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관계 외상 경험자가 지각한 정서인식 명확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 정서수용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for Those with Interpersonal Trauma: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Acceptance and Self-Compassion
- 주제(키워드) 대인관계 외상 , 정서인식 명확성 , 정서수용 , 자기자비 , 외상 후 성장 , Interpersonal Trauma , Emotional Clarity , Emotional Acceptance , Self-compassion , Post-traumatic Growth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한기백
- 발행년도 2020
- 학위수여년월 2020.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UCI I804:11029-00000006548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대인관계 외상 경험을 가진 성인들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외상 후 성장을 예측함에 있어 정서수용과 자기자비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484명의 자료를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가 지각한 정서인식 명확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정서인식 명확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수용과 자기자비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매개변인의 순서를 달리하여 자기자비가 정서수용을 선행하는 경로를 검증한 결과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가 지각한 정서인식 명확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수용과 자기자비는 주요한 변인이 될 수 있으며 정서수용이 자기자비에 선행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상 후 성장에 이르는 심리적 경로를 확인함으로써 대인관계 외상으로 어려움을 겪는 성인이 이를 극복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연구 결과와 함께 제한점 및 후속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ole of emotional acceptance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of adults with an experience of interpersonal trauma.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adults over the age of 19. Finally, 484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SPSS PROCESS Macro. Specific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compassion showed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acceptance and self-compassion was significant and fully mediated.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path in which self-compassion precedes emotional acceptance by varying the order of the two mediation variables, the mediating effect was not significant. Through the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of adults with interpersonal trauma, emotional acceptance and self-compassion can be main variables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emotional acceptance precedes self-compa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y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to help adults who have difficulties with interpersonal trauma overcome and grow by identifying the paths of psychological factors leading to post-traumatic growth. Discussions of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lso includ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