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용 다면적 정신병리 선별검사(K·BASC-3)의 임상규준 제작 및 타당도 검증 : 교사보고형 검사(TRS-C)를 중심으로
Korean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3rd Edition, Teacher Rating Scales-Child Form (K·BASC-3, TRS-C): A validation study
- 주제(키워드) 한국판 정서-행동평가시스템(K·BASC-3) , 교사보고형 검사-아동용(TRS-C) , 임상규준 , 문항반응이론 , 외적 타당도 , Korean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3rd Edition (K·BASC-3) , Teacher Rating Scales-Child Form (TRS-C) , clinical norm , item response theory , external validit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안명희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2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UCI I804:11029-00000006591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 증상 및 관련 성격 특성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된 한국판 정서-행동평가시스템, 교사보고형 검사-아동용(The Korean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3rd Edition, Teacher Rating Scales-Child Form: K·BASC-3, TRS-C)의 임상 규준을 제작하고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총 268명으로 구성된 임상규준 표본(N=268)은 본 검사에 포함된 정신장애를 비롯해 그 외 아동기 진단 가능한 장애를 갖고 있어 위험집단으로 교사에 의해 지목된 144명(53.7%), 공식진단을 받은 81명(30.2%), 내면화 문제행동과 관련된 소척도에서 평균 보다 임상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받아 잠재적 임상집단으로 정의한 43명(16.0%)을 포함한다. 임상규준의 내적 타당도는 K·BASC-3, TRS-C 문항의 측정내용에 따른 문항응답곡선 양상 차이를 문항반응이론으로 확인하고, 외적 타당도는 한국판 TRF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해 임상규준 표본에서 개별 문항의 변별도, 범주난이도를 살펴본 결과 상대적으로 낮은 변별도를 보인 소수 경우를 제외하면 각 소척도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문항들이 본 도구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요인을 적절히 반영하는 것으로 나왔다. 해당 문항들의 경우 정신 장애의 진단 혹은 특정 문제행동의 위험/보호 요인의 평가를 위해 포함되어 있는 문항들이다. 또한 임상규준 표본에서 105명을 대상으로 K·BASC-3, TRS-C 불안, 주의집중문제, 과잉행동 소척도 점수와 한국판 TRF 관련 소척도 점수 간 상관관계로 외적 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아동을 위한 교사 보고형 다면적 선별검사인 K·BASC-3, TRS-C 임상규준의 타당도 관련 실증자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장, 단점과 의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linical norm and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Korean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3rd Edition, Teacher Rating Scales-Child Form (K·BASC-3, TRS-C). The 156-item K·BASC-3, TRS-C was administered to a total of 268(N=268) children based on teacher referral, formal diagnosis or significantly high score on the internalizing problem subscale. The generalized partial credit model based o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was used to conduct the internal validity. Additionally, as a measure of external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was tested using the Teacher’s Report Form for Ages 6-18 (TRF 6-18). Among the clinical sample, 144 (53.7%) teacher referred had significant symptoms of at least one childhood mental disorder, 81 (30.2%) carried formal diagnosis, and 43 (16.0%) had a significant increase in one or more internalizing problem subscales. Results from the item response theory indicated that items included in clinical subscale provided appropriate information at the ability levels around the mean. Also,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ost item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were appropriate. The items that yielded less than desirable discrimination scores correspond to those measuring symptoms related to the DSM diagnostic categories or protective and risk factors for childhood emotional/behavioral disorders. The Anxiety, Hyperactivity, and Attention Problems subscales of the K·BASC-3, TRS-C demonstrated strong concurrent validity statistics with the related subscales of the TRF 6-18. Other relevant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regarding the use of the K·BASC-3, TRS-C,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