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토머스 머튼의 신비주의와 신비체험, 그 실천적 함의 연구 : 버나드 로너간의 신학방법론을 통해

A Study on Thomas Merton’s Mysticism and Mystical Experiences and their Practical Implications: through Bernard Lonergan’s Theory of Theological Method

초록/요약

본 논문은 버나드 로너간(Bernard Lonergan, 1904-1984)의 초월적 방법을 통해 주체의 경험 자료와 의식 자료로 접근함으로써 토머스 머튼(Thomas Merton, 1915-1968)의 신비주의와 신비체험, 그 실천적 함의를 연구한 것이다. 로너간의 초월적 방법은 기존의 인간을 이해했던 추상적인 방식보다는 주체의 자료와 의식 자료로 신비가의 의식의 흐름 및 분화 등 인간 의식에 초점을 둠으로써 영성 작가들의 신비체험을 좀 더 실존적이며 역동적인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다. 논문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초월적 방법론을 구성하는 인간의식 작용의 역동성으로서의 지향적 의식이론, 자기 지식(self-knowledge), 자기 적절화(self-appropriation) 및 종교 경험, 삼중의 회심 이론과 자기초월을 살펴보았다. 본문에서는 머튼의 신비주의의 이해와 접근을 위해 그리스도교 신비주의 역사에서 신비주의에 대한 관점과 이해의 변화 및 신비체험 용어와의 구별점을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신비주의 사가(史家)이며 연구가인 버나드 맥긴(Bernard McGinn)의 신비주의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머튼의 신비주의를 좀 더 폭넓은 측면에서 조망하고 해석하고자 했다. 머튼의 신비사상을 형성하게 된 토대로 신비주의 측면에서 바라본 머튼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그리고 그 신학적 및 사상적 원천(그리스도교 부정신학, 동양 신비주의)을 고찰해보았다. 이 토대 위에서 머튼의 신비주의 작품을 살펴보았다. 신비주의 작품에서는 신비사상의 단초, 신비체험과의 상관성, 신비주의 형성 요인 및 그 특성 등에 관해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머튼의 자기 적절화와 자기 지식 과정 및 신비주의 형성 방향을 파악하였다. 로너간의 초월적 방법을 통해 머튼의 핵심적인 4개의 신비체험을 분석했다. 이는 이론적 분화가 아닌 내면성에 따르는 의식의 분화 분석으로, 신비체험 분석을 위해 머튼 삶의 큰 내적인 변화와 전환을 이룬 분기점을 수도회 입회 전과 그 이후, 그리고 은수처 생활에서 선종 전 아시아 여행의 세 부분으로 나누고, 각 시기에 일어났던 신비체험을 다음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했다. 첫째, 신비체험이 일어난 그 당시 머튼의 배경과 의식에 관한 정확한 자료와 분석이며, 둘째, 머튼의 의식의 변화와 분화에 초점을 두면서, 신비체험을 통해 어떻게 자기초월에로 넘어갈 수 있었는지에 관해서이다. 또한 머튼의 회심도 고찰했다. 분석을 통해 머튼의 자기 이해, 의식의 흐름의 고찰을 통한 자기 적절화, 그리고 삼중의 회심 및 자기초월을 통해 진정성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면밀하게 살펴보았다. 