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건의하는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Study on Education Suggestion Writing

초록/요약

본 연구는 변화된 사회 분위기에 따라 사회적 실천으로서 건의하는 글을 효과적으로 쓸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의 범위를 파악하고 구체화하여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건의하는 글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읽을 수 있는 글이다. 실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건의하는 글을 쓰게 한다는 것은 텍스트가 지닌 사회적 실천의 ‘힘’을 학습자가 스스로 문식 실천의 주체가 되어 경험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학습자는 미래 사회를 대비하여 능동적으로 사회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하는 힘이 필요하다. 건의하는 글쓰기는 삶과 결부하여 공동체의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힘을 경험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기존 건의하는 글쓰기의 교육 내용은 실생활에 나타나는 문제 상황의 맥락을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해결 방안의 제시까지 연결 짓지 않아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한 편의 건의하는 글을 쓰는 데 부족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가 자신이 속한 사회 공동체의 문제 해결을 위해 의미를 구성하고 사회적 실천의 형태로서 건의하는 글을 작성할 수 있도록 건의하는 글의 교육 내용 범위를 구체화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건의하는 글쓰기 교육 방안 마련의 토대를 만들기 위하여 먼저 건의하는 글과 관련된 교육과정 성취 기준을 검토하여 지향점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현행 고등학교 선택 과목인 『화법과 작문』 교과서에서 건의하는 글의 교육 내용으로 주요하게 다뤄지는 학습 요소가 무엇인지를 출판사별로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건의하는 글쓰기의 교육 내용이 교과서별로 상이하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교과서 검토로 파악한 학습 요소가 실제 학습자의 글쓰기 자료에서는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여 건의하는 글의 교육 내용 범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건의하는 글에서는 적절한 해결 방안의 제시를 위해 상황 맥락을 고려한 현안 분석의 교육 내용이 필요하며, 현안 분석과 해결 방안이 유기적인 연결 속에서 학습되어야 함을 밝힐 수 있었다. 그리고 해결 방안의 조건 점검이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국어과적인 범위에서 제시되어야 함을 밝힐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실제 학습자의 글쓰기 자료를 통해 파악한 결과를 토대로 건의하는 글의 교육 내용 범위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 요소별 범위와 학습 요소 간 관련성을 제시하였으며, 사회적 실천 행위로서 효과적으로 건의하는 글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습 활동을 재구성하여 국어과적 범위에서 교육 내용의 실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건의하는 글은 학습자가 실제 삶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글이다.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건의하는 글쓰기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을 반영한 교과서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선택 과목인 『화법과 작문』 교과서 검토를 통해 건의하는 글의 학습 요소가 상이하여 교육적 범위의 파악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실제 학습자 자료 분석을 통해 재구성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건의하는 글쓰기 성취 기준으로 제시되는 현안 분석의 필요성을 실제 학습자 자료 분석을 통해 밝혔다는 점, 이를 통해 한 편의 건의하는 글을 효과적으로 작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교육 내용 범위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pecify and present the scope of educational content so that the suggestion writing can be effectively written as a social practice according to the varying social situations. Suggestions are commonly readable in everyday life. Making a person write a suggestion that is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is meaningful in that it allows learners to experience the 'power' of social practice in text as the subject of literary practice. The learner needs the power to actively solve problems happening at the community in the future, and education on suggestion writing related to learner's life can be a means to experience seeking for social solutions. Educational contents of the existing suggestion writing were judged to be insufficient for the learners to write a suggestion effectively because they closely analyzed the context of the problem situation in real life and did not link it to the presentation of solutions. In respon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clarify and propose the scope of educational content of the text, which suggests that learners can organize meanings to solve problems in their social communities and make recommendations as a form of social practice. Chapter Ⅱ identified the goals of curriculum achievement criteria related to the suggestion writing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suggestion writing education plan. In addition, each publisher identified what learning elements are mainly covered by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text proposed in the current high school elective course, <Discourse and Writing>.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existing suggestion writing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extbook. In Chapter Ⅲ, the scope of educational content of the suggestion writing was identified by analyzing how the learning elements identified by the textbook review appear in the students actual writing materials. In the article proposed through data analysis, it was possible to state that the education based on current issues and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were needed to present appropriate solutions, and that the analysis of pending issues and solutions should be learned in an organic connection. Furthermore, it was revealed that the condition check of the solution should be presented within the scope of the Korean Language course considering the learner. Chapter Ⅳ was intended to propose the scope of the suggestion writing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learner’s actual writing materials. To this end, the relevance between the scope of each learning element and the learning element was presented, and the actual practice of the education contents was analyzed by reorganizing the learning activities so that writing can be effectively utlized as an act of social practice. Suggestions are easily accessible to learners in real life. The role of textbooks that reflect the curriculum is very important for practical and effective writing of suggestions to take place.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learning elements of the proposed article were different through the review of the textbook <Discourse and Writing>, which is an optional subject of high school, and that the educational scope needs to be identified. Therefore, the reorganization plan was made through the analysis based on actual learner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need to analyze current issues presented as the criteria for suggestion writing criteria i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and curriculum, and this was proven through acutal learner data analysis. Moreover, it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prepared a range of educational contents that can contribute to effectively writing a single suggestion articl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