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 연행의 신체화 과정 연구 : 동초제 <춘향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mbodiment Process of Pansori as a Composite Art
초록/요약
이 연구는 판소리의 구성요소인 언어·음악·동작적 표현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면서 의미를 만들어내는지, 그리고 그것을 판소리 향유자들이 어떻게 지각하여 미적 경험을 도출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판소리의 의미 생성과 향유의 전 과정에서 ‘신체화(embodiment)’가 주요한 인지 기제로 작동함을 밝혔다. 신체화란 용어는 넓게는 어떤 것들을 우리의 몸과 관련시키는 모든 행위를 뜻하고, 좁게는 마음(mind) 또는 인지가 환경-몸-뇌의 통합적인 활동 속에 있으며 행위로서 구현된다는 ‘신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ve)’를 뜻하기도 한다. 이 이론이 탐구하는 대상으로서의 신체화는 ‘신체화된 상태(the state of being embodied)와 신체화 행위(the act of embodying)’을 모두 포함한다. 신체화는 몸(body)과 마음(mind)의 이원론적 학문 전통에서 벗어나, 의미의 생산이나 이해의 전 과정에 우리의 몸이 중심적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주장하는 2세대 인지과학의 핵심 개념이다. 이 개념은 미학과 심리학, 인지언어학과 서사학 등 다양한 분과에서 활용되면서 연구에 진전을 안겨주고 있다. 언어적 의미의 개념화에 신체화가 어떻게 동원되는지를 탐구한 마크 존슨(Mark Johnson)과 조지 레이코프(George Lakoff)의 인지언어학 연구, 인간의 신체의 생리작용과 환경 간의 순환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프란시스코 바렐라(Francisco Varela), 에반 톰슨(Evan Thompson), 엘리노 노쉬(Eleanor Rosch)의 ‘발제적 인지(enactive cognistion)’ 이론, 마지막으로 공연의 의미란 육체적으로만 표출되며 육체에 의해서만 의식되는 느낌과 감정임을 강조한 에리카 피셔-리히테(Erika Fischer-Lichte)의 퍼포먼스 이론 등을 그 사례로 들 수 있다. 의미의 생산이나 이해의 핵심에 몸이, 정확히는 ‘신체화’라는 인지 기제가 있다고 보는 일련의 학문적 성과는 종합예술로서의 판소리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관점을 판소리에 적용해 볼 때, 우리는 더 이상 판소리의 의미가 언어로서만 구현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음악이나 동작과 같은 몸의 표현과 그로부터 전달되는 느낌과 정서를 통해 ‘신체화’된다는 것을 살펴볼 수가 있다. 신체화라는 개념을 통해 우리는 판소리 향유와 창작의 원리에 대한 일관된 설명을 시도해볼 수 있다. 판소리의 신체화, 즉 판소리의 의미가 몸을 통해 이해되는 동시에 몸이 의미를 창출하는 순환적 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다음의 순서로 논의를 진행했다. 이 글의 II장에서는 2세대 인지과학의 중심 테마인 신체화라는 개념이 무엇인지 정리한 다음, 판소리 연행의 어떤 국면에 신체화가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설명해보았다. 구체적으로 판소리 플롯의 주제적 의미를 개념화하고 확장하는 원리로서 사용되고 있는 개념적 은유(Conceptual Metaphor)와, 그러한 주제적 의미를 연행층위에서 심화·확장 시키는 원리로서의 영상도식(image schemata), 또 판소리 연행의 의미작용에 중요한 기여를 하지만 플롯 밖의 것과 관련된 몸-환경의 상호작용과 관련된 신체화 국면들로 층위를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신체화가 판소리에서 어떤 기능을 하고 어떤 미학적 의의를 도출할 수 있는지를 간략하게 정리하면서 III장의 논의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III장에서는 II장에서 논의된 연구 방법론에 따라 동초 김연수가 개작한 <춘향가> 창본과 동초제 춘향가 공연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동초 김연수의 판소리, 즉 ‘동초제’는 사설 층위에서 작중인물의 신체적 행위와 신체 표현이 강조되며, 연행 차원에서도 너름새(판소리 몸 동작)를 풍부하게 활용하기 때문에 ‘신체화’라는 테마를 중심으로 한 연구에 적합하다. 동초제 <춘향가>를 분석할 때, 이 글은 크게 ‘인물’과 ‘시공간’ ‘정서’적 층위와 관련된 신체화 작용이라는 세 범주로 구분하고, 각각의 범주와 관련해 언어·음악·동작적 표현들이 어떻게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의미를 빚어내고 있는지 분석해보았다. 이때, 판소리 플롯층위의 의미화에 전환 또는 균열을 일으키는 연행 현장적 의미화 양상까지를 포괄하기 위해, 사건으로서 연행의 다양한 맥락과 연행 참가자들의 실존하는 몸에 관해서도 충분한 관심을 두고 텍스트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신체화는 판소리의 독자와 청중들의 공감반응을 극대화하는 전략으로서 기능하며, 판소리의 의미 확장의 기제로 기능한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 신체화라는 인지기제를 통해 향유자들은 판소리의 비언어적 표현요소(음악과 동작)를 ‘이야기처럼(storylike)’ 인지하고, 또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사유가 아닌 일상적 경험을 중심으로 판소리의 의미를 개념화한다는 점에서 신체화는 판소리라는 예술 장르에 현실주의적 사유가 틈입할 수 있는 바탕이 되어주었다. 신체화된 인지 이론을 기반으로 한 판소리 연구가 고무적인 이유는, 지각과 운동이라는 신체적 능력이 예술의 상징적 상호작용과 표현의 모든 측면에서 중심적 역할을 수행함을 확인해주는 방식 때문이다. 신체화는 판소리의 의미가 어디에서 오며, 의미가 어떻게 자랄 수 있는지를 우리에게 보여준다. 이러한 신체화 개념을 통해 판소리의 의미작용을 분석하게 되면, 언어적·음악적·동작적 표현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서사적 의미가 어떻게 입체화되며, 또 그것이 연행 환경과 결부된 가운데 어떻게 의미의 균열과 전환이 일어나는지를 설득력 있게 해명해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그동안 서로 배타적으로 진행되어 왔던 판소리의 문학적 연구와 공연학적 연구 간의 거리를 좁히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more초록/요약
This research analyzes how expressions of language, music, gestures – which are the components of Pansori – interacts in generating meaning, and how cultural consumers of Pansori interpret this in order to draw out their aesthetic experience. This study also clarifies that the notion of ‘embodiment’ operates as a major cognitive mechanism in the process of the generation of meaning in Pansori and its cultural consumption. In the wide aspect, the term ‘embodiment’ suggests every action that relates certain things with our body, while in the narrower aspect it implies the notion of the ‘embodied cognitive’: where the mind, or cognition exists within the integrated activities of the environment, body and the brain, which is then implemented through action. The idea of embodiment, which is the subject of exploration of this theory, includes both ‘the state of being embodied’ as well as ‘the act of embodying’. Embodiment is a key concept of second-generation cognitive science, which argues that embodiment derives from the dualistic academic tradition of the body and the mind and that our body plays a central role in the whole process of the generation or understanding of meaning. This concept is being utilized in various areas of studies including aesthetics, psychology, cognitive language studies, narratology and many more, thereby giving progress to researches. From the aspect of the academic tradition related to embodiment, this research – which explores the process of embodiment in a composite art called Pansori – is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sections