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건강정보의 능동적 이용에 대한 연구 : 이용자들의 기술수용 태도와 건강정보추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Active Use of Mobile Health Information Focusing on User’s Technology Adoption Attitude And Health Information Seeking
- 주제(키워드) 모바일 건강정보 , 능동적 이용 , 기술수용모형 , 문제해결상황이론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이수영
- 발행년도 2020
- 학위수여년월 2020.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UCI I804:11029-00000006543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모바일 건강정보의 능동적 이용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2차 요인 분석을 통해 능동적 이용을 구성하는 하위 개념을 밝히고, 능동적 이용에 이르는 과정에 대한 모형을 검증하였다. 우선, 모바일 건강정보의 능동적 이용을 개념화하기 위해 기존 미디어의 능동성을 구성하는 문항과 심층인터뷰 결과 도출된 문항을 토대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적화된 이용, 관계적 이용, 관리적 이용의 3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이를 확인적 요인분석을 포함 2차 요인분석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모바일 건강정보의 능동적 이용을 설명하는 통합모델의 설명력은 31.2%로 나타났으며, 모바일 건강정보의 능동적 이용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용성, 정보추구 순으로 높았다. 셋째, 모바일 건강정보의 유용성 인식, 인터넷 건강정보추구 행동은 능동적 이용에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용이성 인식은 유용성 인식에 매개효과가 있었다. 인터넷 숙련도, e헬스 리터러시, 주관적 규범은 용이성을 매개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오피니언 리더 성향, 질병태도는 유용성을 매개로 능동적 이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e헬스 리터러시, 관여도, 주관적 규범은 유용성을 매개로 정보추구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다시 능동적 이용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미디어 이용에서 논의되었던 능동적 이용의 개념들을 특정 주제인 건강정보의 이용에 적용, 이용자의 인지적 요소가 포함된 정교화된 개념으로 이론을 확장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revealed the sub-concepts constituting active use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secondary factor analysis for active use of mobile health information, and verified the model for the process leading to active use. First, in order to conceptualize the active use of mobile health informa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s constituting the active use of media and the items derived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three factors of optimized use, relational use, and management use were extracted, and the significance was confirmed through secondary factor analysis. Seco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integrated model explaining the active use of mobile health information was 31.2%, and the influence on the active use of mobile health information was high in order of perceived usefulness and mobile health information seeking. Third, the perceived usefulness of mobile health information and the behavior of mobile health information seeking had a mediating effect on active use, and the perceived ease of use had a mediating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the concepts of active use discussed in media use were applied to the use of mobile health information, and the theory was expanded to a sophisticated concept that included cognitive factors of user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