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나우웬(Henri Nouwen)의 그리스도교 관상전통의 재해석과 적용에 관한 연구 : 토마스 머튼의 관상이론 수용을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관상전통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 친밀함 , 움직임 , 공간의 창출 , 미국의 영성운동 , 이냐시오식 관상기도 , 엑스터시 , 영성화 , Contemplative Tradition , the Second Vatican Council , Intimacy , Movements , Creation of Space , Spiritual Movements in the US , Ignatian Contemplative Prayer , Ecstasy , Spiritualiza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박병관
- 발행년도 2020
- 학위수여년월 2020.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종교학과
- UCI I804:11029-00000006531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헨리 나우웬(Henri Nouwen, 1932-1996)은 사목심리와 그리스도교 영성 학자, 영성 작가, 사회운동가로 40여권의 저술을 통해 영적 생활에 지침을 주었던 영적 안내자였다. 종교가 쇠퇴하고 사적인 영역으로 축소될 것이라 여겨졌던 세속화 시대에 그의 작품은 이례적으로 큰 호응을 받았다. 그의 작품들은 한국어를 비롯한 여러 나라 언어로 번역되었고 그는 가톨릭 뿐만 아니라 개신교 배경의 신자에서도 영향력 있는 영성저자로 평가받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이런 나우웬의 영성에 대한 관심을 주로 목회심리학, 그리스도교 교육학, 그리스도교 영성의 관점에서 고찰한다. 본 논문은 역사 맥락적 연구방법(historical-contextual approach)을 통해 그의 영성이 호응을 받은 이유를 나우웬이 영적 작업을 했던 시대적 배경, 그의 관상전통의 재해석과 적용에서 찾고자 했다. 본 연구가 새롭게 기여하고자 하는 것은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나우웬의 영적 작업의 시대적인 배경을 밝혔다. 그의 영적 작업, 특히 관상전통에 대한 관심과 재해석은 세속 시대의 종교적 조건, 미국의 영성운동의 흐름, 가톨릭 교회의 변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둘째 나우웬의 영적 작업이 그리스도교 관상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그의 영적 생활의 주제들이 토마스 머튼의 관상이론과의 긴밀한 영향관계에 있음을 드러냈다. 셋째 나우웬이 관상전통을 수용하면서도 새로운 개념을 사용해서 재해석하거나 기존 전통을 새롭게 적용해서 제시했다는 것을 밝혔다. 나우웬의 이런 새로운 영적 작업을 역사적 배경을 통해서 살피고 이해했다. 먼저 나우웬의 그리스도교 관상전통에 대한 관심과 재해석의 배경에 세속 시대의 종교적 조건이 있음을 밝힌다. 근대로 이행한 이후 삶이 내재적 틀(immanent frame)로 축소되고, 신앙이 선택이 되는 세속 시대가 되었지만 여전히 초월적인 것에 대한 갈망을 안고 사는 ‘상호 압박(cross pressured)’을 받고 있고, 탈주술화(disenchantment) 이후 단절과 몰락의 느낌 속에서도 ‘진정성의 요구’가 존재한다. 또한 1960년대 후반부터 이전과 달리 미국 사회 안에서 개인의 영적 추구에 대한 강한 열망이 여러 영성에 대한 관심과 운동으로 드러났다. 나우웬은 이런 세속 시대의 종교적 요구와 미국의 영적 추구의 변화라는 현실에서 관상전통을 통해 영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또한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표방한 하느님 계시의 인격성, 성사의 신비, 세상에 열린 사목을 관상전통을 새롭게 보여주는 자신의 영적 작업 안에서 구체화했다. 나우웬은 자신의 저작에서 토마스 머튼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그가 영적 생활에서 보여주는 관상의 대한 이해, 부재를 통한 하느님 현존, 하느님의 모상성, 침묵과 고독, 헤시카즘, 마음의 기도, 정신의 가난과 마음의 가난, 기도의 역설, 이웃과의 내적 연대성 등은 머튼의 관상이론과의 긴밀한 연관성을 보여준다. 그는 머튼의 관상이론을 수용하면서도 강조점에 차이를 보여준다. 머튼은 집단적 대중문화와 세속화의 흐름 속에서 진정한 자아정체성을 발견하는 관상생활에 지향점을 두었으며 특히 수도원주의의 쇄신에 중점을 둔다. 나우웬은 1960년대 이후 표출된 영적 갈망들을 일상생활과 이웃 특히 약한 이들 속에서 하느님의 현존을 발견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한다. 나우웬은 머튼의 관상이론을 수용하면서 동시에 관상전통을 소수의 사람들의 특정한 삶의 방식으로 이해하고 있던 당대의 인식을 넘어서고 세상 속에서 살아가는 일반 사람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가까이 하느님의 현존과 영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도록 새로운 개념을 사용해서 제시했다. 첫째, 하느님과의 통교(communion)를 보여주는 ‘일치(unity)’, ‘관상’이라는 용어 대신 ‘친밀함’이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관상전통에서 보여준 그리스도와의 인격적인 관계, 하느님의 모상성, 은총의 선물을 ‘친밀함’이라는 개념으로 제시했다. 나우웬의 ‘친밀함’은 그의 개인적인 지향을 반영한다. 나우웬은 ‘친밀함’의 개념을 사용하여 1970년대 미국인들의 인격적 하느님에 대한 갈망과 영적 체험들을 통해 ‘친밀함’을 얻고자하는 영적 갈구를 수용하면서도 영적 상업주의나 영성화(spiritualization)로 흐르지 않고 자신의 깊은 자아와 이웃 안에서 하느님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왔다. 