of studies: Mark Johnson and George Lakoff’s cognitive language studies, which explores how embodiment is employed in the conceptualization of linguistic meaning; Francisco Varela’s studies, which emphasizes the cyclical interactions between the human body’s physiology and environment; Evan Thompson and Eleanor Rosch’s ‘enactive cognition’ theory; and finally Erika Fischer-Lichte’s performance theory, which emphasizes that the meaning of performance is only expressed physically and that it is a feeling and emotion that only becomes conscious through the body. A series of academic achievements which depicts that the body – or to be more specific, a cognitive mechanism called ‘embodiment’ – is central to the generation or understanding of meaning,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on the studies of Pansori as a composite art. By applying such perspectives to Pansori, we can witness how the meaning of Pansori is no longer delivered only through language, but that it is in fact ‘embodied’ through what is delivered in music or bodily expressions, such as gestures. Through the concept of embodiment, we can attempt to provide a consistent explanation of the cultural consumption of Pansori and the principles of creation. In order to examine how the embodiment of Pansori – that is, the cyclical process of the meaning of Pansori being understood through the body, while at the same time generating meaning through the body – is specifically achieved, the discussion proceeds in the following order. In the Second Chapter of this thesis, after outlining the concept of embodiment, which is the central theme in second-generation cognitive science, I explained how embodiment is involved with certain phases of performance in Pansori. I have specifically explored conceptual metaphor, which is used as a principal in conceptualizing and expanding the thematic meaning of the plot in Pansori; image schemata which is a principle in intensifying and expanding these thematic meaning in the layers of performance; and that layers were divided into aspects of embodiment related to the interaction of the body-environment, which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the generation of meaning in the performance of Pansori, although it is related to things outside of the plot. Thus, by outlining how embodiment functions and what aesthetic significance is derived from Pansori, I provided a basis for the argument in Chapter Three. In the third Chapter, I thoroughly analyzed Dongcho Kim Yeonsu’s adaptation of <Chunhyang-ga> and the Dongchoje Chunhyang-ga performance based on the research methodology referred to in the second chapter. ‘Dongchoje’, Dongcho Kim Yeonsu’s Pansori, emphasizes the characters’ physical behavior and expressions, and in the perspective of performance, it also fully utilizes bodily movements within Pansori, therefore making it suitable as research central to the theme of ‘embodiment’. While examining the analysis of Donchoje’s <Chunhyang-ga>, this thesis widely divides embodiment effects into aspects of ‘individuals’, ‘time and space’, and ‘sentiment’. It also analyzes how expressions of language, musical, gestures relate to each of these aspects, therefore interacting dynamically with one another to generate meaning. In order to embrace the transition of the indication of the plot in Pansori or the site-indication conditions of performance which creates gaps, a textual analysis was performed by paying full attention to the contexts of the performance as a single event and the existing bodies of its participants. As a result, it could be witnessed that embodiment functions as a strategy in maximizing the emotional reactions of both readers and audience of Pansori, and that it also functions as a mechanism for expansion of meaning in Pansori. In addition, cultural consumers of Pansori can perceive nonverbal expressive components (such as music and movements) as ‘story like’ through embodiment, which is a cognitive mechanism. Furthermore, the fact that it conceptualizes the meaning of Pansori centrally on daily experiences rather than on abstract and ideological reasons, embodiment has become a basis allowing realistic reasons to enter Pansori, which is a genre of art. The reason why Pansori research based on embodied cognitive theory has been encouraging, is because of the ways it confirms that the physical abilities of perception and exercise play a central role in every aspect of the symbolic interactions and expressions of arts. Embodiment shows where the meaning of Pansori comes from, and the potential it has. By analyzing the effect of meaning in Pansori through such concepts of embodiment, we can provide a persuasive explanation of how expressive features such as linguistic, musical, gestures help to build dimension on its narrative meaning while interacting with one another, and also how it causes gaps and transitions in meaning while being combined with the environment of the practice of performance. From this perspective, it is expect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literary and performing studies of Pansori, which had been exclusively conducted thus far, can be narrow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