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1980년대 한국 시에 나타난 ‘샤먼-시인’의 수행성 연구 : 김남주, 고정희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formativity of 'Shaman-Poet' in Korean Poetry in the 1980s : Focusing on Kim Nam-joo and Go Jung-hee's poems

초록/요약

본 연구는 1980년대 한국문학 장(場)에서 현실과의 접점을 형성하는 시작(詩作) 활동으로 사회변혁적인 실천을 이어갔던 김남주와 고정희의 시 작품을 ‘샤먼-시인’의 수행성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시가 현실과 적극적으로 대화 관계를 가질 때 언어적 도전과 실험을 다양하게 시도하면서 수행적으로 구성 가능한 장르임을 밝히고, 미학적 행위로서의 예술 활동이 어떻게 사회를 변혁시키는 데 기여하는지를 살핀다. 1980년대 한국문학 작품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 ‘무속적 상상력’ 혹은 ‘샤머니즘에 기반을 둔 민중의식’에 대한 언급이 다수 있었던 만큼, 1980년대 한국 시에서 ‘무당’ ‘샤먼’은 주요한 소재였다. 그러나 ‘무속적 상상력’을 담은 시 작품들을 대상으로 해당 시대의 특징을 분별하고자 했던 그간의 문학연구는 한국의 1980년대를 신군부정권의 주도 하에 억압적인 통치가 지속되었던 시대였음을 강조하면서, 정치권력이 가해왔던 제약적 조치에 맞서기 위해 문학이 신화적인 기원을 복원하는 움직임을 발휘한다는 입장에 섰다. 이때 ‘영매(靈媒)’나 ‘제사장’의 역할을 짊어진 시인은 일상적 세계에서 스스로를 제외시켜 현실 너머나 이면의 세계로 귀의한 것과 같은 ‘현실과 분리된 위치’에 처한 존재로 소환됨으로써 수직적 구조의 발화방식을 채택한 이들로 여겨졌다. ‘샤먼’이란 존재는 일상에선 들릴 수 없고, 보이지 않는 존재와 소통이 가능하다는 의미에서 일정 정도 신비화된 존재이지만, 한편으로는 ‘산 사람들’의 언어로 소통을 시도하고 책임지며 그에 따르는 한계 역시도 감당하는 존재로 무엇보다 ‘매개적 존재’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소속된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움직이면서도 적극적으로 대화의 과정을 조율하는 ‘샤먼’의 역할에 주목한다. 1980년대 한국 시에서 ‘무속적 상상력’, ‘샤머니즘적인 민중의식’을 배경으로 한 언어로 활동을 이어갔던 시인이 ‘샤먼적 존재’와 같은 위상으로 문학사에 자리매김 되어갔던 과정에는, 시가 동시대 사람들과 대화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가운데 끊임없이 현실과 분투함으로써 평등의 원리에 기반을 둔 세상을 그리고자 했던 의지를 담은 상황이 배경으로 있었던 것이다. 신군부의 강력한 정치적 탄압이 전하는 무게만큼이나 거기에 맞서고자 하는 이들의 활발한 움직임이 ‘1980년대’를 탈중심적이고 다원적인 특징을 띈 시대로 만들어갔듯이, 이 시기 ‘샤먼’의 말하기 방식을 활용했던 시는 현실로부터 발원한 관계지향적인 성격에 의해 가장자리를 향해 뻗어나가는 원심력의 언어를 지향한다. 본 연구는 신화적 존재로 다뤄져 낭만화된 관점으로 조명되어온 ‘샤먼’, 또는 현실적인 존재로 여겨져 세속화된 관점으로 언급되기 쉬운 ‘시인’과 같이 각각의 개별적인 개념으로는 담아낼 수 없는 역할을 1980년대 한국 시에서 수행한 시적주체를 ‘샤먼-시인’으로 상정하여 진행된다. ‘샤먼-시인’의 수행성은 시적 언어가 현실과 수평적인 관계를 맺고 교차하는 가운데 기존 공동체의 의미를 새롭게 정립하는 과정을 연출하고, 동시에 다른 현실에 대한 인식을 여는 능동적인 실천을 감행하면서 발휘된다. 미적 행위로서의 시작 활동으로 이뤄지는 ‘샤먼-시인’의 수행성은 실제 제의행위에서 샤먼이 중요시하는 ‘공동체의 화합’과 다른 목표를 둔다. 김남주와 고정희의 시는 기존의 사회적 권력관계로 조성된 공동체 질서로의 통합을 원치 않는다. 그보다는 전사회적으로 부정의한 일들이 빈번하게 발생했던 시대현실을 인식하면서, 주어진 현실이 전망을 확보하기 위한 방편으로 전근대적이라고 치부했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여기는 영역을 소환하는 방식으로 모더니티를 확보한다. 