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전기 서적 간행 현황과 서발문의 문체적 특징
A Study on Publications and Style of Preface and Postscript in the Early Joseon
- 주제(키워드) 조선 전기 , 서발문 , 문헌학 , 기서체(記敍體) , 논변체(論辨體) , 동문선(東文選) , 권근(權近) , 정인지(鄭麟趾) , 최항(崔恒) , 안평대군(安平大君) , 서거정(徐居正) , 성현(成俔). , The early Joseon , preface and postscript , bibliography , descriptive style , argumentative style , Tongmunsŏn 東文選 , Kwŏn Kŭn 權近 , Chŏng Inchi 鄭麟趾 , Ch'oe Hang 崔恒 , Prince Anpyeong Yi Yong 安平大君 李瑢 , Seo Gŏjŏng 徐居正 , Sŏng Hyŏn 成俔.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현주
- 발행년도 2020
- 학위수여년월 2020.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 UCI I804:11029-00000006548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고는 조선 전기 문헌 편찬의 양상을 검토하고 서발문의 문체적 특성을 고찰했다. 조선 전기 서발문이란 조선 건국(1392년) 이후 중종반정(1506년) 이전까지 편찬되거나 간행된 단행 서적 혹은 총서의 서발문을 말한다. 조선 전기 조정과 사대부는 고려 이래의 문헌학을 계승하면서 국가 제도를 정비하고 새로운 사상을 펼치기 위해 각종 서적을 북간하거나 편찬ㆍ간행했다. 그 서적들을 위해 작성된 서발문은 서적의 간행 경위, 편찬자의 사상과 문헌편찬 의식을 간명하게 보여주는 자료로서, 문헌학적으로 가치 매우 높을 뿐 아니라 산문의 주요 양식으로서 문체미학의 고려 대상이 될 수 있다. 본고는 조선 전기 서발문을 검토함으로써, 조선 전기 조정와 사대부의 문화의식, 지식 정보 처리 방식, 문체 미학의 구현 양상 등을 살펴보았다. 본고의 제2장에서는 조선 전기 서발문의 분포 상황을 살펴보았다. 조선시대에 서적이 간행되고 유포된 상황을 알기 위해서는 서적의 판식(版式), 목기(木記)ㆍ간기(刊記), 인출기(印出記), 간행 주체의 함명(銜名), 내사기(內賜記) 등을 통해 편찬 및 출판 연도를 비정(比定)하고, 서발문의 내용을 검토해서 출판 경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때 문집 수록의 서발문과 『동문선(東文選)』ㆍ『속동문선(續東文選)』 수록의 서발문은 조선 전기의 서발문을 검토할 때 기초 자료가 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서발문이 작성된 서적들을 경(經)ㆍ사(史)ㆍ자(子)ㆍ집(集)의 4부로 나누어 분포 상황을 조사했다. 조선에 들어와서도 지방은 독자적으로 서적을 간행했으나, 점차 조정의 문치(文治) 이념에 호응하여 서적을 선별해서 출판해나갔다. 또한 조정은 지방의 목판 인쇄기술을 활용하고, 지방은 중앙의 활자 간행물을 정판(整板)하는 일이 많아졌다. 조선 조정은 1432년(세종 14) 지방의 서책 간행을 사전에 보고하라 명했고, 1471년(성종 2)에는 지방의 책판 목록을 파악하도록 명했다. 이를 보면 세종 연간과 성종 연간을 거치면서 중앙의 출판은 물론 지방의 출판에 대해서도 관리가 강화되었으리라 짐작할 수 있다. 조선 전기의 국가적 출판물은 세종 연간에 나온 것이 많다. 본고에서는 『훈민정음해례본(訓民正音解例本)』의 권말에 있는 정인지(鄭麟趾)의 「훈민정음서(訓民正音序)」를 검토하며 정인지 및 정음 창제 관여자들의 음성과 음운, 표현과 전달의 관계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또한 서거정의 「동문선서(東文選序)」에 나타나는 문화민족주의적 색채에 주목했다. 그리고 조선 전기 지방의 출판 과정을 잘 보여주는 서발문의 예로, 성임(成任)의 「육방옹시집발(陸放翁詩集跋)」과 김종직(金宗直)의 「상설고문진보대전발」 등을 검토하여, 문학의 쇄신을 위해 고전 시문의 전범을 설정하려는 의식이 이들 서적의 간행에 주요한 동기로 작용했다는 사실을 알아보았다. 조선 전기에는 중국 서적을 저본(底本)으로 삼아 조정이나 지방관아에서 복간(覆刊)한 서적이 상당수 있다. 사서오경대전(四書五經大全)과 『찬주분류두시(纂註分類杜詩)』, 청주 간본 『구소수간(歐蘇手簡)』을 예로 들어, 조선 조정과 문인-관료들은 중국본을 수용하되, 원형 그대로 복간하지 않고, 반드시 수교(讎校)를 통해 저본을 확정했으며, 때로는 일정한 기획에 따라 본문을 재편집하고 기왕의 주석들을 회주(會注)한 이후 그것을 간행하는 일이 적지 않았음을 살필 수 있었다. 단, 이러한 서적에 반드시 서발문을 붙이지는 않았다는 것도 『찬주분류두시』의 예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본고의 제3장에서는 조선 전기에 간행된 서적들을 그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각각 대표적인 예들을 선택하여, 서발문이 각 서적의 특성에 대응하여 기서와 논변의 주안점을 달리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조선 전기에 간행된 서적들은 종수가 많지 않지만 주제 내용상으로는 역사ㆍ문학ㆍ사상ㆍ법률ㆍ병학ㆍ의약학ㆍ천문역법ㆍ교훈서ㆍ분류집ㆍ서식집ㆍ취미서 등등에 걸쳐 매우 다양하다. 본고는 천문역법서의 예는 다루지 못했지만, 그 이외의 각 부류에 대해서는 대표적인 예들을 들어서 서발문의 문체와 구성 방식을 분석했다. 즉, ①역사서 ②고전시집과 시선집 ③유교 서적과 불교 서적 ④법률서와 병법서 ⑤유서ㆍ총집과 개인문집 ⑥약학서, 교화서, 서찰모범집 ⑦시화와 잡록 등의 간행물을 본고에서 고찰했다. 본고의 제4장에서는 조선 전기 서발문의 문체적 특성을 검토했다. 조선 전기에는 한문산문의 경우 고문(古文)ㆍ소품(小品)ㆍ의고문(擬古文) 등이 분화하지 않았고 고문에 변문(騈文)의 투식을 일부 도입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서발문은 찬술의 목적과 관련하여, 기서체(記敍體)와 논변체(論辨體)를 혼합한 문체를 많이 사용하되, 편찬 및 간행 주체에 대한 칭송의 언어를 싣는 일이 적지 않았다. 그리고 일부 글들은 대화문을 이용하여 변체(變體)를 취하기도 했다. 국가 편찬물의 경우는 군주의 문치(文治)와 예단(睿斷)을 칭송하는 표현을 반드시 사용했다. 