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영적 우회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초월성, 연결성, 자기대상욕구를 활용한 영적 추구 프로파일 분석

An Exploratory Study on Spiritual Bypass: Analyzing Spiritual Seeking Profile of Transcendence, Connectedness, and Selfobject Needs

초록/요약

Despite the growing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mental health, studies on the negative aspects of spirituality such as spiritual bypass are relatively f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gative aspect of spirituality and provide preliminary empirical data on spiritual bypass. Therefore, different patterns of spiritual seeking profiles of the general adult population were analyzed using cluster analysis guided by person-oriented approach. Respondents were adults over the age of 20,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Invight panel and various online communities, including religion/spiritual practice groups. 562 respons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First, transcendence, connectedness, selfobject hunger, and selfobject avoidance were entered as classification variables for cluster analysis. Second, Welch’s test and EXACON procedure were used to examine the cluster differences in terms of psycho-spiritual adjustment(i.e., offensive/defensive spirituality, psychological distress, existential well-being). The analysis identified 9 clusters. Bypassing spiritual seeking clusters were: transcendence-oriented hunger, connectedness-immersed hunger, transcendence-oriented avoidance, connectedness-immersed avoidance. Cohesive spiritual seeking clusters were: cohesive transcendence-immersed, cohesive connectedness-oriented. As for non-spiritual clusters, cohesive non-spiritual, non-spiritual hunger, and non-spiritual avoidance were identified. Tests to examine the cluster differences in psycho-spiritual adjustment revealed that clusters with avoidance-based spiritual seeking showed the highest psychological distress, the lowest existential well-being, higher probabilities of offensive/defensive spirituality. As for clusters with hunger-based spiritual seeking, they showed a similar or better level of psycho-spiritual adjustment compared to cohesive spiritual seeking clust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rovided preliminary data on profiles of spiritual seeking and spiritual bypassing of the general adult population.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more

초록/요약

최근 영성과 정신건강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영적 우회와 같은 영성의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영적 우회에 관한 기초적인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개인-중심적 관점에서 군집 분석을 활용하여 일반 성인들의 영적 추구 프로파일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인바이트 패널과 종교 및 수행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 등으로부터 온라인 설문으로 수집한 만 19세 이상의 일반 성인 562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초월성, 연결성, 자기대상 갈망, 자기대상 회피에 대하여 군집 분석을 실시한 후, 도출한 군집의 심리-영적 적응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Welch’s test와 EXACON 분석을 이용하여 군집 별 공격적 영성, 방어적 영성, 심리적 디스트레스, 실존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총 9개의 군집이 나타났다. 먼저 우회적인 영적 추구 군집으로는 갈망형 초월 지향, 갈망형 연결 몰입, 회피형 초월 지향, 회피형 연결 몰입 군집이 나타났다. 이어서 응집된 영적 추구 군집으로는 응집된 초월 몰입, 응집된 연결 지향 군집이 나타났다. 비영성 군집으로는 응집형, 갈망형, 회피형 비영성 군집이 나타났다. 군집 별 심리-영적 적응 수준을 확인한 결과, 회피형 영적 추구 군집들에서 공격적 영성과 방어적 영성이 더 자주 관찰되었으며, 심리적 디스트레스는 가장 높은 반면 실존적 안녕감은 가장 낮았다. 갈망형 영적 추구 군집들의 경우, 응집된 영적 추구 군집들과 비교하여 비슷하거나 더 나은 심리-영적 적응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일반 성인들의 영적 추구 프로파일과 영적 우회 양상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마지막에는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