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1930년대 天主敎 全羅監牧代理區 설정 연구

The Establishment of Cheolla Vicariate Forane in 1930s

초록/요약

Since the Roman Catholic Church was introduced in late 18th century,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has grown a lot despite many types of persecutions instituted by the government authorities. Around 1880s, especially, when freedom of faith was partially secured, missionaries were able to do an active apostolate in mission promotion, resulting the Korea's first parish division: the establishment of Daegu Vicariate Apostolic in 1911. Thereafter missionaries tried to erect new churches and local stations for spreading catholicism. In addition, they made sincere efforts to raise indigenous pastors by way of opening the Saint Justin Theology Seminary in Daegu. Consequently, the religious data of Daegu showed higher expansion in all aspects than other areas except several regions in Chollanamdo and Gyeongsangdo provinces. Religious promotion activities and growth process in Chollanamdo province have got little attentions in the studies on the Korean catholic church history. It is because the Daegu Vicariate's mission promotion was presumed to be unsuccessful. Studies on the mission promotion in Chollanamdo carried by some researchers only drew the general sketches whose focus was limited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highly needed to examine it thoroughly considering as many church issues at that time as possible. The study tries to find out how Florian Demange, Vicar Apostolic of Daegu, administered the Vicariate, and why a huge religious influence difference was made depending on the region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e researcher shed a light on Demange's documentation, missioners' reports, the Daegu Vicariate's archives and the Holy See's documentation. The result shows some clues to the reasons of influence difference across the Daegu Vicariate. First of all, Sinchuk Gyoan and Jido Gyoan which followed freedom of faith in 1900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work of evangelization in Chollanamdo. Many armed uprisings performed by volunteer civilian soldiers against the government also functioned as a major obstacle to spreading the Catholicism in the region. Furthermore, protestant churches never failed in increasing the total number of believers quickly by means of manpower and economic force.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then faced many challenges such as lack of young missionaries and the shortage of finance caused by international political situation. Consequently these brought the missionary vacancy, leading to mission inefficiency and rapid decline in mission promotion in Chollanamdo. Since Chollanamdo was traditionally weak in the number of believers, there was a general awareness among missioners that Chollanamdo was a difficult region for the work of evangelization even before the establishment of Daegu Vicariate Apostolic. So expansion of religious influence could be hardly anticipated in Chollanamdo along with Jejudo. On the contrary, abundance of economic force and existence of faith communities in Daegu and Chollabukdo respectively mad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expansion of religious influence. Church leaders conformed themselves to the situation at that time because it was necessary for them to gain a maximum fruit using the limited resources. As many undesirable issues came into being in and out the Church, Demange set practical goals: raising local priests and growing religious influence. His idea of mission plan came true as he paid attention to a particular area for raising local priests by regional seminary education. He founded a seminary in Daegu and established a parish administered by indigenous clergies. After division of Daegu Vicariate, however, the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 suffered from lack of manpower and the shortage of finance for missionary activities. It was quite natural for the Society to focus its mission on promising regions rather than merely to expand ordinary influence. Entering 1920s, the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 put its mission emphasis on education and took measures to erect a parish administered by indigenous clergies. As far as education was concerned the Society could not harvest satisfactory outcome due to lack of finance, but they began to take the issue of getting a native parish into consideration as a subject of discussion. Establishing a indigenous parish was in line with the Holy See and the Society's East Asia mission policy. Demange submitted the 「Five Year Annual of Daegu Vicariate Apostolic」 to the Congregation for the Propaganda, and in here he revealed his yearn to divide the existing Vicariate into two mission regions, separating a new Vicariate of Chollado. But it was not an easy work. In order to erect a new indigenous Vicariate there should be ahead the growth of the number of believers, abundant pool of pastors and sufficient economic strength, and so on. As a second choice Demange dispatched indigenous clergies but it came to little fruition since there had not been smooth mission activities for a long while. The Holy See's Congregation for the Propaganda advised him to entrust the entire Chollado or Chollanamdo to a separate missionary society, and also suggested that Korean native pastors should be in charge of areas where churches had a lot of parishioners among Daegu Vicariate. Demange opposed to the suggestion but only mentioned his idea of establishing a new indigenous vicariate. Therefore the Congregation for the Propaganda withheld its plan to send a new missionary society and recognized Demange's plan instead. Although Cholla Vicariate Forane was officially recognized in 1903, it still had difficulty in raising fund for operating the Vicariate. As the number of churches, stations and believers were not plenty, the finance collected from them was not enough to pay the parish payment due. And Demange was worried that if they focused their missionary work on the establishment of local church with native pastors their mission promotion might be quite delayed. To solve his worry he made a decision to ask help from other foreign mission society. In accordance with Demange's request, the Congregation for the Propaganda of the Holy See tapped the opinion of the Missionary Society of Saint Columban, the Society accepted the proposal and on July 6, 1933 the Congregation announced that the Columban Society would be in charge of Chollanamdo Province. From then on missionaries of the Columban Society were dispatched to do a steady apostolate in mission promotion in that area, improving the mission environment and gradually enhancing religious influence on the work of evangelization.

