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의 영역에 대한 인식 연구 :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A Perception Study on the area of Lifelong Education : Focused on School Education
- 주제(키워드) 평생교육 , 학교교육 , 유네스코 고전문헌 , 사회교육 , 평생교육법 , 평생교육사 , 평생교육 영역 , lifelong education , school education , UNESCO , classical literature , social education , lifelong education act , lifelong educator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정유성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평생교육
- UCI I804:11029-00000006570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인간은 학교교육을 통해 한정된 기간에 교육을 마치는 것이 아니라 학교교육 이전과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교육을 받아야 하고, 이를 위해 어느 누구도 평생교육의 기회를 박탈당하지 않도록 모두를 위한 교육의 추구가 요청되고 있다. 이는 평생교육이 단순한 이론이나 이상이 아니라 구체적이며 규모 있는 실제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사업과 프로그램의 근간이 되어야 하는 평생교육의 개념은 여전히 불명확하거나 혼란스럽다. 특히 평생교육법을 규정하는 학술 영역, 법 영역, 현장 영역에서 평생교육과 학교교육의 포함관계가 좀처럼 명확하지 않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배경으로 하여, 문헌조사와 심층인터뷰의 연구방법을 기반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전문헌에서 보는 학교를 기술한 평생교육은 학교교육을 포함한다. 교육은 학교교육을 마침으로써 끝나는 것이 아니고 평생동안 계속된다. 그리고 평생교육은 성인교육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교육 단계를 포함하고 통합한다. 따라서 평생교육은 형식교육과 비형식교육, 우연적 학습은 물론 계획된 학습을 포함한다. 그리고, 가정, 지역사회, 일반 학교나 대학, 그리고 훈련센터 같은 모든 교육기관은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일생의 각 단계의 수직적 계속성과 연결을 추구하고, 각 단계의 수평적 그리고 심층적 차원의 통합을 추구한다. 결국 삶의 연결고리로써 평생교육은 학교교육을 포함한 모든 전반적인 교육활동을 의미한다. 둘째, 평생교육법에서 인식되는 평생교육과 학교교육은 분리되어있다. 평생교육법을 살펴본 결과, 평생교육법은 사회교육법의 정의를 답습하고 있다. 1997년에 제정된 평생교육법은 명칭만‘사회교육법’에서‘평생교육법’으로 바뀌었을 뿐, 1982년에 제정된 사회교육법의 정의를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 2007년 개정 평생교육법도 여전히 기존의 평생교육 개념을 고수하고 평생교육의 영역을 부가한 수준에 머물러 그 적용 범위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고, 여타의 평생교육 관련법의 기본법으로서의 위치를 명확하게 확보하지 못했다. 셋째, 대부분의 평생교육사들은 평생교육은 학교교육을 포함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평생교육사들을 대상으로 평생교육의 학교교육 포함 여부에 대한 개념 인식과 그렇게 인식하고 있는 이유와 근거에 대해 확인하였다. 조사를 통해 이론과 실천 현장의 괴리로 인해 사업 내용과 방향성이 달라질 수 있고, 지자체 간의 협업의 어려움과 예산 부족 등, 궁극적으로 사업의 결과에도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평생교육 고전문헌과 평생교육사들은 평생교육에 학교교육이 포함된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는 평생교육에 학교교육이 포함된다는 당위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반면에 평생교육법상에서는 평생교육과 학교교육을 분리하여 보고 있고 있다. 평생교육의 이념을 구체화하는 토대로서 평생교육법이 존재하고, 평생교육법을 기반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과 평생교육 사업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의 발생 소지가 있다.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사업 기반인 평생교육법을 토대로, 이론과 실천 현장의 불일치 부분을 개선하고 사업에 힘을 실을 수 있도록 향후 평생교육이 학교교육을 포함한다는 내용에 대한 개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이와 견해가 다를 수 있는 학교교육관계자들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합리적 처리 방안도 우선적으로 마련해 둘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평생교육사는 ‘평생교육 기획·진행·분석·평가·교수 전문가로서 준비가 되었나?’ 자문자답할 수 있어야 한다.
more초록/요약
Human beings should not complete education in a limited period of school education, but should continue to receive education before and after school education. To this end, the pursuit of education for all is being called for so that no one is deprived of the opportunity for lifelong education. This means that lifelong education has become a concrete and scale reality, not just a theory or an ideal. Nevertheless,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is still unclear or confusing, which should be the basis for a business or program. Especially in the academic, legal, and field areas, the inclusion 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is rarely clear. This study was based on the research methods of literatur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based on this problem recognition backgrou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ifelong education that describes a school in the classical literature includes school education. Education does not end at the end of school education, but lasts for a lifetime. And lifelong education is not limited to adult education, it includes and integrates all educational levels. Thus, lifelong education includes formal education, informal education, accidental learning as well as planned learning.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homes, communities, general schools, universities, and training centers, seek vertical continuity and connectivity at each stage of their lives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and seek horizontal and in-depth integration. After all, as a link in life, lifelong education means all overall educational activities, including school education. Second, lifelong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recognized by the Lifelong Education Act are separat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ifelong Education Act, the Lifelong Education Act follows the definition of the Social Education Act. The Lifelong Education Act enacted in 1997 only changed its name from the Social Education Act to the Lifelong Education Act, but it still accepts the definition of the Social Education Act, which was enacted in 1982. The 2007 revised Lifelong Education Act still adhered to the existing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and remained at an added level to the scope of lifelong education, fail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its scope, and not clearly securing its position as a basic law on lifelong education. Therefore, the relevant laws need to be reorganized. In particular, the amendment of the associated provisions of the Lifelong Education Act cannot be resolved only,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al lifelong education clause, the readjustment of the lifelong education concept under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and the restructuring of the lifelong education concept under individual laws. Third, most lifelong educators recognize that lifelong education includes school education. The conceptual perception of school education, including lifelong education, and the reasons and grounds for it were confirmed to lifelong educators. Through the survey,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ject contents and direction could be changed due to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sites, and that it ultimately exerts a great influence on the results of the project, such as difficulties in collaboration and lack of budget among local governments. It was confirmed that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lack of budge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sults of the project. Like this, the lifelong education that describes a school in the classical literature includes school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ors. This justifies the inclusion of school education in lifelong education. On the other hand lifelong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recognized by the Lifelong Education Act are separated. Since the Lifelong Education Act exists as the basis for shaping the ideology of lifelong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lifelong education projects are underway based on the Lifelong Education Act, there are many problems. Based on the Lifelong Education Act, the business base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discussions are needed on the revision of the content that future lifelong education includes school education to improve discrepancies in theory and practice sites and empower business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irst come up with reasonable measures to help school education officials understand that their views may differ. Lastly, lifelong educators should be able to answer questions like "Are you ready as an expert in lifelong education planning, progression, analysis, evaluation, and professor?"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