개인 편찬물의 경우도 서발문 저술자가 편찬ㆍ간행의 주체가 조정의 문치에 찬획(贊劃)하는 공적을 찬양하는 예가 많았다. 본고는 특히 국가적인 규모로 ‘고려국사’를 편찬하고 수교(讎校)하는 과정에서 작성된 서발문의 예와 국가 감독의 수륙재(水陸齋)에서 사용할 의례서를 간행하는 과정에서 작성된 서발문을 검토하여, 조선 전기 서발문에 두드러진 찬양의 속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문집(文集)과 세고(世稿)의 서발문에서는 문인-관료의 가학 연원을 강조하고 문학의 이상을 경국(經國)으로 수렴시키려는 경향성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개인 취향 서적의 서발문 가운데 강희맹(姜希孟)의 「양화소록서(養花小錄序)」는 기서ㆍ논변 혼합 문체를 사용했는데, 개인의 취향을 순수 미학의 관점에서 논평하기보다 정치 참여의 알레고리로 해석했다는 사실을 살폈다. 한편, 서발문 가운데는 대화문을 삽입하여 정-반-합의 서술 구조를 이용해서 찬술자의 주의ㆍ주장을 정당화하는 예가 있다. 정도전이 『불씨잡변(佛氏雜辨)에 스스로 작성한 「서불씨잡변후(書佛氏雜辯後)」는 배불의 비판적 관점을 드러내기 위해 대화문을 사용했다. 서거정(徐居正)의 「태평한화골계전서(太平閑話滑稽傳序)」는 대화문을 삽입하여, 타자의 반론을 거꾸로 이용해서 찬술자의 지향을 우회적으로 인정하는 방식을 택했다. 이장곤(李長坤)의 「산학서(算學序)」는 산학에서 수(數)와 이(理)의 관계에 주목해야 한다는 점을 환기시키기 위해 계도적 대화문을 활용했다. 한편, 조선 전기에는 궁중의 질서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대비가 『내훈(內訓)』을 편찬하고, 대군과 간경도감에서 궁중의 불교의식에 필요한 서적을 간행해 냈다. 이때 일부 서적은 한문-한글 대역 서발문을 두었다. 상의(尙儀) 조씨(曺氏)의 「내훈서」, 수양대군의 「석보상절서(釋譜詳節序)」 및 세조의 「어제월인석보서(御製月印釋譜序)」는 그 대표적인 예이다. 한문-한글 서문의 병립 방식은 서사(書寫)의 새로운 시도로서, 이후 한글의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매우 중요한 사항이기에 특별히 주목했다. 조선 전기의 한문 서발문은 고문(古文)이 주류이되, 대우(對偶)ㆍ배비(排比)의 수법을 활용하여 변화를 준 예도 적지 않다. 하지만 행문(行文)의 관습을 탈각해서 주객(主客)의 구성이나 우언(寓言)의 수법을 이용해 파란과 곡절을 추구한 예는 찾아보기 어렵다. 논증을 기조로 하는 경우에도 특이한 전제(前提)를 돌발적으로 제시하거나 기왕에 통용되던 관점을 뒤엎는 번안(飜案)을 시도한 예가 드물다. 하지만 문인-관료들은 서발문을 작성할 때 해당 서적의 주요 개념과 목표를 주저하지 않고 명료하게 적시했다. 김시습도 「대화엄법계도서」에서 『법계도』 210자의 종지를 ‘법성(法性)’과 ‘수연(隨緣)’이라고 게시하고, 자신만이 의상대사가 ‘한 글자도 토(吐)하지 않은 이전의 소식’을 말하는 것이라고 자부했다. 조선 전기의 서발문은 조선의 문화와 지식 사회가 자신의 체질을 형성하는 과정을 잘 담아내어, 힘차면서도 우아한 문체 미학을 수립했다고 말할 수 있다.
more초록/요약
This thesis analyzes prefaces and postscripts of books and series in the early Joseon - from the founding of the Joseon (1392 CE) to Jungjong coup (1506 CE) to study their characteristics of literary style and publishing. In the early Joseon, the Royal court and scholar-officials inherited bibliography and publishing science of the Goryeo, and compiled various books or reissued Chinese books in order to organize the national system and to incorporate their new idea. Prefaces and postscripts place a high value on bibliography, since they clearly show the publishing process and the publisher’s idea and consciousness of book publishing. Furthermore, prefaces and postscripts are the major styles of prose that embody literary aesthetics. Therefore, this thesis examines the early Joseon prefaces and postscripts to present the state and scholar-officials’ cultural and literary awareness, their method of processing knowledge, and development of literary aesthetics of the epoch. In the second chapter, this thesis analyzes the present status of the early Joseon prefaces and postscripts. In order to comprehend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books in the era,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year of compilation and publication from information, e.g. a format, a publication and printing record, names of participants, and a letter of bestowal. Prefaces and postscripts in literary collections or the anthology Tongmunsŏn 東文選 are the fundamental reference for the early Joseon publication. Thus, this thesis classifies such works in four categories of classics 經·histories 史·teachings of masters 子·literary collections 集, and investigates their status of presence. In the Joseon, regional