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면평가에서 본인과 타인의 일치도에 미치는 피평가자의 문화가치 성향과 지위관계의 영향
Hierarchy in Organizations and Culture Value Orientations Do Matter in Self-Other Agreement?: The Effects of Hierarchy and Culture Value Orientations on Managerial Self-Awareness
- 주제(키워드) 다면평가 , 일치도 , 지위관계 , 문화가치 성향 , 교차 분류 모형 , Self-other agreement , 360 degree feedback , Status relationships , Culture value orientation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장재윤
- 발행년도 2020
- 학위수여년월 2020.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UCI I804:11029-00000006541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tatus relationships on self-other agreement in organizations. The effect of culture value orientation on self-other agreement was also investigated. Analyzing with multilevel model, the author found that the agreement with subordinates was the highest. In addition, power distance orient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supervisor ratings. It was also found that the effect of uncertainty avoidance orientation on the self-other agreement was different across status relationships. The status relationships between rater and ratee, and the culture value orienta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self-other agreement.
more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다면평가에서 평가자와 피평가자의 우호성-비우호성 평가 일치도에 있어서 지위 관계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피평가자의 권력 거리, 불확실성 회피 성향이 상사, 동료, 부하와의 우호성-비우호성 평가 일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교차 분류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상사, 동료, 부하 중 부하가 피평가자와의 일치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본인과 상사의 평정 간 관계에 대한 권력거리 성향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는 피평가자의 권력거리 성향이 높을수록 상사와의 일치도가 더 높음을 의미한다. 예상한 바와 다르게 불확실성 회피 성향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본인과 타인의 평정 간 관계에 대한 불확실성 회피 성향, 지위 관계의 삼원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종합하면, 다면평가에서 평가자와 피평가자의 일치도를 고려할 때 지위관계와 피평가자의 문화가치 성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