로너간의 삼중의 회심을 통해 고찰한 머튼의 회심은 먼저 루이빌 신비체험 후 개인적 및 집단적 편견을 넘어 선(善)과 가치를 위한 도덕적 자기초월인 비판적 도덕적 회심으로, 그 후 레자 아라스테(Reza Arasteh)의 최종적 통합과 무르띠의『불교의 중심 철학- 중관 체계에 대한연구』(The Central Philosophy of Buddhism)에서 중관학파의 변증법을 통해 계속되는 지성적 회심의 길로 나아갔다. 이러한 회심 여정은 궁극적 실재에 대한 자기초월 체험인 폴로나루와(Polonnaruwa) 신비체험으로 이어지며, 이는 종교적 회심임을 밝혔다. 머튼의 신비체험은 삼중의 회심과 밀접한 상관성 및 역동성을 가지며 지속적으로 의식의 수준과 자아의 변형이 함께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머튼의 신비체험이 갖는 특이성으로 지속적인 의식의 변형, 그리스도교 전통 신비여정의 틀 확장, 심미적 체험 세 가지를 이끌어냈다. 신비체험 분석과 그 특이성을 통해 머튼의 신비체험은 관상의 여정을 통해 하느님의 현존을 점점 더 깊이 깨닫고 의식이 계속 변형되어지는 의식의 더 높은 상태(영적 깨달음), 즉 신비적 하느님 현존 의식, 신비적 의식으로 규정했다. 또한 앤 카(Anne E. Carr)의 해석을 빌려 머튼이 전율(실존적인 불안, dread)의 경험이라는 새로운 틀에서 신비전통의 어둔 밤(감각과 영의 어둔 밤의 정화)을 탐구하고 창의적으로 재해석한 점을 제시했다. 폴로나루와 신비체험에서의 미적 조명을 통한 심미적 체험은 머튼이 궁극적 실재를 향한 자기초월로의 한 동인으로 작용했다고 보았다. 심미적 체험 부분은 리차드 빌라데서(Richard Viladesau)의 신학적 미학을 다루면서, 미학적 회심의 가능성을 소개했다. 끝으로 머튼의 신비주의를 이루는 특징적인 요소들과 특징, 그리고 그 실천적 함의에 대해 고찰했다. 머튼의 신비주의의 특징적 요소로 내적 자아, 고독, 신비적 관상, 선(禪)을, 신비적 표현(언어)으로는 le point vierge(point of nothingness), dread(전율 내지 깊은 불안: 어둔 밤)를 제시했다. 또한 머튼의 신비주의 특징은 인간중심적 신비주의, 지성적 신비주의, 실천적 신비주의라는 세 가지 측면을 가지며, 이에 관해 각각 고찰했다. 특히 머튼의 실천적 신비주의 측면을 볼 때, 아빌라의 성녀 데레사나 십자가의 성 요한이 개인적 변형의 신비주의라면, 머튼은 개인적 변형뿐만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관상의 사회적 변형 차원으로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뚜렷한 구별점이 있음을 규명했다. 또한 그의 실천적 신비주의는 깊은 침묵과 고독에서 일구어진 그의 관상과 신비체험에 있음을 강조했다. 머튼의 신비주의가 갖는 실천적 함의로는 부정신비주의 전통의 회복 및 인간 삶 안에서의 신비주의, 관상의 보편화 및 신비전통의 ‘어둔 밤’의 현대적인 해석, 동양 신비주의 수용을 통한 그리스도교 신비주의 심화를 제시했다. 로너간의 초월적 방법은 우리에게 머튼의 신비체험뿐만 아니라, 우리 각자의 종교체험 및 우리의 앎을 알도록 초대한다. 로너간의 초월적 방법을 통해 조명한 머튼의 신비주의는 미래 신비주의를 잇는 다리와 지표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을 뿐만 아니라, 진정성을 추구하며 하느님과의 일치를 추구하는 현대인들에게 각자 자신의 고유한 길을 모색하도록 그 지혜와 통찰을 제시하고 있음을 밝히려고 했다.

