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Q방법론을 활용한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생의 체육수업 인식에 대한 연구

초록/요약

이 연구는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참여경험을 알아보며 체육수업에 대한 그들의 주관적 인식이 어떻게 분류되고 범주화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생들이 경험하는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등을 파악함으로써, 예술 고등학교 체육 교과의 역량 강화와 긍정적 인식변화에 도움을 주는 방향성에 대한 토대자료로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주관적 인식을 범주화하는 방법론인 Q방법론을 통해서 무용전공생들의 인식유형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생들이 인식하는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유형은 총 6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6가지 유형은 “심리적 태도 중심형(제 1유형)”, “전공 연계성 중심형(제 2유형)”, “교육 평가과정 중심형(제 3유형)”, “교육적 환경 중심형(제 4유형)”, “교육 활동내용 중심형(제 5유형)”, “신체적 학습경험 중심형(제 6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장 많은 인식 유형을 보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제 1유형과 제 3유형이었으며, 제 4유형, 제 5유형, 제 6유형, 제 2유형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형별 특성을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으로 나타난 유형별 특성을 보면 긍정적인 평가가 중심이 되는 유형은 제 1유형과 제 6유형, 부정적인 평가가 중심이 되는 유형은 제 2유형, 긍정과 부정적인 측면이 동시에 나타난 유형은 제 3유형, 제 4유형, 제 5유형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년별 인식유형의 특성을 살펴보면, 3학년 재학생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유형은 제 1유형과 제 2유형이었으며, 2학년 재학생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유형은 제 3유형과 제 4유형, 제 5유형이었으며, 3학년과 2학년 재학생이 동일한 비율을 나타낸 답변은 제 6유형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각각의 인식유형의 차이점은 확연한 차이를 나타낸 반면 각각의 유형의 유사점이나 상관관계가 없이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이 예술 고등학교 무용과 학생들이 인식하는 체육수업의 인식유형은 6개의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영역은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향후 예술 고등학교 체육수업이 지향해야 하는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체육수업의 인식유형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심리적 태도 중심형과 교육 평가과정 중심형을 인식하고 있었다. 상대적으로 전공 연계성 중심형과 신체적 학습경험 중심형이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측면은 무용전공생들이 신체를 중심으로 교육을 받고 있는 현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체육수업이 지향해야 할 방향은 전공과의 연계성 강화 및 신체적 학습경험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교육 설계가 필요하며, 이와 같은 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교육 방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유형별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으로 인식하는 유형이 구분되었다. 특히 긍정적으로도 생각하지만 부정적인 측면으로 생각하는 인식유형을 고려해볼 때 대부분의 학생들은 심리적, 신체적 활동으로서의 체육수업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 교육평가, 교육환경, 교육내용에 대한 부분을 인식하는 부분에서는 긍정과 부정을 모두 나타내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수행평가 위주의 체육수업과 체력소모가 많다는 측면, 한정적 종목이 많았다는 측면의 부정적인 평가를 개선할 수 있는 체육수업의 방향 설정이 필요하다. 즉, 체육수업의 평가의 다양화, 신체활동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체력 배분을 고려한 교육방법, 다양한 체육 종목의 교육 설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부정적인 측면을 나타내고 있는 전공과의 연계성을 고려할 때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체육수업의 설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학년별 인식유형의 차이점을 통해 볼 때 학년별로 학생들의 상황을 고려한 체육수업의 설계가 필요하다. 즉 3학년 학생들의 경우 입시를 앞두고 있고, 심리적인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과도한 체육수업은 교육적 효과를 가져올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학년별 학생들이 처한 상황이나, 교육적 효과를 고려한 체육수업 설계를 위한 방향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examined the positive and negative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dance majors in arts high schools for physical education (PE) class and determined how their subjective perceptions about PE class are classified and categorized. The purpose was to provide baseline data to enhance competencies of the PE subject at arts high schools and set the direction for positive change in perceptions by determining how dance majors in arts high schools perceive PE class. The Q methodology, which categorizes subjective perceptions, is used in this process to derive types of perceptions among dance major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total 6 types of perceptions on PE class among dance majors in arts high schools: “psychological attitude focused (Type 1)”, “major connectivity focused (Type 2)”, “educational evaluation focused (Type 3)”, “educational environment focused (Type 4)”, “educational activity focused (Type 5)”, and “physical learning experience focused (Type 6)”. Second, the most frequent perception types were Type 1 and Type 3, followed by Type 4, Type 5, Type 6, and Type 2. Third, the characteristics by type in terms of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are as follows. Types 1 and 6 are focused on positive feedback, Type 2 is focused on negative feedback, and Types 3, 4 and 5 are show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feedback.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perception type by grade are as follows. Types 1 and 2 had a high percentage of senior students, Types 3, 4 and 5 had a high percentage of junior students, and Type 6 had the same ratio of junior and senior students. Fifth, while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in each perception type, they were existing independently without similarities or correlations. As such, there were six domains of perception about PE class among arts high school students, each of which was existing independently. This result suggests the direction that must be pursued by PE class in arts high schools. First, students were perceiving psychological attitude and educational evaluation, which take up the highest ratio among perception types of PE class. Major connectivity and physical learning experience showed a relatively low ratio. This reflects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dance majors are receiving education or training focused on the body. Therefore, the direction that must be taken by PE class requires stronger connectivity with major and educational design that helps students concentrate more on physical learning experience, as well as research on the direction of such education. Second, the types that perceived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were divided. Considering the type of perception that has not only positive but also negative aspects, most students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PE class as a psychological and physical activity, whereas they show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sponses regarding perception on evaluation, environment and content of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set the direction for PE class to improve negative feedback on PE class that is focused on performance assessment, that uses up too much strength, and that has many limited event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evaluation in PE class, provide educational methods considering distribution of physical strength of students specializing in physical activities, and design education in various sports events. Moreover, considering connectivity with major that represents a negative aspect,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the design of PE class that can prevent injury. Third, it is necessary to design a PE class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of students in each grade,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type by grade. In other words, college entrance exams are coming up for senior students, and considering their situation with psychological anxiety, too much PE class will not be able to bring educational eff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irection for design of PE class considering the situations faced by students in each grade or educational effect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