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법인 현지채용인의 지각된 조직 명성이 이직의도 및 실제 이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prestige on host country nationals’ turnover intention and actual turnover
- 주제(키워드) 지각된 조직 명성 , 이직의도 , 이직 , 현지채용인 , 다수준 생존분석 , perceived organizational prestige , turnover intention , actual turnover , host country national , multilevel survival analysi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장재윤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UCI I804:11029-00000006564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현지채용인의 이직을 줄이는 것은 다국적 기업의 성공과 직결된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이들의 이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지각된 조직 명성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지각된 조직 명성이 이직의도와 실제 이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소재 글로벌 기업의 50개국의 해외 법인에 속한 4,356명의 현지채용인을 대상으로 지각된 조직 명성과 이직의도를 측정하였으며, 1년 뒤 이들의 이직 여부와 이직 시점을 추적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현지채용인은 각 국가에 내재되어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다수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수준 회귀 분석 결과, 지각된 조직 명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은 경향이 있었다. 또한 다수준 Cox 비례 위험 모형 분석 결과, 지각된 조직 명성이 높을수록 1년 뒤의 이직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more초록/요약
Lowering the turnover rates of host country nationals is one of the key issues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success of multinational enterpris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prestige on both turnover intention and actual turnover of the host country nationals. With support from a multinational enterprise located in South Korea, data was collected from 4,356 host country nationals working at overseas subsidiaries in 50 countries. Turnover data was obtained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approximately 12 months after the initial investigation which included self-report measure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prestige and turnover intention. Since the host country nationals were nested in each country, a multilevel analysis was conducted. First, a multilevel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prestige was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Second, multilevel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indicated that an increase in perceived organizational prestige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the hazard of turnover.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