magistrate courts kept publishing autonomously, however, the central government gradually took place in selecting and publishing books based on its cultural hegemony. It made active use of local woodblocks printing technology, and regional courts re-carved central government’s type-printed books into woodblocks. In the 14th year of King Sejong, there was an edict to report every publication in advance, and in the 2nd year of King Seongjong, the government ordered to investigate region’s woodblocks lists. It is evident that regional publication was overseen by the government in the Sejong-Seongjong period. A majority of national publication in the early Joseon came out in the Sejong period. This thesis, particularly analyzes Jeong In-ji’s Hunminjŏngŭmsŏ 訓民正音序 at the end of the classical Chinese version of Hunminjŏngŭm Haeryebon 訓民正音解例本, examining Jeong and other makers of Hangeul’s understanding of phonetics, phoneme, and relations between expression and delivery. Also, this thesis notices cultural nationalism in Seo Gŏjŏng 徐居正’s Tongmunsŏnsŏ 東文選序. Certain prefaces and postscripts, e.g. Sŏng Im 成任’s Yukpangong Shijippal 陸放翁詩集跋, Kang Hoechung 姜淮仲’s Sŏnbondaeja Jeyujŏnhae Gomunjinboji 善本大字諸儒箋解古文眞寶誌, and Kim Chongchik 金宗直’s Sangsŏl Gomunjinbodaejŏnbal 詳說古文眞寶大全跋 thoroughly shows the publication process of a region. These works show that a drive to renovate literature by emphasizing classical writing played the major role in publication. In the early Joseon, quite a number of Chinese books are re-published by the central government or regional courts. This thesis analyzes prefaces and postscripts of Sasŏogyŏngdaejŏn 四書五經大全, the Miryang provincial edition Tushi 杜詩, and Cheongju provincial edition Kuso Sugan 歐蘇手簡 as examples of re-publishing, examining their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It is clear that the government and officials of Joseon adopted a Chinese edition, however, never re-printed an identical copy of it. In most cases, they revised the text to confirm the original version, and also compiled previous annotations and re-edit them with a certain planning. In the third chapter, this thesis categorizes the early Joseon publications in accordance with their characteristics, and select typical examples to confirm that their prefaces and postscripts are correspond to the characteristics. Publications in the early Joseon are not vast in numbers, however, their theme covers a wide range of history, literature, thought, law, military, medicine and pharmacy, astronomy and calendar, moral, categorization, formulary, and hobby. This thesis analyzes the structure of a preface or a postscript in such examples, except astronomy and calendar. This chapter categorizes in a following criteria: ①historical books, ②classical poetry compilations, ③Confucian and Buddhistic books, ④lawbooks and military tactics books, ⑤Leishu, anthologies, and personal literary collections, ⑥medical or moral textbooks, formularies for letters, ⑦books of anecdotes about poetry, miscellaneous records. In the fourth chapter, this thesis analyzes literary style of prefaces and postscripts. The prose style of the early Joseon did not show a clear distinction between classical writing, opuscule, and pseudoclassic writing, with an adoption of parallel writing in classical writing. However, prefaces and postscripts tended to