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코로나19 위기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연구 : 정부, 언론 메시지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f COVID19 Crisis Communication Messaging : Focusing on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of government and media messages

초록/요약

현대사회의 위험요소는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복잡한 공동체 환경이 조성됨에 따라 테러, 파업, 감염병, 사이버침해 등 개인이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문제 해결은 국가의 책임으로 요구되고 있다. 2020년 3월 전 세계적 대유행(Pandemic)으로 선언된 코로나19는 1년여 넘게 지속되며 사회·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코로나19는 우리나라에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이는 우리나라가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을 겪으며 정부의 위기대응 부족으로 큰 피해를 입은 바 있기 때문이다. 감염병에 대한 범국민적 경각심이 높아지고, 정부의 위기관리체계와 위기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크게 인식된 후 발생한 코로나19는 정부의 감염병 위기대응의 현주소를 확인하는 계기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감염병 확산에 대한 위기대응과 위기 소통이 정부의 주요 역량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정부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메시지를 분석하고, 이를 언론이 어떻게 다루었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정부와 언론이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생산한 보도자료와 보도기사를 언어 네트워크 분석하여 이들이 강조한 키워드와 주요 메시지를 밝히고, 정부의 위기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코로나19가 국내에 최초로 보도된 2019년 12월 31일부터 2020년 9월 30일까지를 연구했다. 이 기간을 확산 양상에 따라 1기 해외유입 초기 단계(2019년 12월 31일 ~ 2020년 2월 17일), 2기 신천지 관련 확산 단계(2월 18일 ~ 5월 5일), 3기 집단시설 확산 단계(5월 6일 ~ 8월 11일), 4기 광화문 집회 관련 확산 단계(8월 12일 ~ 9월 30일)로 나누어 분석했다. 자료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 게재된 코로나19 관련 보도자료 총 700건과 언론 보도기사 총 96,959건을 대상으로 했다. 수집된 자료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인 NetMiner4.4의 시맨틱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 기능을 활용해 분석했으며, 단순 빈도와 연결 중심성을 분석지표로 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코로나19와 관련하여 정부와 언론이 공중에게 전한 메시지의 핵심 키워드는 무엇인지, 또 이들 핵심어는 어떠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보도자료와 보도기사를 분석한 결과, 정부와 언론 모두 확진자나 격리자 정보, 감염경로 등과 같은 국민 정보제공 차원의 메시지가 다수를 차지했다는 점은 공통적이었다. 차이점을 살펴보면, 정부는 코로나19 전파 현황과 정부의 대응 상황을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전달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국민들로 하여금 본인이 처한 상황에 따라 행동할 수 있도록 예방책과 검사 방법들을 밝혀 혼란을 최소화하려는 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언론은 정부가 밝히는 코로나19 전파 상황에 주목하면서도 그 원인이 되는 집단, 지역 등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루어 이슈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경제적인 여파 등 갈등적 요소에 주목했고, 이를 표현할 때에도 다소 부정적이고 자극적인 단어를 선택함으로써 이슈를 형성하는 형태를 보였다. 분석결과를 선행연구와 위기 커뮤니케이션 원칙을 통해 살펴보면, 정부의 위기 커뮤니케이션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컨트롤타워로 하여 이뤄졌으며, 관계부처와의 공조를 통해 일관성을, 통계 등을 활용하여 정확성을 도모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는 브리핑을 정례화하고 안전재난문자를 적극 활용하여 투명하고 신속하게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였으며, 임상과 감염사례를 기반으로 직접적이고 유효한 행동지침을 제시했다. 코로나19 위기 커뮤니케이션에서 정부는 투명성, 신속성, 일관성 원칙을 기반으로 정확한 정보와 직접적인 행동지침을 전달했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이는 메르스 사태에서의 위기 소통보다 진일보한 모습이라 할 수 있다. 다만, 거리두기 단계 전환기에 간결성이 부족한 메시지로 인해, 공중의 생활방역 참여를 이끌지 못하는 등 간결성 원칙에 입각한 메시지 개발은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현재 위기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미비한 코로나19와 관련해 정부의 메시지를 분석했다는 의의가 있다. 정부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메시지를 언어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내용분석에 계량화를 시도했다는 점에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연구에서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의미를 가진다.

more

초록/요약

Risk factors in modern society are becoming more and more diverse. As a complex community environment is created, problems that are difficult for individuals to respond to such as terrorism, strikes, infectious diseases, and cyber infringement frequently occur. Resolving such problems is demanded to be the responsibility of the state accordingly. COVID19, declared as a global pandemic in March 2020, has been lasting for more than a year now affecting society and economy to a great extent. COVID19 is significant in South Korea because S. Korea suffered great damage from MERS in 2015 due to inadequate government response. COVID19 could be an opportunity to confirm the current state of the government's response to an infectious disease crisis as it broke out after the increase in public awareness of infectious diseases and the importance of the crisis management system and crisis communication of the government were recognized. This study analyzed the government's crisis communication messaging and examined how the media covered it, focusing on the fact that crisis response and crisis communication regarding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re recognized as the main purview of the government. Through language network analysis of press releases and news produced by the government and the media during the COVID19 crisis, the goal is to identify the keywords and main messages that were emphasized. It attempte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governmental crisis communic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studied data from December 31, 2019, when COVID19 was first reported in S. Korea, to September 30, 2020. Depending on the pattern of spread, it was divided into 4 timelines for analysis, the first phase from overseas inflow (December 31, 2019 ~ February 17, 2020), the second phase from the Shincheonji Church of Jesus (February 18 ~ May 5), the third phase from group facilities (May 6 ~ August 11) and the fourth phase from the Gwanghwamun protest (August 12 ~ September 30). The data subjects included a total of 700 COVID19-related press releases and 96,959 news pieces published o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ebsit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NetMiner4.4, a social network analysis program with term frequency and degree centrality set as analysis indicators. In this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e main keywords in the messages the government and the media sent to the public regarding COVID19 and what kind of network these keywords formed. As a result of analyzing press releases and news, it was common that both the government and the media had the majority of messages to providing public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on confirmed patients or those quarantined, and the route of infection. The difference was that the government had a tendency to objectively and transparently deliver the status of COVID19 transmission and the government's response.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government tried to minimize confusion by revealing preventive measures and test methods so that the people could act according to their circumstances. Meanwhile, the media had a tendency to generate issues by covering the groups and regions that caused the spread of COVID19 while focusing on the COVID19 transmission situation announced by the government. In addition, they paid attention to conflict factors such as the economic impact and also tended to generate an issue by choosing rather negative and stimulating words when expressing i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done through prior research and crisis communication principles, the government's crisis communication was conducted using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s the control tower and the government promoted consistency through cooperation with relevant ministries and accuracy by utilizing statistics. The government announced briefings on a regular basis and attempted to deliver information transparently and promptly by actively utilizing emergency alert messages, and suggested direct and effective action guidelines based on clinical and infection cases. In the COVID19 crisis communications,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government has delivered accurate information and direct action guidelines based on the principles of transparency, promptness, and consistency, which is more advanced than the crisis communication during the MERS outbreak.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the development of messages based on the principle of conciseness was still insufficient as leading the public to participate in daily prevention practice failed due to the lack of conciseness of the message during the transition of social distancing levels.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ed to analyze the government's message related to COVID19 as the current crisis communication research is insufficient. There is academic significance in the attempt of quantifying the government's crisis communication messaging using content analysis through language network analysis techniques and a policy implication in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et the direction of future crisis communic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