다시 말해 김남주와 고정희의 시에서 드러나는 ‘샤먼-시인’이란, 특정한 태도로 공동체의 문제를 상대하는 ‘샤먼’의 위상을 시에서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행위주체(agency)이다. ‘샤먼-시인’은 시를 쓰는 과정에서 현실과의 교섭을 이루고, 그 속에서 기존의 공동체가 가진 문제점을 가시화함으로써 다른 현실에 대한 인식을 열고 공동체의 재구성과 새로운 공동체의 의미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시가 기존의 현실과 거리를 두는 과정에서 맞이하는 ‘문지방 경험’, ‘변환(trans) 경험’은, 기존의 현실을 다시 바라보고 다른 현실로 ‘전환(trans)’해내는 상황을 연출하는 의미로, 또는 특정한 상황과 존재가 은폐되었던 기존의 현실을 ‘초월(trans)’하여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던 상황과 존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새로운 주체상과 공동체를 생성하는 의미로 창안된다. ‘샤먼-시인’이 시 쓰기 과정에서 ‘문지방 경험’이라 할 수 있는 ‘변환’의 층위를 ‘전환’ 혹은 ‘초월’의 층위로 창안하면서 또 다른 현실을 구성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수행양상의 과정은 ‘① [분리 단계] → ② [‘trans(전환/초월)’ 단계] → ③ [재통합 단계]’ 를 따른다. ‘① 분리 단계’에서 시는 현실의 문제를 파악하고, 그에 대한 판단 및 평가를 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현실과 수평적인 구도 상에서 형성 가능한 대화적인 관계를 맺는다. 시대와의 관계성을 수용하는 ‘급진적 감수성’으로 현실이 안고 있는 문제, 혹은 시대적 고통에 감정이입하는 상황을 겪고 그와 대화적인 관계를 맺는 ‘샤먼-시인’은 이와 같이 확보된 ‘지금 현실’과의 사이에서 주어진 현실을 ‘낯설게(verfremdung)’ 여기는 상황을 연출한다. ‘② trans(전환/초월) 단계’에서 시는 여러 시적언어의 실천을 통해 기존의 현실을 ‘전환’하여 다른 현실로 재구성하거나, 기존의 현실을 ‘초월’하여 새로운 현실을 생성한다. ‘③ 재통합 단계’에서 시는 ②를 통해 ‘다른 현실’에 대한 인식을 개시하고, 언어적 실천에 의한 새로운 리얼리티의 형성으로 세계를 변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보한다. 본 연구는 ‘분리→전환/초월→대통합’ 단계가 독자들의 읽기 과정에서는 문학과 현실 사이의 분리를 허무는 변환이 일어나는 독서의 수행성을 발휘하는 단계로 발휘될 수 있는 차원까지 주목해야 한다고 본다. 김남주와 고정희의 시를 읽는 과정에서 독자는 익숙한 환경에서 분리되어 시적 언어가 울려 퍼지는 현장에 들어서는 ‘분리 단계’를 거쳐 그 자신이 행위주체 ‘샤먼-시인’의 자리로 가는 ‘문지방 경험’을 겪는데, 그 과정에서 독자는 자신이 속해있는 시대적 현실을 낯설게 여기고 현실을 재구성하거나 새로운 현장을 생성하는 방법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현실 세계와 자기 자신에 대한 지각을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어가는 재통합 단계에 들어서는 것이다. ‘샤먼-시인’의 변환 창안 과정은 ‘자동형성적 피드백 고리’를 형성하여 독자가 스스로 시대적 현실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인지하고 전망을 확보함으로써 세상을 변혁시켜나가는 능동적 행위를 실질적으로 발현할 수 있도록 만드는 과정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김남주 시가 주어진 현실을 ‘낯설게’ 여기는 과정을 구체화하기 위해 제유의 반복적 활용, 타 장르인 ‘서신’ 언어의 교차적 활용, 수사적 언어 ‘명령’ ‘질문’의 활용 등 언어적 실천을 통해 시적 장면을 ‘극화’하는 상황을 주요하게 살핀다. 김남주의 시는 기존 현실을 다시 보는 상황을 형성하고 해당 현실을 ‘전환(trans)’함으로써 다른 현실을 재구성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김남주 시의 ‘샤먼-시인’은 기존의 현실을 다시 바라보게끔 만드는 극화된 장면을 연출함으로써 독자가 고정되어 있다고 여겼던 기존의 현실을 ‘허물고(undoing)’ 다른 현실로 ‘전환’해내는 ‘배우’와 같은 수행성을 발휘한다. 