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외국인 임직원과의 접촉이 다국적기업 자회사 현지 직원의 조직 일체감에 미치는 영향 및 조직 관행 현지화의 조절 효과

The effect of contact with foreign managers on th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f MNE subsidiary host country managers and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practice localization

초록/요약

본 논문은 다국적기업의 자회사에서 근무하는 현지 직원의 다국적기업에 대한 조직 일체감을 높이는 자회사 수준의 변수를 찾아 자회사 차원에서 유의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집단 간 접촉과 개인의 정체성과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외국인 임직원과의 접촉의 긍정적인 효과와 자회사 현지화 수준의 조절 효과를 살펴본다. 외국계 다국적기업의 우리나라 자회사 56곳의 우리나라 직원 374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국인 임직원과의 접촉이 긍정적일수록 자회사 직원의 다국적기업에 대한 조직 일체감이 높으며, 이는 자회사의 현지화 수준이 낮을 때 더 크게 나타났다. 본 논문은 다국적기업에 대한 조직 일체감은 다국적기업 관련 변수의 영향을 받는다는 기존 선행 연구의 틀에서 벗어나 자회사 수준의 변수의 유의성을 확인하고 나아가 자회사 내부적으로 어떻게 자회사 직원의 다국적기업에 대한 조직 일체감을 개선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통찰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o explore a subsidiary-level variable that significantly affects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f subsidiary host country managers with MNE and to provide practical insights to subsidiaries, our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ories related to intergroup contact and social identity, the effect of positive contact with foreign managers and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practice localization were examined. We test our hypotheses from 374 host country managers in 56 subsidiaries in Korea.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more positive subsidiary host country managers perceived the contact with foreign managers, the higher the level of their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with MNE appeared. Moreover, organizational practice localization negatively moderated the forementioned relationship. Our findings have cri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presents a significant subsidiary-level variable that affects identification with MNE and in that managerial and specific guidelines for subsidiaries can be draw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