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직업무용수의 몰입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Flow for Professional dancer A Phenomenological Study

  • 주제(키워드) 직업무용수 , 몰입 , 현상학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안현균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 UCI I804:11029-00000006565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Dance is the most primitive culture in which the human body and consciousness are totally implem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henomenologically investigat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the "immersive experience," which is the experience of a professional dancer performing a danc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xperiential definition of immersiveness displayed in a dance performance? Second, what are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essence of the immersive experience of performing a dance? Two research issues related to immersiveness in dance were discussed in comparison to the nine components of the immersive experience model presented by Csikszentmihalyi (1975). The immersive experience of the nine professional dancers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was classified as meaning through the "method of experiential depiction and analysis" that is the basis of phenomenology.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and interpretations, the following points were clarified in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1. The elements of the experiential definition of immersive professional dancer have the following two characteristics. 1) Experience as a continuous experience, 2) Immersive experience of experiential spatiality. 2. The experience that a dancer is experiencing at run time as an element that constitutes the essence of the immersiveness of a professional dancer can be clarified by semantic classification. The immersive experience presented by Csikszentmihalyi was classified into nine model semantic categories based on the immersive experience description of the study participants. 1) Harmony of tasks and technology, 2) Clear goals, 3) Matching actions and perceptions, 4) Immediate feedback, 5) Control, 6) Loss of self-consciousness, 7) Doing tasks Focus on tasks, 8) Distortion of the concept of time, 9) self-purpose. 3. The essence of the dance experience is the physical movement of the attendant in the dimensions of space and time and the subjective phenomenon of the flow of time felt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From these points of view, the immersive experience reproduces the following three types of existential experiences, and can be characterized by the method of the recognition system. 1) experiential spatiality, 2) experiential temporality, 3) experiential physicality. Keyword : Professional dancer, Immerse yourself, Phenomenology

more

초록/요약

무용은 인간의 신체와 의식이 총체적으로 구현된 가장 원초적인 문화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무용수의 무용 수행 중 체험하게 되는 ‘몰입경험’의 본질적 특성과 구조를 현상학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첫째, 무용 수행에서 나타나는 몰입의 체험적 정의는 무엇인가? 둘째, 무용 수행에서 체험되는 몰입의 본질적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무용에서 몰입과 관련되는 두 가지 연구 문제들은 Csikszentmihalyi(1975)가 제시한 몰입경험 모델의 9가지 구성요소들로 비교, 논의되었다. 연구 참여자로 선정된 직업무용수 9명의 몰입에 대한 체험이 현상학의 근거인‘체험적 묘사와 분석 방법’을 통하여 의미화 및 범주화되었다. 분석된 연구 결과와 해석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이 연구의 결론으로 명료화되었다. 1. 직업무용수의 몰입에 대한 체험적 정의 요소는 다음 두 가지의 특징을 갖는다. 1) 지속적 체험으로서의 경험, 2) 체험적 공간성의 몰입경험. 2. 직업무용수의 몰입에 대한 본질적 구성요소로 무용수들이 수행 시에 겪게 되는 경험을 의미범주화로 명료화할 수 있다. 연구 참여자들의 몰입경험 체험 묘사를 근거로 하여 Csikszentmihalyi가 제시한 몰입경험을 모델 9가지 의미범주들로 분류했다. 1) 도전과 기술의 조화, 2) 명확한 목표, 3) 행위와 인식의 일치, 4) 즉각적인 피드백, 5) 통제력, 6) 자아의식 상실, 7) 수행과제에 대한 집중, 8) 시간개념의 왜곡, 9) 자기 목적성. 3. 무용 경험의 본질은 공간과 시간의 차원으로 수행자의 신체적 움직임과 연구 참여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시간의 흐름에 대한 체험 현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몰입경험은 다음 세 가지의 실존적 체험이 재현되고 있으며 인식체계의 방식을 특징 지을 수 있다. 1) 체험적 공간성, 2) 체험적 시간성, 3) 체험적 신체성. 주제어 : 직업무용수, 몰입, 현상학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