한편, 고정희 시에서는 현실의 ‘낯설게 하기’를 구체화하는 과정으로 은유의 반복적 활용, ‘굿 대본’과 같은 타 장르 언어의 인유적 활용, 수사적 언어 ‘요청’ ‘호명’의 활용 등 언어적 실천을 통해 시적 장면을 ‘활성화’하는 작품들을 분석한다. 고정희의 시는 특정한 상황과 존재가 은폐되었던 기존의 현실을 ‘초월(trans)’하여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던 기존의 상황과 존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새로운 주체상과 공동체가 제시되는 현실을 생성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고정희 시의 ‘샤먼-시인’은 특정한 존재가 은폐되었던 기존의 현실을 ‘초월’하여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던 존재를 활성화하는 상황을 ‘생성하는(doing)’ ‘무당’과 같은 수행성을 발휘한다. 2장에서는 김남주와 고정희의 시가 민중이 겪은 ‘5.18 광주’에 감정이입함으로써 통치 권력인 신군부가 호도하는 ‘5.18 광주’에 대한 관점을 낯설게 여기는 상황을 형성하는 데 주목한다. 이는 은폐되어왔던 과거의 사실을 끌어와 역사적 현장이 개시된 ‘현재’라는 시간성을 창안하는 방식에 해당한다. ‘샤먼-시인’은 역사적인 문제를 계속되는 현재의 구성적 조건으로 가져감으로써 ‘과거/현재’, ‘죽음/삶’으로 변별되던 시간성을 ‘현장성(liveness)’으로 변환한다. 김남주와 고정희의 시는 많은 이들의 죽음을 초래한 정치권력에 맞서 살아있는 삶을 사수하는 리듬을 살려내는 애도를 수행함으로써 ‘현재’라는 시간성을 통치 권력의 발전적, 수직적 구도로 형성된 시간정치와는 다르게 구성한다. 국가 차원에서 ‘애도될 수 없는 죽음’ 혹은, ‘애도해선 안 되는 죽음’으로 분류되었던 존재의 형상을 김남주 시에서는 역사적 사건의 제유화를 통해 극화하고, 고정희 시에서는 역사적 사건의 은유화를 통해 고통의 참상을 활성화함으로써 윤리적 행위로서의 애도를 수행해나가는 것이다. ‘샤먼-시인’의 현재를 역사적 현장의 개시로 전환시키는 윤리적 행위로서의 애도의 수행을 통해 ‘5.18 광주’ 당시의 죽음은 부정의한 정치권력이 저지른 폭력에 의한 것이라는 사실이 폭로될 뿐 아니라, ‘5.18 광주’는 그에 대한 진상규명이 이뤄지지 않는 한 계속해서 ‘현재’를 구성하는 조건으로, 또한 다음의 현실을 그릴 때 반성적으로 참조해야 하는 진실로 자리매김 된다. 3장에서는 김남주와 고정희의 시가 기존의 사회적 권력관계로 조성된 공동체 질서에서 성원권의 자리가 제대로 할당되지 않았다거나 존중받지 못했던 이들과 대화적 관계를 조성함으로써 기존 사회질서를 낯설게 만드는 상황을 연출함으로써, 민주적인 공동체 조성을 위한 평등원리를 수행적으로 구성하는 상황을 분석한다. 김남주의 시에서는 시적 장면을 ‘서신’의 형식으로 또는 ‘명령’과 ‘질문’ 의 언어로 이루어진 수사적 상황으로 극화함으로써 시의 ‘수신자-청자’ 자리에 고된 현실을 직접적으로 살아나가면서 시대를 실질적으로 움직여나가는 민중을 소환한다. 이는 시대를 민주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평등원리로서의 아고니즘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김남주의 시는 이를 통해 기존의 사실관계로 정립되어 있던 것들이 제대로 된 것이 맞는지 다시 살피는 상황을 형성하고 ‘수신자-청자’ 자리에 있는 민중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현실을 구성하는 것으로 ‘전환’한다. 한편, 고정희의 시에서는 시적 장면을 ‘굿’의 형식으로 또는 ‘요청’과 ‘호명’의 언어로 이루어진 수사적 상황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정치적 역관계에 의해 가려지거나 제대로 발언권이 확보되지 못했던 존재들이 산재한 현실을 ‘초월’하여 그간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던 존재를 ‘수신자-청자’의 자리로 소환한다. 