more

초록/요약

한국 천주교회는 18세기 후반 한국에 유입된 이래, 정부의 박해를 받기도 했으나 성장과 발전을 이뤄냈다. 특히 1880년대 무렵 일정 부분 신앙의 자유가 확보되면서 선교사들의 운신 폭이 넓어졌고, 이를 바탕으로 선교 활동을 전개했다. 이는 1911년 대구대목구 설정이라는 첫 번째 교구분할로 이어졌다. 대구대목구 설정 이후 선교사들은 선교지에서 본당과 공소를 세워 천주교 전파에 앞장섰고, 대구 성 유스티노 신학교를 설립하여 방인 사제 양성에 힘썼다. 그 결과 대구대목구 교세는 전남과 경상도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성장세를 보였다. 그동안 한국 천주교회사 연구에서 전남 지역의 선교 활동과 성장 과정은 큰 주목을 받지 못했는데, 이는 대구대목구 내에 있던 전남 선교가 성공적이지 못했기 때문이다. 몇몇 연구들이 전남 선교 상황에 대해 살폈지만, 이는 지역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 것이기에 당시 교회가 직면한 여러 상황을 중심으로 보다 면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대구대목구 분할 이후 대목구장 드망즈의 대목구 운영과 지역별 교세 격차에 대한 원인을 밝히고자 했고, 이를 위해 드망즈의 기록과 선교사들의 보고서, 대구대목구 공문서, 교황청 문서 등을 중점적으로 조명했다. 그 결과 대목대목구 내 교세 차이가 뚜렷했던 원인에 대한 몇 가지 실마리를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1900년대 들어서 천주교가 신앙의 자유를 획득한 이후 하나의 세력으로 등장하면서 발생한 교안 중, 특히 신축교안과 지도교안은 해당 지역의 약했던 교세 기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나아가 이 시기 전남에서 분화된 의병 활동도 천주교 전파를 어렵게 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게다가 개신교가 인력과 재정을 앞세워 급격한 교세 성장을 이뤄 천주교 교세 성장을 더욱 어렵게 했다. 당시 천주교는 선교사들의 고령화와 국제 정세에 따른 예산 마련이 어려워짐에 따라 활동에 제약을 받고 있었다. 천주교가 직면한 이 같은 어려움으로 인해 선교에 있어 비교적 효율성이 떨어지는 전남 같은 지역은 선교사 공백으로 이어졌고, 이는 교세 기반의 급격한 약화를 가속화 시키는 결과로 나타났다. 대구대목구 설정 이전부터 선교사들에게 전남은 선교에 어려운 지역으로 인식되었는데, 이러한 인식은 전남이 전통적으로 교세가 약한 지역이란 점에 기인한 것이었다. 따라서 전남과 제주도는 교세 확장을 기대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었던 반면, 선교에 필요한 재원 마련에 유리한 대구와 신앙공동체의 존재로 교세 우위를 보인 전북은 적극적 교세 확장이 추진되었다. 이러한 결정은 한정된 재원으로 최대한의 선교를 위한 필연적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교회가 직면한 내·외적인 문제들로 인해 드망즈는 방인 사제 양성과 교세 성장이란 목적 달성을 위해 대목구 내 특정 지역에 집중했다. 이러한 선교정책은 신학교 운영을 통한 방인 사제 양성과 방인 교구 설정이라는 업적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대구대목구 분할 이후에도 파리외방전교회는 선교에 필요한 인력과 재정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해당 전교회는 교세 확장보다 일정 성과를 거둔 지역에 더욱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 1920년대 들어서 파리외방전교회는 교육 선교를 강조했으며 방인 교구 설정을 위한 방안을 마련했다. 교육의 경우 재원 마련이 어려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으나 방인 교구 설립 관련 논의는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방인 교구 설립은 교황청과 파리외방전교회의 동아시아 선교정책과 그 맥락을 함께 하는 것이었다. 드망즈는 1925년 포교성성에 「대구 대목구 5년간 보고서」를 제출했는데, 여기에는 전라도 지역에 새로운 현지인 선교지를 설립하여 대구 대목구를 두 개의 선교지로 분리하려는 드망즈의 의지가 담겨있다. 하지만 그의 구상처럼 전라도 지역을 대구대목구에서 분리하여 방인교구로 설정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이를 실현하려면 전남 교세 성장이 급선무였으나 선교사 인력 부족과 재정 문제 등으로 인해 즉시 실현은 어려웠다. 드망즈는 차선책으로 방인 사제를 파견했으나 오랫동안 선교 활동이 원활하지 않은 까닭으로 인해 성과는 미미했다. 포교성성은 드망즈에게 전라도 전체 혹은 전남을 다른 회 소속의 선교사들에게 위임하고, 한국인 사제에게 신자들의 수가 많은 대구대목구의 다른 지역을 주도록 권고했으나, 드망즈는 답신을 통해 이 계획을 반대하고 방인교구 설립 구상을 언급했다. 이에 포교성성은 새로운 선교회의 파견 계획을 유보했고, 대신 드망즈의 방인교구 설립 계획을 지지했다. 이후 1930년 전라감목대리구가 정식으로 설정되었으나 새로 설정된 대리구는 여전히 교구 운영을 위한 재정 마련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전남에 설립된 본당과 공소 수, 신자 수가 적었기에 교구에 헌납할 자금 마련조차 어려운 실정이었다. 여전히 전남은 대구대목구 관할지역 중 복음전파에 있어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던 상황이었다. 한편 드망즈도 장차 설립될 방인 교구에만 집중한다면 전남의 선교가 더욱 지연될 것임을 우려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외국 선교회에 도움을 청하기로 결정했다. 드망즈의 요청에 따라 1933년에 교황청 포교성성은 골롬반회에 한국 진출을 요청했고 골롬반회는 이를 받아들여, 포교성성은 1933년 7월 6일에 전남을 골롬반회에 위임했음을 발표했다. 골롬반회 소속 선교사들이 파견되어 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을 전개함에 따라 선교사가 공백이던 열악한 선교 환경 등이 개선되었고, 점진적으로 교세 성장을 이뤄나갔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