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사회공헌활동의 시스템, 전략, 커뮤니케이션이 조직신뢰, 기업시민성, 사회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ystem, Strategy and Communica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Organizational Trust, Corporate Citizenship, and Social Value
- 주제(키워드) 사회적 책임(CSR) , CSR 시스템 , CSR 전략 , CSR 커뮤니케이션 , 조직신뢰 , 기업시민성 , 사회적 가치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CSR System , CSR Strategy , CSR Communication , Organizational Trust , Corporate Citizenship , Social Valu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 지도교수 신호창
- 발행년도 2020
- 학위수여년월 2020.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영상대학원 광고PR
- UCI I804:11029-00000006538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기업의 전략적인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연구이다.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경영활동의 전략적인 요소로 여겨지고 있으며, 기업의 성과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에서처럼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사항이 되었다.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해서 사회공헌활동을 전략적인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며, 나아가 임직원, 고객, 주주, 정부 및 일반 대중의 관심사를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봐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입각하여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중요성에 비해 관련 논의가 부족했던 기업의 전략적 사회공헌활동을 S-S-C모델(시스템, 전략,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하여 조직신뢰, 기업시민성, 사회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이론적 탐색을 통해 기업의 전략적 사회공헌활동을 S-S-C 모델의 3가지 측면인 시스템, 전략,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살펴보았으며, 기업의 구성원이 인식하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전략적으로 이루어질 때 조직신뢰, 기업시민성, 사회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사회공헌활동 전략의 수립 및 평가에 이론적, 실무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국내 주요기업 사회가치보고서(전경련, 2019)에서 4개 기업을 선정하여 그 회사의 구성원 40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방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S-S-C모델에 입각한 기업의 전략적 사회공헌활동의 지역사회문제해결, 미래고객창출, 미래인재양성, 스토리텔링에 대한 인식이 조직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시민성에는 전략 요인의 지역사회 문제해결과 미래고객창출, 미래인재양성, 커뮤니케이션의 스토리텔링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전략 요인의 지역사회 문제해결과 리스크 연계, 미래고객창출, 커뮤니케이션 요인의 스토리텔링이 사회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기업의 전략적 사회공헌활동의 시스템, 전략,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식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해보았는데, 연령, 경력(근속연수), 직급, 근무부서, 업종, 직무 등에서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기업 사회공헌활동 중에서 지역사회 문제해결, 청소년에 대한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그리고 그러한 활동을 스토리를 통해 대내외적으로 소통하는 홍보는 조직신뢰와 기업시민성 그리고 사회적 가치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본 연구가 갖는 시사점을 보면, 기업의 전략적 사회공헌활동에 대해 최근의 연구 성과를 반영한 S-S-C 모델을 활용해 실증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해당조직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을 측정하고, 그 인식이 조직신뢰, 기업시민성, 사회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기업에서 기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핵심방안의 일환으로 전략적 사회공헌활동을 기획하거나 정책을 수립할 때, 어떤 전략을 택할 것인가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도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지속가능경영의 일환으로 시스템, 전략,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전략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내부 구성원을 비롯한 외부 이해관계자들에게도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함의를 도출한 것이다.
more초록/요약
This paper is about the study of strategic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re considered to be a strategic element of management activities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a company, and as research showing that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a company's performance, it is no longer an option but a necessity. For sustainable managemen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must be approached from a strategic level, and further, the interests of employees, customers, shareholders, the government, and the general public need to be considered in various aspects. Based on this necessity,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organizational trust, corporate citizenship, and social value that have been insufficiently discussed despite of its importance by utilizing the S-S-C model (system, strategy, communication). Through theoretical explorati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ere considered in terms of three aspects of the S-S-C model: system, strategy, and communication. In addition, whe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recognized by members of the company were strategically implemented, th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trust, corporate citizenship, and social value was empirically identified. Through thi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data on strategy establishment and evaluation related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For the survey, 4 companies were selected from the Social Value Report of major domestic companies (Federation of the Korean Industries, 2019). A self-reported survey was conducted on 400 members of each company, and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perceptions on community problem solving, future customer generation, future talent cultivation, and storytelling of the strategic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ased on S-S-C model had positive impacts on organizational trust. Second, community problem solving, future customer generation, future talent cultivation, and storytelling of communication factors affected corporate citizenship. Third, it was analyzed that community problem solving and risk linkage, future customer generation, and storytelling of communication factors had positive effects on social valu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system, strategy, and communication of strategic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the differences are found between groups in age, career (longevity), job title, work department, type of business, job, etc. Summarizing these findings, it was found that amo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mmunity problem solving, positive recogni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for youth, and internal and external promotion through stories have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trust, corporate citizenship, and social value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firstly, empirical analysis of strategic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as performed using S-S-C model reflecting recent research results. Secondly, by measuring the member's perception of the organization'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 effect of that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trust, corporate citizenship, and social value was empirically identified. Thirdly, it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on which strategy to choose when planning or establishing strategic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 part of the core measures for future growth. In conclusion, this study deduced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hould be strategically and systematically conducted from a system, strategy, and communication perspectives as part of sustainable management, so that external stakeholders as well as internal members can be properly evaluat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