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공중이 정책을 수용하는데 있어 정책집행 단계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이 지니는 의미 연구 : 아이돌봄제와 유연근무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communication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stage from the public policy acceptance perspective : Focused on the flexible work program and childcare support program

초록/요약

Currently, the key to the policy goal of overcoming low birth rates is to keep work and family balanced which gives rise to an urgent need for settlement of the flexible work program and childcare support program. Accordingly, to increase the general public’s acceptance of the relevant policy, the government must consider communication with the general public important when implementing the policy. To determine what kind of meaning such communication has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stage of the flexible work program and childcare support program in order for the public to accept the policies, this study used Giorgi'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rough conducting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research participants and analyzing the content, the researcher was able to derive 22 sub-factors and seven main fa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lexible work program facilitates childcare and prevents a career break while also providing opportunities for men to participate in childcare, thereby showing high acceptance of the policy. However, use of the flexible work program is greatly affected by organizational culture or atmosphere, and there is also a huge gap between big and small/mid-sized companies. This proved the ne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pany and its employees, as well as an integrated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the government, companies, and the general public can all participate. Meanwhile, there were problems with the childcare support program such as lack of government publicity around the program, insufficient analysis on the target, and outdated means of communication. Finally, the government was urged to use the message that childcare is a joint responsibility of both men and women in order to inform the general public about the flexible work program and childcare support program. In order to increase public acceptance of the policy, the government must engage in multi-dimensional communication with both companies and the general public instead of delivering information unilaterally when implementing the policy. Furthermore, the government must let the general public know that both the flexible work program and childcare support program are the best policies that the government can provide to allow both men and women to balance work and family, using a means of communication that is in tune with the tim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closely examining the role that communication plays in the general public’s policy acceptance by focusing only on the flexible work program and childcare support program among policies on low birth rates. Based on the results, it will be possible to suggest a new perspective on the development of these two programs and solutions to low birth rates.

more

초록/요약

현재 저출산 정책의 핵심은 일과 가정의 양립이고 이를 위해서는 유연근무제와 아이돌봄제의 정착이 시급하다. 이에 따라 공중의 해당 정책에 대한 수용도를 높이려면 정부는 정책을 집행할 때 공중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중요시해야 한다. 본 연구는 유연근무제와 아이돌봄제 정책 집행 단계에서 커뮤니케이션이 공중이 정책을 수용하는데 있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심층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지오르기(Giorgi)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총 8명으로 반구조화된 심층 면접으로 진행하였고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22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7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유연근무제가 육아를 용이하게 하고 경력단절을 예방하며 남자들에게 육아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 있어 정책에 대한 수용도가 매우 높았다. 그러나 유연근무제를 사용할 때 조직의 문화나 분위기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나 기업과 직원들간의 커뮤니케이션 필요성과 정부와 기업 그리고 일반 공중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통합 소통 시스템 역시 필요함을 보여줬다. 한편 아이돌봄제는 이에 대한 정부의 홍보 부족, 목표 공중에 대한 분석 결여 그리고 시대에 뒤떨어진 커뮤니케이션 수단 등의 문제가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유연근무제와 아이돌봄제를 공중에게 알리기 위해서는 육아는 남녀 공동의 몫이라는 메시지를 이용해야 함이 나타났다. 정부는 공중의 정책 수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정책을 집행할 때 일방적인 정보전달이 아닌 기업과 공중 모두가 참여하는 다차원적인 소통을 해야 한다. 또한 유연근무제와 아이돌봄제는 남녀 모두의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해 정부가 제공할 수 있는 최선의 정책이라는 메시지를 시대에 맞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통해 공중에게 알려야 한다. 본 연구는 저출산 정책 중 유연근무제도와 아이돌봄 제도에만 집중하여 공중이 정책을 수용하는데 있어 커뮤니케이션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심층적으로 알아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두 제도의 발전과 저출산 해결의 새로운 시각을 제안할 것이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