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 리터러시를 위한 기초 과정 연구 사례 : 중학생 대상 온라인 콘텐츠 활용한 비대면·대면 미디어 교육 사례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basic course for animation literacy : Focusing on a combination of offline and online education in media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 주제(키워드) 애니메이션 리터러시 , 애니메이션 교육 , 미디어 리터러시 , 움직 임과 타이밍의 원리 , 비대면·대면 혼용 학습 , 온라인 콘텐츠 학습 , Animation literacy , animation education , media literacy , timing for Animation , combination of offline and online educa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나은영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미디어교육
- UCI I804:11029-00000006581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애니메이션은“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s)”로 칭하는 아동과 청소년들이 일상에서 많은 시간을 접하는 미디어이다. 애니메이션은 무한한 상상력과 기술의 결합 종합예술로 아동과 청소년들의 인지적, 감성적 성장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애니메이션 교육은 시각·영상문화의 이해를 돕고, 디지털 사회에서 필요한 의사소통으로 콘텐츠 제작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교육적 가치를 갖는다. 학교 현장에서는 예술 교육적 가치 지향, 미디어 리터러시 함양의 필요성, 창의력 향상 등 다양한 층위에서 다양한 주제로 애니메이션 활용 수업은 양적으로 확대되었으나 이에 비교해 실질적인 수업의 질적 성장은 이루지 못하였다. 특히 애니메이션 제작 교육은 매체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 내용구성과 성취 수준을 체계화하여 기초에서 심화까지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부족했다. 본 연구자는 현실적으로 애니메이션 교육의 질적 개선과 적용을 위해 애니메이션 교육 과정을 학습 범위와 수준별 단계로 나누어 그중에서 기초과정을 개발하였다. 애니메이션 리터러시를 위한 기초 과정은‘움직임과 타이밍의 기본 원리의 이해 및 제작’을 중심 내용으로 애니메이션 매체 특성을 중점으로 하였다. 또한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비대면 수업을 혼용하는 수업방식으로 대면 수업과 상호보완적인 수업 구성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중학교 1학년 1개 반을 연구 참여자로 애니메이션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비대면·대면 혼합형 수업방식의 애니메이션 교육 수업 사례를 분석하고 학생들이 수업 과정을 통해 습득한 능력(애니메이션 리터러시)은 어떠했는지 특성과 의미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주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문제1에서는 애니메이션 교육을 활용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서 학생들이 습득하는 능력은 기존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서 습득하는 능력과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둘째, 연구 문제2에서는 비대면 대면 혼합형 (온·오프라인) 학습을 활용한 애니메이션 교육은 학생들의 개인별 학습 이해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연구자는 실행한 프로그램의 내용뿐만 아니라 연구자의 참여 관찰과 연구 참여자인 학생들의 제작 결과물 분석, 수업 과정의 실습제작물, 설문조사, 수업 중의 질의응답, 연구자의 현장 메모 등 분석 자료로 하는 질적 연구의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2020년 4월부터 7월까지 경기도 G 중학교 1개 반 2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수업을 실행하고 자료 분석 작업을 거쳐, 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학생들은 기존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서 보여준 제작 결과물과 비교 할 때 애니메이션 매체 본질 특성을 표현한 제작물을 완성하였다. ‘연속된 그림으로 움직임 창출하는’ 애니메이션 매체 본질의 ‘움직임과 타이밍의 기본 원리’개념을 이해하고 표현한 제작 결과물을 완성함으로써 학생들은 기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는 달리 매체 특성의 표현 능력을 습득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제작과정에서 학생들은 창의력 사고의 ‘유창성’을 비교적 많이 보인 학생들이 제작 결과물에서 ‘독창성’을 보였으며 ‘유창성’과 ‘독창성’을 보인 학생들은 제작 마무리까지 아이디어를 더욱 구체화하는 ‘정교성’을 보여 제작 결과물의 완성도를 더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학생들은 비대면(온라인) 학습자료를 예·복습의 학습 자료로 활용하였다고 설문에 답하였다. 학생들이 생각하는 비대면 (온라인)학습의 장점은 ‘이해할 수 없는 내용을 여러 번 들을 수 있어서 좋다’가 전체 중 42.9%로 가장 많이 꼽았다. 그 외에 ‘편하게 들을 수 있다. (39.3%). ‘원하는 시간에 마음대로 학습할 수 있다(17.9%) 등으로 대면 학교 수업과는 다르게 학생들은 학습 이해 정도에 따라 비대면 (온라인) 학습자료를 학습자의 자율에 의해서 활용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애니메이션 리터러시를 위한 기초과정 수업에서 학생들은 애니메이션 매체 특성의 표현력을 습득할 수 있었고 비대면 온라인 콘텐츠 학습 자료로 학생들의 이해 정도에 따라 자율적으로 예·복습으로 대면 수업과 상보학습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생 대상으로 애니메이션 미디어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기초 단계로 학습 범위와 성취기대 수준 등의 수업 교안과 지도안을 개발하여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구체적인 실행 사례를 공유함으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애니메이션 교육에서 비대면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수업 방식의 긍정적인 가능성을 도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온라인 콘텐츠 학습자료는 교육 현장에서 애니메이션 미디어 제작의 선행 학습 자료 외에도 일반 교과의 보완자료나 통합된 디지털 영상 미디어 교육 자료 등으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좋은 온라인 콘텐츠 학습 자료 개발의 활성화를 기대해 본다.
