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체육계열전공자의 스포츠공공기관 인턴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n Experience of the Sports Public Institutions by Sports Majors

초록/요약

For the long-term development of the sports industry, fostering professional manpower should be key. Internship allows one to acquire job information and professional competency by acquiring necessary skills. As a representative way to experience a position in advance, internship is becoming essential qualification for various jobs. However, due to the small size of the sports companies, the effectiveness of internship is insufficient, and the demand for sports major internship to be concentrated in sports public institutions. As of 2019, the competition rate for youth internship was 47:1 for the Korea Sports Council and 27.91:1 for the Korea Sports Promotion Foundation, which confirmed high interest of sports major students toward internship at sports public institutions. Despite the amount of interest, there is relatively little research on the quality and effectiveness of sports public institution internship.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suggesting effective measures for the internship system by considering the meaning of internship in sports public institutions as experience learning for sports major students. To meet this objective, in-depth research was conducted on sports majors who completed internships at sports public institutions for more than four months within the last five years. From February 2020 to April 2020,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wo to three times until the data was saturated.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material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method of Giorgi amo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In this process, the analysis results were verified through continuous consultation with an expert with extensive experience in qualitative research.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finally elicited 50 semantic units from 5 study participants, and the relocation of common semantic units resulted in 25 subcomponents and 3 components. Essential components were derived from 'intern motivation and purpose', 'exploration through experience' and 'growth from experience'. In this study, participants’ internship experience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time context of their motivation and purpose as interns at sports public institutions, experiences during the internship program, and professional growth achieved through it. Internship is a crucial step toward fostering specialized personnel in the field of sports. Future research on quality and development of internship programs should be carried out to encourage continuous growth of sports industry.

more

초록/요약

스포츠 산업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선 전문 인력 육성이 핵심이 되어야 한다. 인턴은 직업 정보를 체득하고 자신의 역량과 취업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직업세계 입문 프로그램이다. 취업에 앞서 미리 직업 체험을 경험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인턴은 다양한 직무에서 필수 스펙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스포츠 분야는 기업의 영세성으로 인턴의 실효성이 미흡한 실정이며, 체육계열전공자들의 인턴에 대한 수요는 스포츠공공기관에 집중되고 있다. 2019년 기준 청년인턴 경쟁률은 대한체육회 47:1, 국민체육진흥공단 27.91:1으로 스포츠공공기관 인턴에 대한 체육계열 전공자들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포츠공공기관과 인턴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포츠공공기관의 인턴경험이 체육계열 전공자의 경험 학습으로서 갖는 의미를 고찰하여 인턴제도에 실효성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6년 이내, 4개월 이상의 스포츠공공기관 인턴을 수료한 체육계열전공자를 대상으로 심층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2020년 2월부터 2020년 4월까지 2~3회에 걸쳐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은 자료는 포화될 때까지 진행하였다. 문헌자료 고찰과 심층 면담으로 수집된 자료는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 Giorgi의 분석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질적 연구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1인과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분석결과를 검증받았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종적으로 5명의 연구 참여자로부터 50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으며, 공통된 의미단위를 재배치한 결과 25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3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본질적인 구성요소는 ‘인턴 동기와 목적’, ‘경험을 통한 탐색’, ‘경험으로부터 성장’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체육계열전공자가 어떤 동기와 목적을 갖고 스포츠공공기관 인턴을 시작하는지, 인턴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게 되는지, 경험을 통해 이룬 성장은 무엇인지에 대해 시간적 맥락에 따라 경험을 분석하였다. 인턴은 스포츠 분야의 전문화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하나의 단계로서 지속적인 스포츠 발전을 위해 인턴과 관련된 면밀한 향후 연구가 전개되어야 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