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정서인식명확성과 트라우마 후 성장의 관계 : 고통 감내력과 심리적 수용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초록/요약

본 연구는 정서인식명확성이 트라우마 후 성장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고통 감내력과 심리적 수용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트라우마 경험, 정서인식명확성, 고통 감내력, 심리적 수용, 트라우마 후 성장 5가지 척도와 인구통계학적 정보로 구성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383명의 자료를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명확성과 트라우마 후 성장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과 트라우마 후 성장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정서인식명확성과 트라우마 후 성장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과 심리적 수용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적 함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For this purpose, online survey consisted of trauma experience, emotional clarity, distress tolerance, psychological acceptance, post-traumatic growth and demographic information was administered to adults over 19 years old throughout the nation. Finally the total data collected from 383 participants is analyzed using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was not recognized. Second, psychological acceptance show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