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교사의 표현영역 수업실천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Study on the Practical Practice of Expression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 주제(키워드) 체육전공 남자 체육교사 , 무용전공 여자 체육교사 , 표현 , 내러티브 연구 , A general physical education teacher , Dance major physical education teacher , Expression , Narrative Inquir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이의재
- 발행년도 2020
- 학위수여년월 2020.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 UCI I804:11029-00000006547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체육교사의 표현영역 수업 실천에 관한 연구 대상자 각각의 이야기를 해석하며 대상으로 삼아 이에 담긴 의미를 분석하여 그들의 수업실천 사례를 이야기로 풀어내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체육교사로 재직하고 있는 체육전공 남자 체육교사 2명과 무용전공 여자 체육교사 2명 총 4명을 유목적적 표집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의 재직 경력은 2년 이상으로 제한하였다. 또한 연구 방법은 각 대상자와의 수차례 심층 면담을 통하여 질적 자료를 수집하고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귀납적 분석 후 구성원 간 검토 등을 통해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는 과정을 거쳤다. 수집된 인터뷰 내용은 그대로 전사하여 연구자가 반복하여 읽고 그 속에서 의미를 찾으며 범주화하는 작업을 거쳤다. 이를 통해 각 연구 대상자들의 인터뷰에서 공통적인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우선 연구 대상자들의 내러티브는 세 가지의 연대기적 범주로 분류 할 수 있다. 첫째는 학교현장에서 체육교과안에 표현영역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위치와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며 둘째는 표현영역의 수업실천에 대한 체육전공 남자 체육교사와 무용전공 여자 체육교사의 수업을 실천하는 과정을 사례로 다루어 생동감이 느껴지는 실제 현장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는 학교현장에서 표현영역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을 깨는 노력의 개선방안들이다. 연구 대상자들은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종사 중인 현직교사들로 일반적으로 체육수업을 이끌어가는 체육전공 남자 체육교사와 현장에서 점차 많아지고 있는 무용전공 여자 체육교사로 구성하여 학교현장에서 체육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표현영역의 수업에 대한 인식과 수업 실천은 과연 진화되고 있는지에 대한 변화를 들여다보고 직접 현장에 있는 체육교사의 이야기로 현재의 실태를 알아볼 수 있었다. 대부분의 체육교사들은 체육수업의 표현영역을 전문성을 가지고 있어야한다는 특수한 영역이라고 이야기하며 수업에 대하여 무용교사가 더 잘 가르칠 것이라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은 실천을 해보지 않은 교사가 생각하는 편견일 뿐이었고 사실상 인문계 학교체육에서의 표현영역은 일반교사들도 충분히 지식만 있다면 진행할 수 있는 수업이었다. 표현영역은 일반 체육과 수업을 하는 방식이나 얻어지는 효과 또한 다르다고 말하였는데 표현영역은 몸의 움직임으로 자신이 표현하고 자하는 것을 표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교과를 가르칠 때 실기 시범 뿐 만아니라 영상 매체를 통해 효율적인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도전, 경쟁 등의 일반 영역에서 배우지 못하였던 모둠형성으로 단체군무를 통해 협동심을 길러주고 창의력, 사회성의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물론 예술적인 부분에 있어서 평가의 어려움이 존재하였으나 이것은 교사의 정확하고 애매하지 않은 평가기준과 동료평가, 자기평가를 통해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문제였다. 마지막으로 표현활동 영역이 지금 보다 개선이 되려면 지금의 인식부터 깨져야 실질적인 해결이 이루어질 것이다. 초등교육에서는 하지 않았던 내용들을 본인들의 자아형성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예민한 사춘기의 절정인 중, 고등학교 시절 갑작스럽게 표현영역을 시작한다면 평소 활발하거나 무용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 아닌 이상 기피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이 당연하다. 표현영역의 수업이 자연스럽게 체육수업으로 녹아들 수 있도록 초등교육부터 건강, 경쟁, 도전, 안전과 함께 표현영역이 조화롭게 발달되어야 지금처럼 경쟁과 도전에 치중되어 있는 체육교과가 되지 않고 다양한 영역으로 발달이 이루어질 것이다. 수업을 가르치는 체육교사 또한 체육교사를 준비기간에도 필수로 표현영역을 배우게 하거나 연수를 발달시켜 가르치는 교사에게 이질감이 있는 영역이 되지 않고 당연히 할 수 있는 수업으로 인식이 바뀌어야한다. 지금까지 체육교사의 표현영역 수업 실천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 대상자들의 표현영역 수업사례를 비교하여 현장에서의 표현영역 수업에 발전 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본 연구의 자료를 수집하는데 있어서 표현영역에 관한 선행연구들이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질적 내러티브 연구의 특성에 상 연구의 대상자들의 이야기가 모든 체육전공 남자 체육교사와 무용전공 여자 체육교사의 이야기를 대표하기는 어렵다는 한계를 지니므로 본 연구에 이어 학교현장에서 표현영역, 체육교과안에서 예술성을 지닌 몸으로 표현하는 활동에 관한 체계적이고 다양한 후속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자 한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stories of each study subject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actice in the field of school and to analyze the meanings contained in them, and to unravel their class practices as stories. For the study subjects, a total of 4 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2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majored in physic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were selected as nomadic samplings, and their careers were limited to more than 2 years. In addition, the research method went through the process of collecting qualitative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ach subject and securing the authenticity of the data through inductiv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collected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s they were, and the researcher repeatedly read and searched for meaning and categorized them. Through this, common conclusions were drawn from interviews of each study subject, an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narratives