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Investigating Word Orders Through Silent Gesture

초록/요약

The present thesis intends to find out experimentally whether a cross-linguistic universal, a cognitive universal, or one’s native language determines word order while nonverbally narrating three types of a non-reversible transitive event, accusative (ACC), directive (DIR), and locative (LOC). In order to explore this question concerning universal and language-particular views, a total of twenty Korean and Chinese speakers have been compared in the way in which a nonverbal re-enactment of events is organized in terms of word order.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seventeen stimulus event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use cards of the shapes □, ♧, △, ♡, ☆ and ○ in order to retell the event in the illustration in silence. Participants used gesture in demonstrating with the assistance of shape cards on seventeen events. It was discovered that, while SOV was most frequently employed in both groups, SVO was also observed to vary with spatial relations among nouns and/or motions in DIR and LOC events in both Korean and Chinese re-enactments. This observation indicates that both Korean and Chinese groups did not consistently display the word order dominantly employed in each of their native languages, SOV and SVO. Specifically, SOV was dominantly favored by both groups across the three types of transitive events ACC, DIR, and LOC, yet their production of word order SVO was likely to be related to types of stimuli, to LOC involving spatial relations among objects and motions, in particula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existing between SVO and LOC types of stimuli re-enacted by both groups. In Korean gesture narrations, there was also an additional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observed between SVO and DIR events. These findings put together seem to allow us to conclude that first language may not dominate the way in which a transitive event is organized in nonverbal narrations. Based on these main findings, it is concluded that, while no definite answer to the research question on the basic word order can be given with certainty, subject-prominence or topic-prominence seems to have a role to play at how transitive events are re-told visually in gesture irrespective of the signer’s first language.

more

초록/요약

본 논문은 한국인과 중국인 모국어 화자가 주어, 목적어, 타동사성 동작이 포함된 사건을 비언어적 몸짓(gesture)으로써 어떤 순서로 표현하는지에 대한 실험 연구이다. 본 실험 결과를 토대로 하여, ‘교차 언어적 보편성’ (cross-linguistic universal), ‘인지적 보편성’ (cognitive universal), ‘모국어(native language) 영향’ 등 세 가설을 검증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한국인과 중국인 화자 각 10명씩 모집하여 각 사건을 어떤 어순으로 표현하는지를 비교 검토하였다. 본 실험에는 총 17개의 그림 자극물과 6가지 도형 (□, ♧, △, ♡, ☆, ○ )이 그려진 카드가 제작되었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 모두에서 주어(S(ubject))-목적어(O(bject))-동사(V(erb)) 어순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두 집단 모두, 처소격 사건과 SVO 어순 채택 간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임이 (p<.05) 관찰되었다. 또한, 한국어 모국어 화자 피험자들은 처소격 사건 외에 여격 사건과 SVO 어순 채택 간의 상관관계가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p<.05).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모국어 화자와 중국어 모국어 화자 모두 SOV와 SVO를 차별적으로 사용했음을 관찰했다. SOV와 SVO 두 어순은 S가 O를 선행한다는 공통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교차 언어적 보편성’을 지지할 가능성이 있으며, ‘인지적 보편성,’ ‘모국어 영향’ 등 두 가설은 지지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들이 두 집단 모두 각 사건에 포함된 사물과 동작 간의 공간적 관계에 민감했을 가능성이 관찰되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피험자들이 처소격이나 여격의 사건 여부에 따라 SOV나 SVO로 변형하여 반응했다는 사실은 사건 내의 사물과 동작 간의 공간적, 의미적 요소에 민감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사적인 관점에서 제안된 ‘교차 언어적 보편성’이 지지할 가능성이 있지만, 한편, 이 보편성이 주어의 현저성(subject prominence)인지, 또는 의미화용론적 관점에서 강조하는 주제어 현저성(topic prominence)인지의 여부는 미래 연구에서 밝혀져야 할 과제로 남는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