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자기분화 수준, 자녀의 자아개념, 자녀가 지각한 부모관련 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iation of Self by Parents, Self-Concept by Children, and Parent-related Stress Perceived by Children
- 주제(키워드) 부모의 자기분화 , 자아개념 , 부모관련 스트레스 , 가족상담 , 부모-자녀 관계 , differentiation of self , self-concept , parent-related stress , family counseling , parent-child relationship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이지향
- 발행년도 2020
- 학위수여년월 2020.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UCI I804:11029-00000006549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ree variables; differentiation of self by parents, their children’s self-concept, and parent-related stress perceived by their children. Data was collected by both parents and their children during approximately 2 months from online and offline surveys, and a total of 237 parent-children paired-data was analyzed for this study. Study results foun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1) between parent’s self-differentiation and children’s self-concept; (2) between four sub-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that are emotional reactivity, emotional cut-off, and I-position, and children’s self-concept, especially for children in school age; and (3) between two sub-factors of self-concept, out of four, that are social self-concept and academic self-concept, and parent-related stress perceived by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the future study because there are not many prior-studies to this relationships among study variables, and also can serve the basic guideline for parent-child relationship in family counseling.
more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한 인간의 정체성이 확립되는 가장 중요한 곳인 가족 안에서 부모와 겪는 경험적 관계가 개인의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부모의 자기분화와 자녀의 자아개념 그리고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관련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하여 부모-자녀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일찍이 Bowen의 가족체계이론에서는 부모의 자기분화 수준이 자녀들의 정서적 역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그 중요성을 강조한 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자기분화는 자녀가 자아개념을 형성하는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자녀의 자아개념은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관련 스트레스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약 2달간의 설문조사 기간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고, 최종적으로 부모-자녀 237쌍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의 주요 세 가지 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의 자기분화 중 자기입장과 정서적 반응, 정서적 단절, 정서적 융합이 자녀의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부모의 자기분화와 자녀의 자아개념은 모두 자녀가 지각한 부모관련 스트레스와 유의미한 상관이 존재했다. 또한 자기분화 하위 항목과 자아개념의 하위 항목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해본 결과 부모의 정서적 반응과 자기입장, 그리고 정서적 단절은 자녀의 일반적, 가정적, 사회적, 학문적 개념들과 유의미한 상관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고, 자녀의 자아개념과 부모 관련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연령대를 나눠서 분석해본 결과, 특히 학령기 자녀들의 사회적 자아개념과 학문적 자아개념이 부모관련 스트레스와 유의미한 상관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부모의 자기분화는 자녀의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고, 부모의 자기분화와 자녀의 자아개념은 또한 자녀가 지각한 부모관련 스트레스와 서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자녀의 건강한 심리적 발달에 있어서 부모의 자기분화를 살펴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아직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많이 없으므로 후속 연구나 가족치료에서 의미 있는 성과라 할 수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