use a combination of descriptive and argumentative style to meet their purpose and function of composition. In certain cases, they inserted dialogues or a compliment for participants of publication. In prefaces and postscripts, the styles of description, argumentation, and compliment are blended, rather than being presented independently. In cases of national publication, a word of praise for the king’s decision is always inserted, and the writer was praised for his contribution to the national culture in cases of private publication. This thesis analyzes such praises in national projects of publishing The History of the Goryeo 高麗國史 and a reference book for national Buddhistic ceremony Suryukchae 水陸齋. In prefaces and postscripts of private literary collections and family anthologies, scholar-officials stressed on the family heritage of scholarship and the literary ideal of statesmanship. As for examples of combining description an argumentation, this thesis analyzes Kang Hŭimaeng 姜希孟’s Yanghwasoroksŏ 養花小錄序 that argued a personal taste as an allegory of political participation rather than explain it from the pure aesthetical viewpoint. Meanwhile, inserting a dialogue to present thesis-antithesis-synthesis or compromise is quite common in prefaces for philosophical books, e.g. Chŏng Tochŏn 鄭道傳’s Sŏbulssijappyŏnhu 書佛氏雜辯後 and Kwŏn Kŭn 權近’s Pulssijappyŏnsŏ 佛氏雜辨序, which was composed at Chŏng’s request. Non-philosophical prefaces also adopted this dialectic structure. Sŏ Kŏchŏng 徐居正’s T'aep'yŏnghanhwagolgyejŏnsŏ 太平閑話滑稽傳序 used this structure to advocate the value of humor, and Yi Changkon 李長坤’s Sanhaksŏ 算學序 used it to engender a necessary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nd logic. In the early Joseon, the queen dowager published Naehun 內訓, and the princes and the department of scriptures published Buddhistic books for national rituals to stabilize order of the royal court. Some of these books had a bilingual preface of classical Chinese and Korean in the front of them. Queen Cho’s Naehunsŏ 內訓序, Suyangdaegun (King Sejo)’s Sŏkposangjŏlsŏ 釋譜詳節序, and Ŏje Wŏrinsŏkposŏ 御製月印釋譜序 are the typical examples. These bilingual works pose great importance as a novel innovation for a literary style, with a great influence to the later development of Hangeul. The majority of the early Joseon prefaces and postscripts are classical style, although many works are variations with antithesis and couplets. However, very few of them used intensively modified thesis-antithesis structures or allegories. In a case of demonstration, it was uncommon to bluntly present an unconventional premise or overturn a common notion. In other words, the early Joseon prefaces and postscripts did not used the experimental writing style that gets rid of traditional literary custom. Nonetheless, the writers stated the main idea and the purpose of the book in no hesitation. Kim Sisŭp, for example, stated that the Dharma-nature and the course of fate are the main ideas of Pŏpkyedo 法界圖, and expressed confidence in his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meaning by the author Ŭisang 義湘 in his Taehwaŏmbŏpkyedosŏ 大華嚴法界圖序. The early Joseon prefaces and postscripts well shows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cultural-literary society in the moderate and elegant aesthetic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