus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Joseon government and the Catholic Church were so wide that discussions on the Catholic conventions could not proceed. The Catholic conventions were either not signed or very unlikely to be signed. Catholic missionary work, which was not guaranteed by the Treaty of Joseon and France in 1886, was virtually secured in the mid-1890s. However, no treaty was signed or laws were enacted to support it. This was a distinctive feature of the history of Korean Catholicism, which contrasted with China and Japan, which guaranteed missionary work by treaty or law.
more초록/요약
이 논문은 개화기 천주교 선교 문제를 검토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조선 정부의 천주교 금압(禁壓)이 개화기에 어떻게 종식되고, 이른바 ‘천주교 선교의 자유’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진전되었는지를 규명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조선 정부와 천주교회가 논의했던 천주교 약정들을 재검토했다. 프랑스 선교사들은 1866년 병인교옥으로 조선에서의 선교 활동을 중단해야 했다. 그들은 중국에 머물면서 조선 입국을 시도했고, 1876년에 선교사 2명이 잠입하는 데에 성공했다. 이듬해 조선대목구장 리델이 조선에 입국하여 활동하다가 1878년에 체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러나 그는 청국의 중재로 처형되지 않고 중국으로 추방되었다. 이 사건 이후에도 선교사들이 체포되었지만 처형되지 않고 추방되었거나 석방되었다. 이는 조선 정부의 천주교 대응 변화를 의미했다. 조선 정부는 선교사들을 처형함으로써 프랑스와 갈등이 빚어지는 것을 원치 않았다. 동시에 척사론(斥邪論)도 의식해야 했다. 이에 조선 정부는 선교사들의 존재를 묵인하였지만, 천주교를 여전히 ‘사학’(邪學)으로 규정하고 조선인 신자들을 탄압했다. 프랑스 선교사들은 자유로운 선교 활동을 위해서 조선과 프랑스의 조약이 체결되기를 희망했다. 1880년대 초, 조선이 미국, 영국 등과 조약을 맺자, 프랑스 정부도 조선과 접촉했다. 하지만 청불전쟁의 발발, 조선의 정치적 사건 등으로 인해 프랑스 정부는 조선과의 조약 협상 계획을 중단했다. 프랑스가 주저하는 사이, 조선 정부는 프랑스와의 조약을 추진했다. 조선 정부는 공식적으로 척사론을 견지했지만, 고종, 개화파 관리들, 서양인 고문(묄렌도르프) 등은 천주교와 프랑스 선교사들에게 호의적이었다. 조선과 프랑스는 1886년에 조약 협상을 했는데, 천주교 선교를 두고 의견 차이를 보였지만, 선교를 묵인하는 선에서 타결했다. 조불조약이 체결되었지만, 천주교 선교가 전적으로 보장된 것은 아니었다. 선교사들은 서울과 개항장에서만 자유롭게 종교 활동을 할 수 있었다. 내지(內地)에서는 거주하지 못하고 다만 여행할 수 있었고, 공개적인 종교 활동도 허용되지 않았다. 또한 조약에는 조선인 신자에 관한 조항도 전혀 없었다. 그러나 천주교회는 1888년부터 조선에 부임한 프랑스 공사의 지원을 받으며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해 나갔다. 초대 프랑스 공사 플랑시는 프랑스 정부의 훈령에 따라 조선의 천주교 금령, 즉 사학 금령 폐지를 시도했다. 그러나 조선 정부가 이를 거부함에 따라 실현되지 못했다. 플랑시의 후임인 프랑댕도 사학 금령 폐지를 추진하였지만, 프랑스 정부의 입장 변화, 서양 외교관과 천주교회의 부정적 혹은 회의적 반응으로 좌절되었다. 프랑스 공사관은 선교사들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조약의 조항이 없다는 이유로 조선인 신자 사건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1891년 프랑스 정부의 지시를 받은 후부터는 천주교 신자 사건에 개입하기 시작했다. 프랑스 공사관의 요구에 의한 것이기는 하나, 조선 정부는 1893년 지방관에게 신자들을 보호하고, 그들을 비신자들과 동등하게 대할 것을 지시했다. 이는 조선 정부가 천주교 신자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조치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이로써 사학 금령은 폐지되지 않았으나 사문화(死文化)되었다고 할 수 있었다. 선교사의 내지 거주는 1891년부터 가능해졌다. 경상감사에 의해 추방되었던 선교사 로베르는 프랑스 공사의 개입으로 대구에 돌아와 정착했다. 이를 두고 조선대목구장 뮈텔은 내지 거주권을 확보했다고 이해했다. 이 사건 이후 선교사들은 전국 각지에 성당을 세웠다. 그 결과 1900년대 초에 조선 정부도 실제로 선교사의 내지 거주를 인정했다. 이처럼 천주교회는 선교를 확장해 나갔는데, 그러한 과정에서 천주교 관련 분쟁도 급증하였다. 선교사들의 기본 방침은 “위급하게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조선인 사건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선교사들은 조선의 관리와 법률을 불신했고, 신자들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분쟁이나 재판에 관여했다. 이러한 분쟁에 프랑스 공사가 개입하면서 외교적 사건(교안)으로 확대되었다. 이로 인해 조선의 관리들은 지방 행정에 어려움을 겪었고, 이에 조선 정부는 선교사들에게 분쟁이나 재판 개입하지 말 것을 요구했다. 조선 정부와 천주교회의 의견 차이로 교안의 해결은 쉽지 않았다. 이에 조선 정부는 천주교회와 프랑스 공사관에 천주교 약정을 제안했다. 1899년의 「교민조약」, 1901년의 「교민화의약정」, 1904년의 「교민범법단속조례」였다. 천주교 약정에는 천주교 선교 보장, 정교분리, 선교사의 재판 개입 금지와 범법 신자 비호 금지 등의 조항이 있었다. 그러나 천주교회는 천주교 약정 체결에 부정적이었는데, 이미 보장된 내용도 있었고, 불필요한 조항도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조선 정부와 천주교회의 의견 차이는 컸으므로 천주교 약정 협의가 진척될 수 없었다. 천주교 약정은 체결되지 않았거나 체결되었을 가능성이 대단히 낮았다. 1886년 조불조약에서 보장받지 못했던 천주교 선교는 1890년대 중반에 이르러 사실상 확보되었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할 조약이 체결되거나 법률이 제정되지 못했다. 이것은 조약이나 법률로 선교를 보장한 중국, 일본과 비교되는 점으로 한국 천주교[그리스도교] 역사의 특징이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