정치적 성원권이 보장되지 못했던 존재들은 시대의 구경꾼으로서가 아니라 적극적인 구성원이자 참여자로 활성화되는 과정 역시 고정희의 시가 평등 원리를 수행하는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3장에서는 김남주와 고정희의 시가 ‘아고니즘’이라는 민주주의 사회를 뒷받침할 평등 원리를 수행함으로써, 달라질 세상에서 필요한 정치적 원리가 무엇인지에 대한 전망을 확보했음을 밝힌다. 4장에서는 김남주와 고정희의 시가 신군부의 강압적이면서도 치밀한 통치 방식에 구획된 공동체의 집단적 전망을 낯설게 여기도록 만들어 국가가 주도하는 공동체에 문제제기하면서 현실에 필요한 공동체를 다시 구성해나가는 방식으로 전망을 기획하고 있음을 분석한다. ‘샤먼-시인’은 현실적인 사안에 대응하는 ‘쓰기 실천’을 수행함으로써 쓰기 주체와 읽기 주체가 공현존하는 상황을 형성하여, 작가와 독자 사이에 자리하는 강고한 구분을 허물고 읽기 주체와 쓰기 주체의 자리가 교차되는 상황으로의 변환을 형성해낸다. 김남주의 시는 시대적 고통을 함께 극복하고자 하는 상황을 선도적으로 조성하는 시적 언어의 구현을 통해 독자가 해당 시를 읽는 과정에서 자신의 위치를 작가의 자리로 전환시키는 상황을 창안한다. 또한, 고정희의 시는 시대적 고통을 나누고 연대를 실천하는 방향을 마련하는 시적 언어의 구현으로 독자로 하여금 스스로를 ‘우리’가 출현하는 장면을 활성화하게끔 만든다. 이들의 시를 읽는 행위는 개인이 집단성 안으로 용해되지 않고, 자신의 상황이 사회적 조건의 양상에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제시되는 과정을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국가가 주도하는 통합적 질서로 조직된 공동체가 아니라 개개인의 주체성과 능동성이 보장될 때 출현 가능한 공동체상이 수행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980년대 한국문학의 수행성을 논하는 최근의 연구에서는 노동자 수기, 작가의 논문 등을 분석 대상으로 삼으면서 문학 작품 자체를 연구 대상에서 덜 중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는 시가 쓰이는 과정을 통해 기존의 ‘시’가 가지고 있는 의미의 자장을 확장시키는 상황이 1980년대 한국 시단에서 주목해야 할 현상 중 하나라고 여기면서, 수행성을 주제로 하는 문학 연구가 문학 작품 그 자체를 분석대상으로 중요하게 삼아야 한다는 입장에 선다. 시대적인 아픔과 대화적인 관계를 가져나갔던 김남주와 고정희의 시가 미학적 시도를 폭넓게 진행했던 면모는, 문학을 이루는 언어가 시대현실과 탄력적으로 조응하는 가운데 ‘문학’이란 개념 자체를 확장해나가고 전망을 확보해나가는 사실을 확인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1980년대 한국 문학의 현장에서 혁명을 감행하기 위해 죽음이 전하는 공포에 맞서 무기로서의 시 쓰기를 이어갔던 김남주 시인과 인간다운 삶의 추구를 중시하면서 죽음 의식을 감내하고 희망을 구현하는 언어활동으로 시 쓰기를 이어갔던 고정희 시인의 시가 현실과의 접점을 놓치지 않는 언술과 사회의 통치 규율로 포섭되지 않는 현실 너머를 향한 언술을 동시에 진행시키면서 독자의 실천까지 부추기는 능동적인 기능의 언어를 활용하는 상황은, 오늘날의 문학 현장에도 많은 시사점을 던진다. 이러한 시인들의 활동에는 시대적 아픔과 저 자신의 몸 사이의 연결을 끊어내지 않고, 오히려 그 고통을 품는 방식으로 삶의 한 가운데로 나아가고자 하는 예술적 실천의 책임감이 있다. 본 연구는 그 책임감을 기꺼이 짊어지고자 하는 이들이 빚어내는 아름다움에 문학의 본령이 있다는 주장에 힘을 싣는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investigates the works of poems as a performativity of 'Shaman-Poet' by Kim Nam-joo and Go Jung-hee, who continued to practice social transformation by writing poem to form a point of contact with reality in the Korean literature field in the 1980s. 