둘째, 관상전통에서 하느님 현존의 신비로 나아가는 과정을 정화-조명-일치와 같이 일련의 단계로 설명했던 것과 달리 ‘지속적인 움직임(constant movement)’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제시한다. 그는 현실에서 느끼고 체험하는 요소와 영적 지향점의 요소라는 양극점을 인식하는 것을 통해 영적 생활이 시작되고, 양극점 사이의 지속적인 움직임을 통해 참된 자아, 이웃, 하느님께 나아간다고 보았다. 이런 개념 사용은 그의 심리학적인 배경을 보여준다. 그는 이런 개념을 통해서 1960년대 이후 미국 사회의 유동성(fluidity)의 증가와 함께 내면적 느낌에 집중하고 자기 탐구를 하는 과정을 영적 생활과 연결시켜 제시하고자 했다. 셋째 나우웬은 관상전통에서 정화의 과정에서 주로 사용하던 ‘비움(emptiness)’, ‘초탈(detachment)’과 같은 용어 대신 ‘공간의 창출과 발견’이라는 개념을 사용해서 영적 훈련을 설명했다. 이는 현대인들이 존재의 근원을 상실한 상황이 ‘집잃음(homelessness)’으로 묘사하고 현대인들의 뿌리를 회복하고자 하는 영적 갈구가 거룩한 장소에 대한 갈망으로 드러난 것과 관련된다. 특히 미국사회의 영적 추구가 늘 거룩한 공간에 대한 갈구와 연결되어 있었다. 이 개념들을 통해 영적 훈련을 통해 진정한 집을 찾을 수 있는 길을 보여주고자 했다. 나우웬은 상상력을 활용하여 성경의 장면이나 이야기 안으로 들어가는 이냐시오식 관상기도의 과정을 예술 작품 혹은 한 인물의 서사구조(narrative)에도 확장 적용시켰다. 나우웬은 성화나 그림에 담긴 이미지를 활용하여 스토리텔링을 만들고 그 과정에서 자신이 체험했던 하느님의 신비를 독자들도 함께 느낄 수 있도록 도왔다. 자신이 함께 생활했던 한 인물의 인생의 이야기를 예수님의 생애의 이야기와 연결시키고 그 스토리텔링 안에서 그가 체험했던 숨은 영적의미를 드러내 보여줌으로써 독자들도 이웃의 삶을 관상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도왔다. 그가 상상력을 활용한 관상기도를 확장 적용한 배경은 이미지가 주는 당대의 영향력 때문이었다. 또 그는 스토리텔링이 표현적 개인주의 시대의 영적 추구방식으로 적합하다고 보았다. 나우웬은 관상전통에서 하느님의 현존 안에서 향유하는 기쁨을 보여주는 엑스터시(ecstasy, ecstasis)를 정적인 상태가 아닌 능동적이고 공동체적인 차원의 변화와 움직임으로 개념을 확장 적용하고 더 나아가 지구적 엑스터시(global ecstasy)로 확장했다. 지루한 일상과 뿌리없는(rootlessness) 삶을 인위적인 영적 엑스터시를 맛봄으로써 채우려고 했던 당대의 영적 갈망을 수용하면서도 인간 안에 자리한 신적인 뿌리를 회복하고 이웃, 특히 약한 이들과의 공동체적인 삶을 추구할 때 주어지는 참된 기쁨을 보여주고자 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교회를 신비를 드러내는 성사적 공동체로 정의하고, 그리스도의 모상성에 기반하여 이를 세상의 성사성과 인간 공동체의 실현으로 확장시켰다. 엑스터시를 참다운 인간성을 구현하고 국제적인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때 주어지는 기쁨으로 확장한 것은 이런 공의회 정신이 반영되어 있다. 본 연구는 세속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나우웬의 영성에 보여주었던 이례적인 호응의 이유를 역사 맥락적인 접근을 통해 살핌으로써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자 했다. 그리스도교 역사 안에서 소중한 축적적 전통(cumulative tradition)으로 초월적 실재를 보여주는 창문(a window)의 역할을 했던 관상전통은 여전히 영적인 삶을 갈망하고 추구하는 세속 시대의 현대인들에게 살아있는 전통으로 제시되는 하나의 사례로서 시사점을 갖고 있다.
more초록/요약
Henri Nouwen(1932-1996) was a pastoral psychologist, Christian spirituality scholar, spiritual writer and social activist as well as a spiritual guide who wrote about forty writings, giving guidelines to a spiritual life. In a modern world where, some say, religion may decline and be reduced to a private area, his works received an exceptionally high recognition and translated in several languages including Korean. He was recognized as an influential spiritual writer not only among Catholics but also Protestants. The precedent studies on such appreciation about his work take a pastoral psychological perspective,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or spiritual theological perspective. By taking a historical-contextual approach, this dissertation tries to find the reasons from the historical context of his spiritual work, his reinterpretation of the Christian contemplative tradition and its reapplication. It intends to contribute in three areas. First, it clarifi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his spiritual work. His spiritual work, especially his interest in and reinterpretation of the Christian contemplative tradi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religious