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유튜브 추천 동영상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구 : 미디어 리터러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use of YouTube video recommendation service :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media literacy

초록/요약

Entering a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various services that utilize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e being developed and quickly used in various fields. Among them, the video recommendation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ervices of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which uses algorithms to make user information into data and recommend videos that users can watch. The video recommendation service has the advantage of simplifying the process of selecting video, but there is a continuing concern about the possibility of inducing confirmation bias or leaking of personal inform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cuss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acceptance of new services using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to prepare for possible side effects from video recommendation service. A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s with experience in using video recommendation service on YouTube, a representative online content platform, and a research model was set based on a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fterwar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derived through prior studies an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ntion to use were examined. Furthermore, the moderating effect of media literacy was verified to see if the pattern of service use varies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media literacy compete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erceived usefulness of YouTube recommendation service was influenced by the outcome quality, comparative advantages and playfulness. And the perceived ease of use was influenced by the outcome quality, comparative advantages, self-efficacy and playfulness. In addition, only perceived useful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use. Privacy concerns, which have not significantly affecte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have been shown to have a direct nega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of use. As a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 of media literacy competence, the more critical and ethical groups, the less the impact of perceived usefulness on the intention was verified.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critical comprehension and ethical competence of media are negatively contro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use.

more

초록/요약

지능정보사회로 진입하며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의 지능정보기술이 활용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고 여러 분야에 빠르게 활용되고 있다. 그 가운데 동영상 추천 서비스는 알고리즘을 활용해 이용자의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이용자가 시청할만한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지능정보사회의 대표적인 서비스 중 하나이다. 동영상 추천 서비스는 콘텐츠를 선별해내는 과정을 간소화시켜준다는 이점이 있지만, 이용자의 확증 편향을 유도하거나 개인 정보 유출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의 수용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과 동영상 추천 서비스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대표적인 온라인 콘텐츠 플랫폼인 유튜브의 추천 동영상 이용 경험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이후 선행 연구를 통해 도출된 변인들과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이용 의도의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개인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따라 서비스 이용 양상이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 요인별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유튜브 추천 동영상의 인지된 유용성에는 결과 품질, 상대적 이점, 유희성이 영향을 미쳤으며, 인지된 용이성은 결과 품질, 상대적 이점, 자기효능감, 유희성이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 가운데 인지된 유용성만이 이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프라이버시 염려는 이용 의도에 직접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인지된 유용성이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비판적 이해 역량과 윤리 역량이 높은 집단일수록 인지된 유용성이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졌다. 즉 비판적 이해 역량과 윤리 역량이 인지된 유용성과 이용 의도의 관계를 부(-)적으로 조절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