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교사의 미디어리터러시가 온라인수업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dia Literacy on Teaching Efficacy in Online Classes
- 주제(키워드) 초등교사 미디어리터러시 , 온라인 수업 교수효능감 , 미디어리터러시 , 온라인 수업 , 교수 효능감 , 교사 교육 , Media Literacy ,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dia literacy , Online class teaching efficacy , teaching efficacy , teacher educa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나은영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미디어교육
- UCI I804:11029-00000006573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코로나19로 인한 학교 교육과정의 정상 운영이 불가능해지면서 사상 초유 온라인 학습을 전면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미래 학교 교육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과 그 가능성에 대해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미디어리터러시가 온라인수업 교수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국에 재직하고 있는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55부의 설문지를 결과분석에 사용하였다. 초등교사의 미디어리터러시를 측정하기 위해 안정임 외(2012)의 미디어리터러시 측정 도구를 바탕으로 김경희 외(2019)에서의 미디어리터러시 측정 항목을 참고 및 재구성하여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온라인수업 교수효능감의 경우 STEBI-B 문항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 측정 도구를 개발한 이소율 외(2018)의 측정 문항을 참고 및 수정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분석을 하였다. 초등교사의 배경변인별 특성, 초등교사의 미디어리터러시와 온라인수업 교수효능감의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미디어리터러시 측정도구와 온라인수업 교수효능감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내적 합치도 Cronbach's alpha를 산출하였고,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배경 변인별 초등교사의 미디어리터러시와 온라인수업 교수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교사의 미디어리터러시와 온라인수업 교수효능감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다중 회귀분석, 외생변수를 통제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미디어리터러시와 배경변인별 평균점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미디어리터러시 하위 요인 중 접근과 활용이 교직경력 간 유의미한 점수 차이를 보였다. 21년 이상의 경력 교사의 평균이 21년 미만의 다른 경력의 교사보다 접근과 활용 평균 점수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미디어리터러시 관련 연수 경험에 따라 미디어리터러시 하위 요인 간에는 유의미한 평균 점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기존 미디어리터러시 연수와 관련하여 효용성을 다시 검토해보아야 한다는 시사점을 던져주었다. 둘째, 초등교사의 온라인 교수 효능감은 성별과 미디어리터러시 관련 연수 경혐에서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성별의 경우 온라인 교수 효능감 중 개인 효능감이 남성 교사가 여성 교사보다 더 높았다. 미디어리터러시 연수 경험과 관련하여서는 경험이 있는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해 개인 효능 점수가 더 높았다. 셋째, 초등교사의 미디어리터러시는 온라인 수업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교사의 미디어리터러시 하위 요인 중 관용성, 접근과 활용, 비판적 이해는 온라인수업 개인 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초등교사의 미디어리터러시 하위 요인 중 사회적 소통과 관용성은 온라인수업 결과기대 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초등교사의 미디어리터러시 역량이 증가하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교수효능감도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 특성인 성별, 미디어리터러시 관련 연수경험 유무, 교직경력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였을 때에도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교사들의 미디어리터러시가 어떻게 교사들의 교육 활동과 구체적으로 관련이 있는지 연구할 필요성과 그동안 단기적이고 일회성에 그쳤던 미디어리터러시 관련 연수 프로그램 및 교사 교육에 대한 체계적이고 세부적인 보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more초록/요약
As the normal oper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became impossibl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face-to-face lessons are now converted into on-line classes in general. Experiencing this unavoidable situation, there has been much discussion about the needs and possibilities of change in schoo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media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uld influence the teaching efficacy in online classes. This study has used a total of 255 questionnaire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se surveys were conducted online with participan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nationwide. To measure the media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study used a revised version of the scale for media literacy that was originally developed by Ahn Jung Im, Seo Youn Kyung, Kim Sung mi(2012) and also referred to Kim Kyung Hee, Kim Gwang Jae, Lee Sook jung(2019)’s scale for media literacy. Teaching efficacy in online classes was particularly measured with the modified version of the scale developed by Lee So Yul, Lee Young Jun (2018). It is a software measuring device to determine the scale of teaching efficacy of education based on STEBI-B questions. The quantitativ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 descriptive analyses were conducted by calculating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ach background. Second, Cronbach's alpha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of the media literacy and the scale of the online class teaching efficacy, also the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Besides,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to evaluate whether there would be a difference in the online class teaching efficacy and the media literacy of elementary teachers within background variables. Finally,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evance of media literacy and the online class teaching efficacy of elementary teachers.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data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ing careers in the ability to access and application of media literacy. Teachers who have been working for more than 21 years tended to have a lower average in the ability to access and application of media literacy than other teachers with less than 21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media literacy sub-factors between teachers who had training experiences related to media literacy or not. However, it sugges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media literacy training programs that have been actively operated should be re-examined and improved in the right way. Second, when it comes to teaching efficacy in online class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nd the existence of training experiences related to media literacy. The personal teaching efficacy of male teachers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female teachers’. Regarding the experience of media literacy training, experienced teachers had higher personal teaching efficacy than those who have not. Third, the media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s been shown to have an effect on their teaching efficacy in online classes. The sub-factors of media literacy, access and application, tolerance, and critical understanding had a static effect on the personal teaching efficacy of online classes. Additionally, social communication and tolerance had a static effect on the expected efficacy of online classes too. This means that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dia literacy increases, their teaching efficacy in online classes also increases. The same result was shown in gender differences, training experiences related to media literacy, and teaching experiences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Based on the analysis, some suggestions can be proposed that there should be much more concrete studies on how teachers' media literacy is specifically related to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Furthermore, policy support for the systematic and detailed supplementation of media literacy training and teacher education program is need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