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자해 경험 공유의 의미 탐색 :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Examining the disclosure of non-suicidal self-injury in adolescence: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study approach
- 주제(키워드) 자해 , 비자살적 자해 , 청소년 , SNS , 공유 , 현상학적 연구 , Giorgi , NSSI , adolescent , sharing , SNS , phenomenological research , Giorgi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장재홍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UCI I804:11029-00000006583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2010년대에 들어 사회문화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청소년의 자해 문제는 온라인 및 SNS의 발달과 함께 자해 경험을 인증하고 공유하는 현상을 동반하여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자해 경험을 은폐하지 않고 공유하는 ‘자해 인증 문화’가 나타남에 따라, 이들이 자해를 경험하고 이를 공유하면서 겪는 경험의 의미를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 소재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며 최근 1년간 자해 경험이 있고 그 경험을 오프라인 혹은 SNS에서 공유한 경험이 있는 중기 청소년(만 15세~18세) 9명과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바탕으로 얻은 자료에서 자해 경험, 오프라인에서의 공유 경험, SNS 공유 경험을 분류하여 각각 경험의 구조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자해 경험의 경우 24가지의 의미단위와 12개의 하위주제가 추출되어 ‘인간관계에서 비롯됨’, ‘혼자 하는 것’, ‘일시적 진정제’, ‘부정적 시선’, ‘안 좋은 걸 알지만 하게 됨’ 이라는 5가지의 상위주제가 구성되었다. 오프라인의 친구들과 자해 경험을 공유한 경우, 23가지의 의미단위와 12가지의 하위주제가 추출되어 ‘은밀하고 조심스러운 공유’, ‘내 상황을 알아주길 바라며’, ‘경험 개방의 염려’, ‘해결하고 싶지만 불편한 자해에 대한 이야기’, ‘신뢰감과 친밀감이 두터워짐’ 의 5가지 상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자해 경험을 SNS에서 공유한 경우, 27가지의 의미단위와 12가지의 하위주제가 추출되었으며, ‘매체의 특성을 활용하여’, ‘현실의 부정적 반응을 피하여 새로운 의지처를 찾음’, ‘이해와 공감의 장으로서 SNS', '힘듦의 경중을 따지고자 함’ 이라는 4가지 상위주제가 구성되었다. 이렇게 나타난 경험의 구조를 통해 오늘날 청소년들이 자해를 경험하고 이를 누군가와 공유하는 과정에서 겪는 경험과 자해하는 청소년들의 욕구와 동기, 대인관계적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초록/요약
Recently, the concern about Non-suicidal self-injury among adolescents is growing among medical care, counseling, welfare, education field in Korea. From 2010s, the phenomena of sharing experiences of non-suicidal self-injury online, especially on SNS are occuring among adolescents in Korea. It means that adolescents these days are facing a new culture where NSSI is no longer hid, and these phenomena haven't been researched enough to understand the culture and the experiences of adolescents in Korea. This study aimed for investigating adolescents' experiences of sharing their non-suicidal self-injury experiences online or offline. The experiences are analysed by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9 middle adolescents aged 15~18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nd were conducted interview. interview data were categorized into 3 sections, experience of NSSI, experience of sharing NSSI offline, experience of sharing NSSI online. The results are as follows. experiences of NSSI were analyzed to compose 24 meaning units, 12 sub themes. This structure drew 5 key themes, 'begining with interpersonal conflict', 'doing alone', 'momentary sedative', 'negative responses', 'repeating though knowing it's harmful'. Meanwhile, the experiences of sharing NSSI experience offline were concluded to compose 23 meaning units, 12 sub themes. This structure formated 5 key themes, 'secret and cautious sharing', 'wishing for sharing my situation', 'concerns about reveal NSSI', 'wanting to solve, but unwilling to seek help', 'having feeling of trust and intimacy'. Lastly, the experiences of sharing NSSI online were analyzed to compose 27 meaning units, 12 sub themes. This structure drew 4 key themes, 'taking advantage of characteristics of SNS', 'seeking new place to avoid negative responses in reality', 'SNS as the place of gaining understanding and sympathy'. With those structures of experiences, this study discussed what the adolescents these days experience doing NSSI and sharing their experiences. Also, this study discussed about what desire and motive adolescents who self injure themselves have and about their distinct characteristic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a result, the study explored implications in intervention of adolescents' NSSI and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