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제도주의로 본 북한의 자원법 변화 연구 : 개정 과정과 요인을 중심으로
Historical Institutionalism Study on the Changes in North Korea Resources Law: Focusing on the Amendment Processes and Causes
- 주제(키워드) 북한 , 인민 , 역사적 제도주의 , 지하자원 , 경로의존성 , North Korea , The People , Historical Institutionalism , Underground Resources , Path Dependenc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영수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정치외교학과
- UCI I804:11029-00000006559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1990년대 초반부터 나타난 북한 자원법의 변화에 학문적 관심을 가지고 변화를 촉진하는 요인으로 국가와 ‘인민’의 관계에 주목했다. 이를 위해, 북한의 지하자원법, 석탄법, 중소탄광법의 제·개정 과정과 온성 및 순천지역의 실제 사례를 통합하여 분석해 1990년대 중반 이후 나타난 북한 정권과 ‘인민’의 관계 변화를 보았다. 관계 변화의 균형적인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국가와 ‘인민’, 제도 등의 요인을 역사적 제도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구조-제도-행위의 통합적 분석 틀로 사용하여 자원법의 제·개정 과정과 그 특징을 분석했다. 분석을 통해 북한 정권이 구조적 한계 속에서‘인민’의 ‘이념’적 변화에 대한 침묵과 통제를 반복했지만, 결국에는 지하자원의 생산과 이용에서‘인민’의 역할을 부분적이지만 제도적으로 수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본 연구는 자원법의 변화를 통해‘인민’은 제도적 제약의 대상인 동시에 제도적 변화를 촉진하는 존재로 그 지위가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는 북한 자원법의 제·개정 과정의 특징은 경로의존성과 지각효과가 있음을 발견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제도주창자로서 인민의 지위는 향후 더 공고해질 것이며 북한의 다양한 부문법의 변화에 영향을 줄 것이라 주장한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people’ in North Korea, as a main factor triggering the changes in North Korea’s resources law since the beginning of the 1990s. To this end, the process of enacting and amending North Korea's Underground Resources Act, Coal Act, and Small and Medium Coal Mine Act, as well as actual cases in the Onseong and Suncheon areas were analyzed to illuminate the apparent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rth Korean regime and the ‘people’ after the mid-1990s. For a balanced analysis of changes in relations, this study uses structure-institution-action integrated framework based on historical institutionalism, and highlights the process of enacting and amending the Resources Law and their features through the lens of factors such as the state, ‘people’, and institutions. This analysis shows that though the North Korean regime had repeatedly silenced and controlled the ‘ideological’ change of the ‘people’ within structural limits, it eventually accepted the institutional role of the ‘people’ at least partially in the production and use of underground resources. In other words, this study argues that the position of ‘people’ is emerging as an entity that promotes institutional changes at the same time as being subject to institutional constraints through the changes in the resources law. In addition, this study finds that path dependency and tardiness effect are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enactment and amendment of the North Korea’s Resources Law. Finally, this study argues that the status of the people as institutional entrepreneur will be further strengthened and stretched, and this change will have an impact on the amendment of various sectoral laws in North Korea.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