more

초록/요약

This paper is a study on Thomas Merton’s (1915-1968) mysticism, mystical experiences and their practical implications through the perspective of Bernard Lonergan’s (1904-1984) transcendental methods of approaching the data of his experiences and consciousness. As the data of the subject and of consciousness, Lonergan’s transcendental method was focused on the flows and differentiations of a mystic consciousness rather than on the previous abstract method of understanding humans. By doing so, it was capable of approaching spiritual writers’ mystical experiences in a more existential and dynamic method. This paper is structured as follows: First, it examines the intentional consciousness theory as the dynamics in interactive human consciousness that constitute the transcendental method, self-knowledge, self-appropriation and religious experiences, threefold conversion theory and self-transcendence. For the understanding and approach to Merton’s mysticism, the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changes of the views and understanding as to the mysticism in the history of Christian mysticism and the distinction points from the terms used for mystical experiences. Presenting the mystical viewpoints of the historian and researcher on mysticism, Bernard McGinn, this paper tries to illuminate and interpret Merton’s mysticism in a broader aspect. As the foundation for Merton’s mystical thoughts, his life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s, and sources of his theology and thoughts (Christian apophatic theology and Eastern mysticism) are examined. Based on this foundation, the paper examines Merton’s mystical works. In examining Merton’s works, the paper delves into the origin of his mystical thought, its correlations with mystical experiences, the factors of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mysticism in order to figure out his self-appropriation, the process of his self-knowledge and the directions of the formation of his mysticism. Through Lonergan’s transcendental method, the paper analyzes Merton’s four major mystical experiences. This analysis is not a theoretical differentiation but the differentiation of the consciousness following the interiority. To analyze mystical experiences, Merton’s life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by the turning points that brought about profound inner changes and transformations: before and after his entry of the Order and the period from his life in the hermitage until his Asian journey prior to his death. Then the paper analyzes his mystical experiences during each period on two aspects as follows: First, the exact data and analysis of Merton’s background and consciousness at the time of his mystical experience. Second, putting focus on the transformation and differentiation of Merton’s consciousness, it is analyzed how he was transcended to self-transcendence through mystical experience. This paper also reviews Merton’s conversion. It takes an analytic review on his self-understanding, his self-appropriation through the flows of his consciousness, and the process of his movement towards authenticity through threefold conversion and self-transcendence. As reviewed from perspective of Lonergan’s threefold conversion, Merton’s conversion, which occurred after his mystical experience in Louisville, was a critical moral conversion to morally transcend himself, going beyond personal and mass prejudices to the realm of the good and universal values. This conversion was extended to the path of intellectual conversion through the Madhyamika (Middle Way) Dialectics in Reza Arasteh’s final integration and Murti’s “The Central Philosophy of Buddhism- A Study of the Mādhyamika System.” Merton’s journey of conversion was followed by the mystical experiences in Polonnaruwa - an experience of self-transcendence for ultimate reality, which he himself specified as ‘religious conversion.’ Merton’s mystical experiences have an intimate correlation and dynamics with threefold conversion and are understood as being concurrent with the transformations on the level of his consciousness and self. This paper has identified three unique features contained in Merton’s mystical experiences: continued transformations of consciousness, expanded frames of his mystical journeys in the Christian tradition and aesthetic experiences. Through the analysis of his mystical experiences and unique characteristics, this paper has defined Merton’s mystical experiences as a higher state of consciousness (i. e. spiritual awakening) where his perception of God’s presence got deeper and his consciousness continuously transformed through contemplative journeys: the consciousness of God’s mystical presence or ‘mystical consciousness.’ Borrowing Anne E. Carr’s interpretation, the paper also presents that Merton explored and re-interpreted creatively ‘the dark night’ of the mystical tradition in the new frame of Merton’s dread (existential anxiety), which may be described as ‘the purification of the dark night of senses and spirit.’ I argue that Merton’s the self-transcendence towards ultimate reality was motivated by his aesthetic illumination of the mystical experiences he had in Polonnaruwa. As to his aesthetic experiences, the paper covered Richard Viladesau’s theological aesthetics and introduced the possibility of aesthetic conversion. Lastly, this paper reviews the characteristic elements and featur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made by Merton’s mysticism. As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Merton’s mysticism, inner self, solitude, mystical contemplation and Zen are presented, while as mystical expressions or language, ‘le point vierge’(point of nothingness) and ‘dread’(referring to the deep anxiety or thrills: ‘dark night’) are presented in this paper. The paper examines the three aspects of Merton’s mysticism: human-centered mysticism, intellectual mysticism, and practical mysticism. If St. Theresa of Avila or St. John of the Cross represent the mysticism of personal transformation, Merton’s mysticism is clearly differentiated in that it is not only a personal transformation, but it was also expanded, on the basis of the personal, to contemplation’s social transformation. In addition, his practical mysticism lies in his contemplation and mystical experiences generated from deep silence and solitude. The paper presents that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Merton’s mysticism are the recovery of the traditional apophatic mysticism and the mysticism in human lives, generalization of contemplation and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dark night’ in the mystical tradition, and deepening of Christian mysticism through acceptance of Eastern mysticism. Lonergan’s transcendental method invites us to know our knowing and our own religious experiences as well as Merton’s mystical experiences. Merton’s mysticism illuminated through Lonergan’s transcendental method has taken the role of bridging and index to future mysticism. In addition, it presents to contemporary people pursing authenticity and unity with God wisdom and insight into exploration of their own path.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