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편집성향의 관계 : 내면화된 수치심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Paranoia Tendency: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 주제(키워드)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 내면화된 수치심 ,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 편집성향 ,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 internalized shame , fear of negative evaluation , paranoia tendenc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한기백
- 발행년도 2020
- 학위수여년월 2020.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UCI I804:11029-00000006537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편집성향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역할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373명의 자기보고 설문자료를 SPSS 26.0과 PROCESS Macro 3.5를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편집성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단순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내면화된 수치심의 단순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편집성향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선행하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내면화된 수치심을 선행하는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내면화된 수치심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편집성향에 미치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사회불안의 핵심적 특징으로 일컬어지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편집성향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을 선행하는 주요한 변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함의와 함께 제한점 및 후속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internal shame and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aranoia tendency among undergraduates of univerity. For this purpose, Data from self-reported questionnaires of 373 undergraduates of university in capiatal are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0 and PROCESS Macro 3.5,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was verified by using a bootstrapping method. Significant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ternalized shame showe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aranoia tendency, however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control and paranoia tendency. Second, as the result of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internalized sha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aranoia tendenc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hame was significant. However,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shame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as not significant. Finally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