condition of the secular age, the flow of spiritual movements of the US and the changes in the Catholic church. Second, it reveals that Nouwen's spiritual work is rooted in the Christian contemplative tradition. It also shows that the themes of his spiritual life are closely affected by the contemplative theory of Thomas Merton. Third, it reveals that while embracing the Christian contemplative tradition, Nouwen reinterpreted and reapplied it to fit into the spiritual demand of the contemporary people. This dissertation studies and understands Nouwen's new spiritual work through its historical context. To begin with, there are religious conditions of the secular age behind his interests and reinterpretation. In the modern age, life became reduced within the immanent frame and the faith became optional, opening the secular age. Still, people lived under 'cross-pressured' and there existed 'the demand for authenticity' even amid the feeling of disconnection and falling apart after disenchantment. From the late 1960s, strong aspiration toward spiritual pursuing led to unprecedented interests in diverse spiritualities and spiritual movements in American society. Against this backdrop, strong religious demand from the secular age and the changing spiritual demand in the US, Nouwen wanted to suggest spiritual alternatives using the contemplative tradition. In addition, Nouwen tried to materialize the vision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such as Divine revelation, mystical sacraments, and the pastoral opening to the world in his spiritual work which showed the contemplative tradition in a new way. In his writings, Nouwen mentioned that he was deeply affected by Thomas Merton. Some include his understanding on contemplation in the spiritual life, God's presence through His absence, God's image, silence and solitude, Hesychasm, prayer of heart, poverty of mind and poverty of spirit, the paradox of prayer and inner solidarity with neighbors that show his close connection with the contemplative theory of Merton. However despite this continuity, there exist differences among what they emphasized. Merton put his destination on the contemplative life where he discovered the real self-identity amid the mass culture and the flow of secularization. He especially focused on the reform of Monasticism. On the other hand, Nouwen tried to show the direction to the people with spiritual yearning emerging from the 1960s to help them find God's presence in a daily life and especially in weak people. While accepting Merton's contemplative theory, he suggested new concepts to help ordinary people find God's presence and spiritual meanings in their daily lives, trying to overcome the contemporary understanding that contemplation belonged to only a small selected people and it was their way of life. First, instead of 'union' or 'contemplation' to show the communion with God, he chose 'intimacy'. He explained the personal relationship with Christ, God's image, the gift of grace using the concept of 'intimacy'. It' reflects his personal longing for intimacy. Using the concept, he accepted people's aspiration toward personal encounter with God or the spiritual thirst to get 'intimacy' through