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공감적 자기화를 활용한 문학교육 방안 연구 : 1950년대 전쟁 체험시를 제재로

A Study on Education plans for literature through empathic self-creation: experiential poetry of war in 1950's

초록/요약

우리 현실 속 가장 특징적인 것은 분단 상황이다. 그러나 현 중·고 학습자는 전쟁을 직접적으로 경험하지 못하여 한국전쟁과 분단 상황에 대한 막연한 인식만 있을 뿐 무관심한 경우가 대다수이다. 따라서 분단 문학은 학습자에게 전쟁과 분단을 명확하게 인식시켜 민족의 이질성 극복 및 통일에 앞장서야한다. 그러나 현 시행되고 있는 분단문학 학습은 피상적으로 학습자의 흥미를 저해하고 무관심을 야기하여 문학에 대한 학습자의 수동적인 태도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본 연구는 중, 고등 학습자를 대상으로 분단문학을 읽고 이를 낯선 세계로 치부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감을 바탕으로 수용과 생산을 아우르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분단문학 중 작가의 직, 간접 체험을 바탕으로 쓰인 전쟁 체험시를 제재로 설정한다. 공감적 자기화는 학습자가 문학작품을 접할 때 자신의 경험세계와 배경지식을 관련지어 작품을 이해하는 과정과 더불어 낯선 것을 자기화 함으로써 표현하는 수용과 생산 활동을 의미한다. 전쟁 체험시에 대한 공감은 작가의 경험이 반영된 작품세계에 대한 이해와 나아가 학습자 자신에 대한 이해의 과정을 돕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화를 통해 작품세계의 의미를 건설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Flavell(1985)이 제시한 청소년에게 나타나는 공감양상을 활용하여 전쟁 체험시를 4가지 주제로 나눠 분석했다. 비공감적 추론, 비추론적 공감, 추론적 공감, 공감적 추론을 통해 애국심과 승전의식, 전쟁의 고통과 상흔, 분단 극복의지와 비인간성 회복 이라는 주제에 다가갈 수 있다. 즉 학습자의 공감양상을 통해 전쟁 체험시의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이후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공감적 자기화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단계의 명확한 구별을 위해 기존의 공감적 자기화 과정에 한 단계를 추가하여 총 4단계에 걸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고 각 단계 별 활동을 통해 구체화하였다. 그리고 이를 적용하기 위해 앞서 공감양상에 따른 작품 분석을 활용하여 각 단계에 적절한 활동과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전쟁 체험시라는 낯선 문학 소재를 공감을 바탕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앞선 공감적 수용을 바탕으로 학습자 중심의 표현하기 활동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수용과 생산의 두 측면을 통합적으로 지도한다는 의의가 있다. 따라서 공감적 자기화를 활용한 문학 교육연구 방안을 활용하여 전쟁 체험시를 교수학습 한다면 한국전쟁에 대한 학습자의 사고형성과 분단문학에 대한 학습자의 바람직한 감상능력 신장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본다.

more

초록/요약

One of the most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our reality is the state of division. However, most of current middle & high school-level learners do not have firsthand experience of war, and thus are only vaguely aware of the Korean War and state of division without genuine interest. Therefore, the division literature must lead the ethnic re-unification and overcoming of differences by making the learners perceive war and division clearly. The current education on division literature, however, is superficial and causes the learners to take passive stance toward education and become indifferent to the subject. To resolve the problem of middle & high school-level learners considering the world inside division literature merely unfamiliar,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a teaching-learning scheme that uses empathic self-creation model to elicit appreciation and that encompasses acceptance and production. Within division literature, experiential poetry works on author’s direct or indirect experience of war were chosen as research materials to apply the proposed scheme effectively. Empathic self-creation refers to learner’s process of understanding literary works by connecting them to one’s own world of experience and background knowledge, and also to the activity of acceptance and production based on personalization of something less familiar. Appreciation of experiential poetry of war helps the learner understand not only the world inside the literary work reflecting author’s experience but also one’s own self and assists the learner in constructing the meaning of the work.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appreciation and personalization can also be found in the purpose of literature education and 2015 Revised Curriculum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experiential poetry of war divided into four topics, based on the empathy patterns at adolescent level suggested by Flavell(1985). The empathy patterns of the learner were corresponded to each subject to confirm the patterns through various works, an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or each type of empathy pattern were derived. Based on this stage, a teaching-learning scheme was proposed using the existing empathic self-creation model. In order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stages, this study proposed a teaching-learning scheme of four stages by including an additional stage to the existing process of empathic self-creation, which was then materialized through activities in each stage. Furthermore, the analyses of works based on empathy patterns were used to suggest appropriate activities and guidance plan for each stag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proposed a way to accept the less familiar subject of experiential poetry of war based on empathic appreciation.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proposing learner-centered personalization activities based on empathic appreciation of works, which would provide integrated guidance for the learners toward both aspects of acceptance and production. Therefore, this study expects that when the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scheme using empathic personalization is applied to the education about experiential poetry of war, the recipients will be able to experience thinking about the Korean War and attain desirable growth in appreciative competence regarding division literatur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