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일 호기심이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조직지원의 조절 효과

The Effect of Work-­Related Curiosity on Job Crafting :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초록/요약

This study explored how employees with high work­related curiosity perform their work in organization. Especially we examin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curiosity and job crafting changes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POS). To be more clearly understood the nature of curiosity, the Multi­dimensional workplace curiosity scale(Kashdan et al., 2020) that composed of four factors was divided into two dimensions, interest and depriv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second-­order model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Considering the level of POS, interest and deprivation of work­related curiosity affects positively cognitive, task, and relational crafting of job craftiong. In addition, as the level of POS increases, employees with high interest dimension of curiosity will attempt more cognitive, task, and relational crafting, but those with high deprivation dimension of curiosity will not. This study verified the validity of two dimension of the work­related curiosity, and presented what role curiosity plays in organizational behaviors like job crafting according to organizational context.

more

초록/요약

이 연구에서는 일에 대한 호기심이 높은 직원이 자신의 일을 어떻게 해 나가는지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310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일 호기심과 잡크래프팅을 측정하고, 이 둘 간의 관계가 지각된 조직지원의 수준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우선, 호기심의 특성을 내적 동기인 흥미(Interest Curiosity)와 정보의 부족으로 인한 결핍(Deprivation Curiosity)으로 구분한 선행 연구에 따라, 일 호기심 척도(Multi-dimensional Workplace Curiosity Scale: M-WCS, Kashdan et al., 2020)가 이 둘의 특성을 적절하게 가지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구조방정식(Structure equation model: SEM)의 고차 요인분석 결과, M-WCS는 흥미와 결핍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후 지각된 조직지원의 수준에 따라 일 호기심의 각 차원이 잡크래프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 흥미 및 결핍 차원의 호기심은 잡크래프팅의 하위 유형인 인지, 과업, 및 관계 크래프팅에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지각된 조직지원은 흥미 차원의 호기심이 인지, 과업, 및 관계 크래프팅에 미치는 정적 영향력은 증가시켰지만, 결핍 차원 호기심의 정적 영향력은 조절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일 호기심 척도의 타당도와 상위 차원의 특성을 확인하고, 일 호기심 조직 맥락에 따라 잡크래프팅과 같은 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