spiritual experiences in the 1970s. At the same time, he helped people to discover God in their innermost self and the neighbors rather than falling into spiritual commercialism or spiritualization. Second, instead of adopting the linear explanation of purification-illumination-unity, he chose 'constant movement'. He believed that through feeling the two poles in the real life, people can really start their spiritual life and they can go into the true self, the true neighbor, and God. Such concept shows his psychological background. Through such concept he discerned to feel inner self and investigate oneself, which was connected with the increased fluidity and feelings. Third, Nouwen used 'the creation and discovery of space' to explain spiritual disciplines rather than 'emptiness' or 'detachment', the traditional terms of contemplative tradition. Modern people was said to have lost a home, their basis of existence and especially American people's spirituality was related to searching for sacred space. Nouwen wanted to show them they could find the true home through spiritual exercises based on this concept. Nouwen applied the process of Ignatus's contemplative prayer that makes people enter the scenes and stories of the Bible using imagination to the narratives of a person or works of art. Nouwen made storytelling using the images in the icon and paintings and helped the readers feel the mystery of God he had experienced. He matched a person's life story with that of Jesus, revealing the hidden spiritual meaning of the person's life so that readers could contemplate the life of their neighbors. He chose images because of its enormous influence. He also believed that storytelling is proper in the spiritual pursuing process in this expressive individualism. Nouwen expanded the meaning of ecstasy which he explained meant the spiritual joy coming from God's presence in life saying ecstasy is not a static state but active and communal changes and movements. He even mentioned global ecstasy. While embracing the current spiritual aspiration which tried to fill their dull and rootless life with artificial spiritual ecstasy, he tried to show the true spiritual joy which is given when people restore their divine root in themselves and pursue a communal life with neighbors, especially with weak people. Vatican Council II defined the church as a sacramental community that reveals mystery and expanded its meaning to include the sacrament of the world and the realization of the human community. Nouwen's explanation to expand the meaning of ecstasy to include the realization of true humanity and the creation of the world community reflects the spirit of the council. This study intend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n why contemporary people were attracted to Nouwen's works by using a historical contextual approach. The contemplative tradition has played a role as a window to show transcendent reality as a precious cumulative tradition in Christian history and it still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as an example of living tradition to the modern people in the secular age who still aspire and pursue a spiritual lif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