more초록/요약
Animation is a medium called "Digital Natives" in which children and adolescents spend a lot of time in their daily lives. Animation is a comprehensive art that combines infinite imagination and technology,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ve and emotional grow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imation education helps understanding of visual and image culture, and it has educational value that can develop the ability of produc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necessary in the digital society. In the school, animation education has expanded quantitatively to various themes on various layers, such as artistic value orientation, the need for media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creativity. Yet,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 class has not been realized. In particular, animation production education lacked a step-by-step approach from basic to deepening by systematizing the curriculum center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IIn order to improve and apply the quality of animation education realistically, this researcher categorized the animation curriculum into phases according to the learning scope and level and developed the basic course in it. The basic course for animation literac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animation media, "understanding timing for animation and creating moving images". In addition, this study has developed a learning model structure that complements face-to-face lessons with online learning. With the program, one class of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as used as a research participant to carry out an animation education in a combination of face-to-face and online. And, it was analyz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animation literacy) through the class and to examine the skills that students have acquired through the lessons. The main research topics are shown below. Firstly, Research Question 1 tried to examine how the abilities acquired by students in media literacy education utilizing animation education differ from the abilities acquired in existing media literacy education. Second, Research Question 2 tried to examine how animation education utilizing the mixed method of face-to-face and online learning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individual learning. With such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er in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case study a methodology using not only executed program contents but also participation observance of the researcher, analysis of the artwork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activity of the lesson process, questionnaire survey, Q&A during classes and site memo of the researcher as the analytical materials. 28 students from one class of G Middle School of Gyeonggi-do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classes were conducted from April to July 2020. It was followed by data analysis work.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Firstly, the students completed a production that expresse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animation media when compared with production works shown in conventional media literacy education. Unlike conventional media literacy educa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students had acquired the skills to express media characteristics as they have completed production works. They understood and can express the concept of "basic principles of movement and timing", which is the essence of animation media: creating moving images with continuous pictures. Those who showed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fluency" in creative thinking in the production process showed "creativity" in the production works. The students who showed "fluency" and "creativity" showed "sophistication" that further embodies the idea until the completion of the production, and as a result, they added the details to the result of the production. Secondly, students in this study answered a questionnaire that they used online learning materials as learning materials for preliminary study and review study. The advantage of online learning that students think is that "it is good to listen to many times what I do not understand" was the most selected 42.9% of the total. In addition, they answered that "It is comfortable to listen (39.3%)." and "I can study freely at my favorite time(17.9%)". Different from face-to-face learning, students used online learning materials by learner's free will depending on the degree of learning understanding. . In conclusion, in the basic course for animation literacy, students can acquire the skills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animation media and can use the online content learn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stud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s curriculum and teaching guide such as learning scope and expected achievement level as the basic stage of a systematic curriculum for animation media for middle school students, applies them to educational sites to share concrete implementation examples, and presents practical methods. It is also significant to find a positive possibility of a learner-centered lesson system by utilizing online content in animation education. Online content learning materials can be widely used as supplementary materials for general subjects and integrated digital video media educational materials as well as advanced learning materials for animation media production in educational sites. Therefore, it is expected to activate good online content learning material developmen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