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국가 정치사회화 전략 : 교과서에 나타난 김정숙을 중심으로
A Study of North Korea’s National Political Socialization Strategy: Focused on Kim Jeong-suk In North Korean Textbooks
- 주제(키워드) 김정숙 , 북한여성 , 정치사회화 , 지배이론 , 혁명적 슈퍼우먼 , Kim Jeong-suk , North Korea women , Political socialization , Hegemony theory , Revolutionary Superwoma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영수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정치외교학과
- UCI I804:11029-00000006591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북한은 1946년 7월 <남녀평등권법령>을 제정하여 남녀평등의 법적, 제도적 기반을 닦은 후, 국내외 모두에 북한이 ‘남녀평등한 사회’를 이룩했다고 공표하고 있다. 그러나 외적으로 구축한 제도와 정책의 남녀평등 가치와 사회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실제적인 인식에는 거리가 있다. 다수의 북한 여성들이 장마당에 나가 하루 종일 장사를 하면서도, 식량을 구해 가족을 먹이며 가사노동과 돌봄노동을 혼자 다 감당하고 있는 현실은 이를 방증한다. 본 연구는 김정숙 사상교과서를 활용한 북한의 정치사회화 전략을 분석함으로써, 북한 당국에 의해 형성된 이상적 여성상을 확인한다. 북한 당국은 체제 유지 및 지배의 공고화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위해 김정숙 사상교육을 활용해 ‘수령 및 수령일가 숭배를 위한 정치적 담론 구조 제공’, ‘체제에 대한 비판 없는 인간으로의 인민 개조’라는 정치사회화 전략을 세우고 적극 활용하였다. 이는 수령을 향한 인민의 충성심을 제고하고, 인민이 체제 수호라는 목표에 맞추어 스스로의 인지과정을 합리화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는 체제 유지 및 공조화라는 목표에 일조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 하에서 그 내용이 꾸려지는 김정숙 교과는 또 다른 효과를 도출하는데 이는 여성의 역할 모델 제시와 이 역할 모델을 통한 사회통합의 도모다. 본 연구가 ‘혁명적 슈퍼우먼’이라고 명명한 이 이상적 여성상은 수령에 대한 충실성을 바탕으로 조국과 혁명을 위해 헌신을 다하면서도 이와 동시에 가사일과 자녀 양육, 더 나아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돌봄까지 모두 도맡아 하는 여성상이다. 김정숙의 사상 교과서인 『김정숙어머님 어린시절』, 『김정숙어머님 혁명활동』, 『김정숙어머님 혁명력사』는 1999년판 교과서에서부터 2010년대의 교과서까지를 망라하여 ‘혁명적 슈퍼우먼’으로의 김정숙의 품성을 담고 있으며, 학생들에게 이를 따라 배울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여성이 이중 노동을 여성의 역할과 임무로 자연스럽게 도맡아 하도록 추동하는데, 이는 1990년대 고난의 행군 이후로 드러난 국가의 실패를 여성의 이중 노동을 통해 극복하고 그를 통해 궁극적으로 체제의 안정화를 도모하려는 북한 당국의 필요에 따른 것이라 볼 수 있다. 즉, 여성이 감수하고 있는 이중노동과 그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사회의 인식은 북한 당국이 치밀하게 기획하고 진행한 정치사회화의 결과라는 것이다. 북한은 국가가 교과지식의 선정, 전달, 평가과정을 전적으로 결정하고 이를 정치사회화의 매개체로 활용한다. 북한 당국이 폐쇄적인 체제 하에서 인민을 수령에 충성하는 인간으로 개조하는 정치사회화를 선호한다는 점, 북한 경제가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상황에서 여성에게 이중 부담을 전가하는 현 김정숙 교과의 활용도가 높다는 점, 김정숙을 대체할 새로운 역할 모델이 없다는 점에서 김정숙 교과를 활용한 북한의 정치사회화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more초록/요약
North Korea announced that North Korea achieved a ‘gender equalitarian society’ to domestic and abroad since North Korea has enacted the Act on the equal rights for both sexes in July 1946.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inherent in institutions and policies and the actual perception shared by social members. This is evidenced by the fact that many North Korean women go out to the market and do business all day long, but are handling both household and care labor alone. This study identified North Korea’s national political socialization strategies by focusing on the Political ideology subject of Kim Jeong-suk, one of the North Korea’s Political ideology curriculum. Also, it confirmed what the ideal female role model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created through Kim Jeong-suk’s political ideology subject textbooks.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used political ideology subject of Kim Jeong-suk to establish and actively utilize political socialization strategies such as ‘Providing a political discourse structure for the worship of Suryeong(the supreme leader of North Korea) and his family’ and ‘citizen reform into individuals without criticism of the political system’. This have contributed to the goal of maintaining and reinforcing the political system by enhancing the people’s loyalty to the supreme leader of North Korea and streamlining their own cognitive processes in line with the goal of protecting the system. Kim Jeong-suk’s political ideology subject also had an different effect on presenting an ideal female role model and promoting the social integration through this role model. The ideal female role model, which this study named ‘revolutionary superwoman’, is a woman who devoted herself to her country and revolution, while at the same time, took care of household chores, their children, and even the socially disadvantaged, based on her faithfulness to the leader of North Korea. Kim Jeong-suk’s political idology subject textbooks, namely 『Mother Kim Jeong-suk's Childhood』, 『Mother Kim Jeong-suk's Revolutionary Activities』, and 『Mother Kim Jeong-suk's Revolutionary History』, depicted her as a ‘revolutionary superwoman’ from the 1999 edition to the 2014 edition textbooks, with North Korean authorities prompting students to learn from them. This series of processes drives women to take ‘dual burden’ as a natural part of women’s roles and duties.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need to overcome the nation’s failure, which has been revealed since ‘the arduous march’ in the 1990s, through women’s ‘dual burden’ and ultimately seek to stabilize the regime. In other words, the dual burden that women bear and society’s perception of accepting it naturally are the result of political socialization carefully planned and carried out by North Korean authorities. North Korea entirely determines the process of selecting, delivering and evaluating the curriculum and uses it as a medium for political socialization. North Korea’s national political socialization strategies using Kim Jeong-suk’s political ideology subject are expected to be used continuously for following three reasons: 1. North Korean authorities prefer political socialization that transforms people into ‘people who are devoted to Suryeong(the supreme leader of North Korea)’ under a closed system. 2. With the economic situation in North Korea continuing to slow down, North Korean authorities are necessary to shift the burden of social welfare to women, and Kim Jeong-suk’s political ideology subject is highly being utilized in this direction. 3. There is no new ideal female role model to replace Kim Jeong-suk.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