of the study subject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hronological categories. The first is to grasp the location and actual situation of how the expression area is being implemented in the physical education subject at the school site, and the second is the process of practicing the classes of physical education male physical education male and female physical education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ese are examples of ways to improve the effort to feel the liveliness of the field and finally to break the percep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in the expression field at the school site. First of all, the study subjects consist of 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lea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dance more and more in the field. I could see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class in the expression area and whether the class practice is really evolving, and I could find out the current situation through the story of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the field. Most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ay that the expression area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s a special area that they must have expertise, and they have a prejudice that dance teachers will teach better about classes. However, this was only a prejudice thought by teachers who had not practiced it, and in fact, the area of expression in the human body school physical education was a class that general teachers could proceed if they had enough knowledge. It was said that the expression area is different in the way of general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e effect obtained is different. Since the expression area expresses what one wants to express through the movement of the body, it is not only a practical demonstration when teaching a subject, but also an effective class through video media.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foster a sense of cooperation and help develop creativity and sociality through group work through group formation that had not been learned in general areas such as challenge and competition. Of course, there were difficulties in evaluation in the artistic part, but this was a problem that could be sufficiently solved if it was achieved through the teacher's accurate and unambiguous evaluation criteria, peer 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Lastly, in order for the area of expression activity to be improved than now, practical resolution will be achieved only if it is broken from the current perception. It is natural that students who do not do what they did in elementary education quickly become self-formed, and suddenly start to express themselves in the middle of high school, a climax of sensitive puberty, unless they are usually active or interested in dancing. Do. In order for classes in the expression area to be naturally integrated into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expression area must be developed in harmony with education, health, competition, challenge, and safety, so that it cannot develop into various areas without becoming a physical education subject focused on competition and challenge. Will be done.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who teaches the class also needs to learn the expression area as an essential part of the prepara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or develop the training so that the teacher should not change his perception into a class that he can do without becoming dissimilar. So far, we have examined through the narrative exploration of the practic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xpression domain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ases of the subjects in the expression area and to develop an improvement plan so that they can be developed in the field of expression area. The researcher found that there were a lot of prior studies on the area of expression in collecting the data of this study, and the nature of this qualitative narrative study showed tha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ll physical education 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dance major female physical education. Since it has a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represent the teacher's story, I would like to hope that following this study, a systematic and diverse follow-up study on the activities of expressing with the body with expression in the field of school and in the art of physical education can be actively conduct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