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 여성의원의 여성대표성에 관한 경험적 연구 : 제17대∼제19대 국회 여성법안 발의를 중심으로

An Experimental Study on Gender Representation of Korean Women Legislator: Focusing on the Gender Bill Proposal of the 17th, the 18th, and the 19th National Assembly

초록/요약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비례대표 후보 여성할당제가 도입된 이후로, 국회 내 여성의원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본 연구는 비례대표 여성할당제가 제도적 효과를 달성하고 있는지, 즉 “국회에서의 여성의 기술적 대표성 증대가 실질적 대표성의 증대로 이어지는가”라는 여성대표성의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제17대부터 제19대까지 국회의원을 대상으로, 의원의 성별(독립변수)이 여성법안 발의량 및 발의율(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을 다변량 OLS 회귀분석을 통해 측정했다. 분석 결과, 제17대 국회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성별의 효과는 제18대에서는 일관되지 않게 나타났으며, 제19대 국회에서는 다른 변수를 통제했음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드러났다. 한편 여성의원의 국회 진출 관문인 비례대표의 효과는 제17대와 제18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지만, 제19대 국회에서는 유의미성을 나타내지 못했다. 성별과 대표 유형의 교차항을 포함한 분석에서도, 조절효과는 제18대 국회에서 제한적으로 유의미했고, 제17대와 제19대 국회에서는 영향력을 갖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17대에서 제19대 국회로 갈수록 여성의원의 여성법안 발의가 확연해졌음을 보여줌으로써 여성대표성의 효과가 비례대표 여성할당제 시행 이후 세 대수의 국회가 지나면서 확연히 드러나게 됐다고 결론 내린다. 또한 여성할당제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지역구 여성할당제와 비례대표 의석 확대 등을 제안했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gender quota system in proportional representative first introduced to the 17th General Election of Republic of Korea in 2004. The main purpose of the gender quota system is to promote a descriptive representation of women. However, there seems to be an academic dearth on whether the quota system has in fact enhanced the substantive representation of women in South Korea.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an effect of representatives’ gender to the number of gender bill proposals from 17th to 19th members of Korean National Assembly (NA) by using multivariate OLS regression. To briefly sum up the result, the effect of gender within the gender quota system is found to hav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17th NA; however, in the 18th and 19th NA, the gender did have a positive effect to the number of gender related bill proposals. The effect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with the gender quota system, on the other hand, is found to have a statistical significance both in 17th and 18th NA but not in the 19th NA.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representational style on ‘the correlation between gender and the number of gender bill proposals’ was only significant during the 18th NA.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e women legislators’ proposal of gender bills has became clear as time flows on and suggests adopting gender quota in nomination of single-member district and extending proportional representational seats to promote the efficacy of gender quota.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