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헌시 대통령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Presidential System in the Case of Constitutional Amendment
- 주제(키워드) 제왕적 대통령제 , 한국의 대통령제 , 미국의 대통령제 ,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대통령제 , 개헌 , 대통령제의 개선방안 , 몽테스키외의 권력분립론 , 정부형태 , Imperial presidency , Presidential system of South Korea , The US presidential system , Latin America’s presidential system , Constitutional amendment , The improvement of the presidential system , The separation of powers of Montesquieu , Government form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임지봉
- 발행년도 2020
- 학위수여년월 2020.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법학과
- UCI I804:11029-00000006537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South Korea accepted the US presidential system, but it is a modified presidential system with a different parliamentary system than the US presidential system. Adopted by the Constituent Assembly in 1948, Korea has maintained the presidential system until 2020, except for the period of the Second Republic. In 1987, the 9th Amendment Constitution, the‘87 Constitutional System’, has continued for over 30 years without revision. The birth of the Constitution in 1987 was the result of the peak of the people’s demand for democratization, and the most valuable outcome was the presidential election system. Since then, the Republic of Korea has achieved democracy with industrialization, and the voice of the amendment to the‘87 Constitution’ has also increased. Along with the demands for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problems with the governmental form of the presidential system have also been pointed out. Despite the advent of the democratization era, Korea's presidential system took the role of the imperial presidency during the authoritarian era. It was criticized for the national monopoly affairs of‘Park Geun-hye's Choi Soon-sil Gate’, the cause of the recent impeachment trial by President Park Geun-hye, became the imperial presidency. Since then, the demand for the amendment of academia, the media and civic groups, etc., has spread to the public opinion. The presidential system, based on the theory of separation of powers of Montesquieu, should establish a governance structure that guarantees the freedom and rights of the people through the principle of checks and balances. The US presidential system, which has been maintained for over 300 year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presidential system that has been spread to Latin American countries, are compared and studied to reflect the improvement measures of the presidential system in South Korea's constitutional amendment. At the same time, we propose a way to remove the adverse function of the parliamentary system, which has been pointed out as a problem of the presidential system, an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esidential system. As a major improvement plan,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presidential system, the president's political and vice president system was introduced, and the prime minister system was abolished. The four-year consecutive presidential system is implemented, and the introduction of the bicameral system and the absolute majority and final voting system are introduced. The president's right to propose legislation, which is an element of the Cabinet, is maintained and improved, and the right to dismiss the National Assembly for the Prime Minister and members of the State is maintained in the current system, which is a form of recommendation for dismissal. It prohibits parliamentarians from serving as Members of the State Council and reduces the power of the president to exercise amnesty. As a measure to strengthen the separation of powers, we propose to abolish the Chief Justice's right to recommend Supreme Court justices for the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to maintain the parliamentary audit system to monitor and check the administration, and to gain independence from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and to effectively control the administration. Although the amendment proposed by the government in March 2018 was not passed by the National Assembly, I am convinced that the time for the amendment is approaching. As Ackerman pointed out, the problem with the presidential system is not to unleash the power of the unconditional presidential constitution, but to remove the system to tolerate anti-constitutional events to create a “Improved balanced presidential system”.
more초록/요약
한국은 미국의 대통령제를 받아들였지만, 미국의 대통령제와는 다른 의원내각제적 요소가 가미된 변형된 대통령제의 모습을 하고 있다. 1948년 제헌국회에서 채택되어, 제2공화국의 기간을 제외하고는 2020년 현재까지 우리나라는 대통령제를 유지해오고 있다. 1987년 제9차개정헌법인‘87년 헌법체제’는 현재까지 30여 년이 넘는 기간 동안 개정 없이 지속되어왔다. 87년 헌법의 탄생은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가 극에 달하던 시절의 결과였고, 무엇보다 가장 값진 결과물은 대통령직선제를 얻어낸 것이었다. 이후 대한민국은 산업화와 함께 민주화를 이루어내면서, 87년 헌법개정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헌법개정의 요구와 함께 대통령제의 정부형태에 대한 문제점도 지적되어왔다. 민주화시대가 도래하였음에도, 한국의 대통령제는 권위주의시대에 행하였던 제왕적 대통령의 행태를 취하였으며, 최근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 재판의 원인이었던‘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국정농단사건은 제왕적 대통령제로 국정을 운영하였다는 비판이 받았다. 이후에 학계나 언론․시민단체 등 개헌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는 국민적 여론으로 퍼져나갔고, 개헌의 열망은 87년 민주화 요구의 역사적 시점과 같은 위치에 있다고 판단한다. 몽테스키외의 권력분립론을 기반으로 한 대통령제는 견제와 균형의 원리를 통해서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는 통치구조를 이루어내야 한다. 미국에서 300여 년 동안 유지하고 있는 미국 대통령제와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에게 전파된 대통령제를 비교․연구하여 한국의 개헌시 대통령제의 개선방안에 반영하려 한다. 이와 함께 대통령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의원내각제적 요소의 역기능을 제거하고 그 밖의 대통령제의 문제점 등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해 본다. 주요 개선방안으로는 현행 대통령제를 유지하면서, 대통령 정․부통령제를 도입하고, 국무총리제를 폐지한다. 대통령 4년 연임제를 실시하며, 양원제의 도입과 절대다수대표제와 결선투표제를 도입한다. 의원내각제적 요소인 대통령의 법률안제출권은 유지・개선하며, 국무총리와 국무위원에 대한 국회의 해임권은 해임건의권의 형태인 현행 제도로 유지한다. 국회의원의 국무위원겸직을 금지하고, 대통령의 사면권 행사의 권한을 축소한다. 권력분립의 강고화 방안으로 사법부의 독립을 위해 대법원장의 대법관에 대한 제청권을 폐지하며, 입법부의 독립을 위해 국정감사제도는 유지하여 행정부를 감시․견제하며, 감사원을 독립하여 행정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는 방안을 제시해 본다. 2018년 3월 정부가 발의한 개헌안은 국회에서 통과되지 못하였지만, 개헌의 시기는 가까이 오고 있다고 확신한다. 애커먼이 지적한 것처럼, 대통령제의 문제점은 무조건적인 대통령의 헌법상 권력을 덜어내는 것이 아니라, 반헌법적 행사를 용인하는 제도를 제거하여‘개선된 균형형 대통령제’의 모습을 만드는 것이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