'Shaman-Poet' is an agency that is revealed in the process of strategic using 'Shaman'’s status of dealing with community issues with a specific attitude in poetry. ‘Shaman-Poet’ negotiates with reality in the process of writing poetry, opens awareness of other realities by visualizing the problems of existing communities and performs a role that creates meaning of new community and community reconstruction. At this time, ‘trans-experience’ that takes place in poetry creates the meaning of creating the ‘trans’ situation to other realities and looking at the existing reality again or the meaning of creating a new subject and community by activating the invisible and inaudible situation and existence by ‘trans’ the existing reality in which a specific situation and existence were concealed. This study investigates that the poem of Kim Nam-joo dramatizes scene by poetic practice such as using synecdoche repeatedly, using ‘letter’ language which is other genre crossly and using rhetorical language like ‘order’ and ‘question’ to materialization a process of regarding given reality as ‘defamiliar’. ‘Shaman-Poet’ in the poem of Kin Nam-joo demonstrates performance like actor who undo the existing reality that the reader thought was fixed and switch to different reality by directing dramatized scene that make you look back at your existing reality. Meanwhile, the poem of Go Jung-hee activates poetic scene by using metaphor repeatedly, using ‘exorcism(gut)’ language which is other genre crossly and using rhetorical language like ‘request’ and ‘recall’ to materialization a process of regarding given reality as ‘defamiliar’. ‘Shaman-Poet’ in the poem of Go Jung-hee demonstrates performance like shaman who create a situation that activates the invisible and inaudible existence by ‘trans’ the existing reality in which a specific existence was concealed. The poem of both Kim Nam-joo and Go Jung-hee proceeds utterance that does not miss contact with reality and utterance beyond reality not covered by social governance simultaneously and leverages active functional language that encourages readers' practice. These poets' activities are responsible for artistic practice to walk to the middle of life by the way of suffering without eradicating between the pain in the times and their bod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