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 교육에서의 판결문 활용 가능성 연구 : 연결 어미 '-고'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sing ruling sentences in grammar education : Focusing on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connective ending '-go'
- 주제(키워드) 국어 교육 , 문법 교육 , 판결문 텍스트 , 텍스트 중심 문법 교육 , 연결 어미 ‘-고’ , 의미기능 , korean language education , grammar education , text-based grammar education , ruling sentences text , connective ending '-go' , semantic func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주세형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 UCI I804:11029-00000006579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판결문을 통하여 문법 지식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기술되었다. 전통적인 관점에서의 문법 교육은 모어 화자가 갖고 있는 내재된 원리를 체계적이고 명시적인 지식으로 확인하는 방식의 문법 교육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본고의 관점은 이러한 오류를 하나의 변이 또는 특성으로 파악하고, 이러한 문법적인 특징이 나타나는 그 배경과 양상에 주목하고자 하는 것이다. 나아가 이를 통해 텍스트 생산자의 의도와 해당 텍스트의 장르로서 나타나는 사회적 의미를 도출해 낼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고는 판결문에서 나타나는 언어 형식 중 연결 어미 ‘-고’에 주목하였는데 이를 통해 텍스트 중심의 문법 교육에서 판결문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 방법으로는 판결문 텍스트에 의한 비교 텍스트를 작성하여 이를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화자가 어떠한 이유로 특정 언어 형식을 사용하게 되는지에 대해 밝혀보고자 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이 실제 문법 교육 수업을 구성하는 측면에서 학습자에게 어떻게 설계될 수 있는 지에 대해 제시하고자 했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텍스트 일반을 대상으로 하는 국어학적 연구상의 연결 어미 ‘-고’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비교 텍스트의 분석을 통해 판결문에서 나타나는 연결 어미 ‘-고’의 의미를 추출할 수 있었다. 판단의 근거와 그에 따른 판결이 주를 이루고 있는 판결문의 성격과 접속의 제약 등에 의해 주로 [나열], [이유/근거], [부연]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판단의 근거가 다수 연속적으로 제시되는 경우에 연결 어미 ‘-고’는 [나열]의 의미로 사용되는데, 이는 각 근거에 대한 동등한 고려 및 분절을 최소화하여 연속성을 이어가고자 하는 화자의 의도가 담겨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이유/근거]의 의미로 사용되는 연결 어미 ‘-고’는 근거-판단의 구조가 반복되는 판결문의 특성상 가장 자주 나타나는 것으로, 이를 통해 화자는 사건의 판단보다는 판결의 이유나 근거에 더욱 주목하길 바라는 바람을 나타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결 어미 ‘-고’가 [부연]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엔 청자의 해석 개입을 최대한 차단하고 선후행 사태의 긴밀성을 보다 강조하고 싶은 화자의 의도가 숨겨져 있었다. 본고는 또한 앞선 논의들을 바탕으로 판결문 텍스트를 활용한 연결 어미 ‘-고’의 교육 내용을 통합적 문법 교육의 입장에서 설계해 보았다. ‘상황 맥락에 따른 화자의 의도 추론’, ‘화자의 의도에 따른 문법적 요소의 발견’, ‘텍스트와 문법 지식의 관계 파악’ 등의 세 가지 단계가 그것이다. 또한, 문법 교육을 읽기 영역이나 화법 영역과 같은 국어과 내 다른 영역과의 연계를 통해 더욱 구체적이고 학습자 중심에 가깝게 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텍스트 중심 문법 교육을 통합적 문법 교육의 입장에서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그동안 국어 교육에서 잘 활용되지 않았던 판결문을 이용하여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판결문 교육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서 벗어나 판결문이 국어 교육의 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치와 이유를 찾고자 했다는 것이 본고가 지닌 의의이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was described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grammar knowledge through ruling sentences. Grammar education from the traditional point of view can be seen as grammar education in a way that confirms the inherent principles of the native speakers with systematic and explicit knowledge. However, the point of view of this paper is to grasp such errors as a variation or nature, and to pay attention to the background and aspect in which thes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appear. Furthermore, through this, it means that the intention of the text producer and the social meaning that appears as the genre of the text can be derived. Therefore, this paper focused on the connective ending '-go' among the language forms that appear in ruling sentences, and through this, I tried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using ruling sentences in text-based grammar education. As a research method, I tried to find out why the speaker uses a specific language format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ng a comparative text based on ruling sentences text and analyzing it. And I tried to suggest how this analysis can be designed for learners in terms of constituting an actual grammar education class. Prior to the full-scale discussion, the connective ending '-go' in Korean language studies for general texts was reviewed, and the meaning of the connective ending '-go' in ruling sentences was extrac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mparative text. It was confirmed that the basis of the judgment and the resultant judgment were mainly used in the meanings of [enumeration], [reason/basis], and [additional] due to the nature of ruling sentences and restrictions on access. When multiple basis for judgment are presented in succession, the connective ending '-go' is used as the meaning of [enumeration], which contains the speaker's intention to continue continuity by minimizing segmentation and equal consideration for each basis. In addition, the connective ending '-go', which is used in the meaning of [reason/basis], appears most often due to the nature of ruling sentences that repeat the structure of basis-judgment. Through this, the speaker expressed a desire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reason or basis of the judgment rather than the judgment of the case. Lastly, when the connective ending '-go' is used in the meaning of [additional], the speaker’s intention to block the interpretation of the listener as much as possible and emphasize the intimacy of the preceding and following events was hidden. This paper also designed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connective ending '-go' using ruling sentences text based on the previous discussions from the viewpoint of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There are three stages, ‘inferring the speaker’s intention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discovering grammatical elements according to the speaker’s intent’, and ‘inqui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grammar knowledge’. Also,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grammar education more concretely and closer to learner-based by linking the Korean language, such as the reading area or the speech area, with other areas was examin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ext-based grammar education is composed of educational contents from the standpoint of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and was presented using ruling sentences that has not been well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hat it tried to find the value and reason that the ruling sentences could be us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reeing from negative perceptions of the ruling sentences educ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