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PP 모형에 기반한 자유학년제 평가 도구 개발 : 주제선택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Instrument based on the CIPP Evaluation Model for the Middle School Free Year System : Focusing on the 'Elective Class Program'
- 주제(키워드) 자유학년제 , 자유학기제 , 자유학기 프로그램 , 주제선택 프로그램 , CIPP 모형 , free year system , free semester , free semester programs , elective class program , CIPP evaluation model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이예경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교육공학-교육행정융합
- UCI I804:11029-00000006571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CIPP 모형에 기반하여, 자유학년제에서 운영되는 자유학기 프로그램 중 주제선택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도구를 문헌 분석과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개발하였다. 먼저 자유학년제, 주제선택 프로그램, CIPP 모형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평가 도구의 4개의 유형(상황, 투입, 과정, 산출)과 10개 영역(목표, 요구 분석, 준비, 문화, 자원 계획, 프로그램 계획, 자원 활용, 프로그램 적용, 만족도, 효과성)에 걸쳐 56개 평가 항목을 추출하였다. 56개 평가 항목에 대해 전문가 11인의 델파이 조사를 진행했고, 그 결과 최종 54개의 문항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평가 도구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첫째, 선행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도구들과 비교하였을 때 자유학년제의 주제선택 프로그램의 주요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한 평가도구이다. 둘째, 프로그램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CIPP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평가도구이기 때문에 학교 현장에서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의사결정에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셋째, 평가도구에 정책의 방향을 반영하고 델파이 조사 단계에서 다양한 교과, 학교 규모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검증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비교적 다양한 주제선택 프로그램에 포괄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 도구의 10개 영역에 대해 문헌 분석 외에 교사와 내용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타당성의 검증이 필요하다. 둘째, 평가 문항에 대한 양적 분석을 통해 객관성을 확보한 일반화된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valuation instrument based on the CIPP evaluation model for the middle school free year system 'elective class' program. Previous research analysis and delphi methods were used to accomplish this task. The process of this study were: 1) Four domains and 10 categories tith a total of 56 evaluation irems were extract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2) A delphi survey consisting of 11 experts was carried out, and 3) Analysis of the delphi survey resulted in 54 final evaluation items. The features of the final evaluation tool are as the follow: First, compared to evaluation tools developed in the preceding study, it is an evaluation instrument that could be applied specifically to the elective class program. Second, because it is an instrument for evaluation developed based on a CIPP evaluation model aimed at improving programs, it can play a facilitating role when making decisions to improve school programs. Third, since the evaluation tool was developed to reflect the direction of the free semester policy and had been verified by experts and teachers of various subjects and school sizes, it can be applied comprehensively to relatively diverse elective class program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re: First, the 10 evaluation categories need to be validated by teachers and content expert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generalized evaluation instrument based on a more relatively objective method using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