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말선초 토지개혁 결과와 그 변질에 대한 정치적 고찰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result of land reform and political consider about that deterioration
- 주제(키워드) 고려 , 조선 , 토지개혁 , 변질 , 사채 , 윤리 , 헤게모니 , 이해관계 , Korean dynasty , Joseon Dynasty , land reform , deterioration , private loan , ethics , hegemony , an interest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류석진
- 발행년도 2020
- 학위수여년월 2020.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정치외교학과
- UCI I804:11029-00000006536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e accumlation of land and income by rulling class went to an extreme. Thus, people’s daily life was devastated. Rising powers such as Yi Seonggye, Jeong Do-jeon, Jo Jun, founded the new Joseon Dynasty focusing on a land reform to resolve the problem. The ideal of Joseon Dynasty to allocate self-cultivating land to all subjects was supported by elaborate laws and policies. With a Land to the Tillers principle as the central figure, sophisticated long term policies such as prohibition on dealing in land, suppresion on excessive rise of the number of slaves, and land distribution for landless subjects were planned. However, the plans were deteriorated not long after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Beginning with the permission for dealing the land, laws and policies were gradually dissolved. About 100 years after its foundtaion, Joseon Dynasty faced an extreme land monopoly. The solid and elaborate results of the land reform suddenly had collapsed from the beginning. This study considers the collapsing process of overall institution for the ideal of founding fathers of Joseon Dynasty with power elite's activities as the central figure, and explains the political condition through which this unexpected collapse was caused.
more초록/요약
고려 말기는 지배층들의 토지집적현상이 극단에 달했고 대부분의 생산소득은 소수에게 집약되었다. 그만큼 백성들의 민생은 피폐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성계(李成桂) 조준(趙浚), 정도전(鄭道傳)등의 신진 세력들이 일어났으며 토지 개혁을 중심으로 조선이라는 새로운 나라를 건국하였다. 모든 백성이 자기 경작지를 가지는 조선의 건국 이상은 정교한 법제와 정책으로 뒷받침되었다. 경자유전제를 중심으로 토지매매의 금지와 과도한 노비 생산 억제 정책, 토지가 부족한 하층민들을 위한 토지분배 정책 등이 짜임새 있고 장기적으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이 계획들은 건국 초기부터 변질되기 시작했다. 토지매매의 허용을 시작으로 계획된 제도와 정책들이 점진적으로 해제되어갔다. 그리고 조선은 건국이후 약 100년 만에 다시 극단적인 토지집적 현상에 직면하였다. 단단하고 정교했던 토지개혁의 결과들이 갑작스럽게 허물어져 갔던 것이다. 본 연구는 조선의 건국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총체적인 제도들이 해제되어가는 과정을 권력자들의 행위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그리고 어떤 정치적 조건의 의해 이런 사태가 발생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