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기에 지각된 아동기 부‧모의 돌봄과 대인관계 능력의 관계 : 건강한 자기애의 매개효과 및 부‧모 과보호의 매개된 조절효과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Parental Care Perceived by an Adul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y Narcissism and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Parental Overprotection
- 주제(키워드) 부 돌봄 , 모 돌봄 , 부 과보호 , 모 과보호 , 건강한 자기애 , 대인관계능력 , father’s care , mother’s care , father’s overprotection , mother’s overprotection , healthy narcissism , interpersonal competenc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한기백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UCI I804:11029-00000006559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성인기에 지각한 부ㆍ모 돌봄이 대인관계능력을 예측함에 있어 건강한 자기애와 부ㆍ모 과보호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부ㆍ모 돌봄, 부ㆍ모 과보호, 건강한 자기애, 대인관계능력 4가지 척도로 구성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530부의 자료를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 를 사용하여 매개효과 및 매개된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 돌봄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건강한 자기애의 부분 매개역할이 확인되었다. 둘째, 모 돌봄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건강한 자기애의 완전 매개역할이 확인되었다. 셋째, 부 과보호는 부 돌봄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건강한 자기애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매개된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모 과보호는 모 돌봄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건강한 자기애의 매개효과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매개된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함의와 제한점 및 추후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childhood parental care perceived in adulthood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y narcissism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overprotection. For this purpose, from October 12 to 13, 2020, online survey, consisted of demographic information, parental care, parental overprotection, healthy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completed by adults over 19 years old throughout the nation. The data collected from 530 participants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al analysis using SPSS 25.0. And single mediation effect and mediated moderation effect was analyzed using SPSS Macro.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healthy narcissism was ident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car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econd, a fully mediation effect of healthy narcissism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ar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ird, father’s overprotection has been shown to control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y narciss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car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at is to say,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was significant. Fourth, it was found that mother’s overprotection did not control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y narciss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ar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at is to say,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