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원격근무 환경에서 자기 효능감의 선행요인 및 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ecedents and effect of self-efficacy in remote work environment

초록/요약

본 연구는 최근 코로나-19(COVID-19)로 인해 원격근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선행연구를 토대로 자기 효능감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원격근무 환경 틀 속에서 자기 효능감의 역할을 연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목적이다. Bandura(1986)는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4대 요인(성과성취, 대리경험, 사회적 설득, 심리적·정서적 상태)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되어 Staples et al.(1999)은 가상조직 기반에서의 자기 효능감을 연구하면서 원격근무 경험과 훈련, 정보기술 경험과 훈련, 상사의 원격근무 경험 활용, 정보기술 자기 효능감, 컴퓨터 사용 불안감, 물리적 근무환경, 상사 또는 동료와의 연결성 등 7가지 선행 요인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자기 효능감 연구들은 일반적 근무환경에서의 연구가 중심이며 최소 20년 이상 지난 연구들로 변화된 새로운 환경요소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Staples et al.(1999)의 연구인 가상 조직에서의 자기 효능감 선행 요인 및 효과 연구를 접목하여 원격근무에 대한 직접경험, 상사의 원격근무에 대한 관찰 경험, IT 변화 두려움, 상사의 코칭 등이 자기 효능감의 선행 변수로서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상사의 코칭을 통한 언어적 설득이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상사 신뢰가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선행 연구에 대하여 추가적인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총 463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원격근무에 대한 직접경험과 상사의 코칭을 통한 언어적 설득은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T 변화 두려움은 자기 효능감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상사의 원격근무에 대한 관찰 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하나 선행연구와는 다른 방향의 결과로 나타났다. 한편, 상사의 코칭이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상사 신뢰가 높은 집단은 상사 신뢰가 낮은 집단에 비하여 더 큰 변동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IT가 급속하게 발달한 4차 산업 환경과 코로나-19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원격근무와 자기 효능감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이를 통해 기업의 CEO와 관리자들에게 원격 근무환경에서의 자기 효능감에 대한 인식을 재조명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었으며 또한, 상사와 부하 직원 간의 높은 신뢰 관계 형성의 필요성에 대해 확인을 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ole of self-efficacy based on previous studies in the situation that the importance of remote work is emphasized due to Corona-19 (COVID-19). In other word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role of self-efficacy in the remote working environment framework. Bandura(1986) suggests four factors (performance achievement, vicarious experience, social persuasi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 as factors that affect self-efficacy. Staples et al.(1999) studies self-efficacy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suggests seven leading factors : Remote work experience and training, IT experience and training, Modelling by the manager, Computer Anxiety, Physical conditions, Connectivity, Information Technology self efficacy. However, these studies are mainly focused on research in general working environments and have a disadvantage that they do not reflect new environmental factors that have changed into studies that have been at least 20 year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examine how direct experience of remote work, experience of observation of remote work for supervisor, fear of IT use, and coaching of supervisors influence as an antecedent variable of self-efficacy by combining similar theories and research with reference to these research base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further verify the previous studies that the trust in leader plays a role in the process of influencing the self-efficacy of verbal persuasion through coaching of the superviso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500 workers working in a company, and a total of 463 copies were used as analysis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direct experience of remote work and social persuasion through coaching of supervisors increased self-efficacy, and fear of IT change lowered self-efficacy. However, the observation experience of the supervisor about the remote work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it was found to be a result of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influencing the self-efficacy of the supervisors, the group with high trust in leader showed a bigger change compared to the group with low trust in leade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remote work and self-efficacy that reflected the fourth industrial environment where IT developed rapidly and the times of the Corona-19 era, which is shaking 2020. This helps CEOs and managers to reexamine their perception of self-efficacy in a remote working environment, and it is meaningful to confirm the necessity of forming a high trust relationship between their leaders and subordinat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