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신문연재소설과 줄거리 텍스트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lot Summary Texts on Reading Newspaper Serial Novles.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 newspaper serial novel by using 'the plot summary text' and to present a study method for approaching a newspaper serial novel. In many genres with a serialized format, such as newspaper serial novels, soap operas, and comics, a summary of 'The story so far' is often presented. In particular, the plot summary texts are found intensively in newspaper serial novels during the period of modern literature formation in Korea. Before discussing this text, this paper will refer to it as 'the plot summary text.' To date, the plot summary text is considered a convenient device for reading a novel and has not been properly handled within the field of literary research. Newspaper serial novels in modern Korean society were influential pieces of writing that encompassed the masses and enlightened intellectuals.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value of newspaper serial novels in literary research. However, the misconception that the content of the plot summary text would be the same as that of the novel caused the literature study to turn a blind eye toward it. In general, the plot summary text is viewed as a potential story. In addition, there is a tendency to view that the narrative discourse of newspaper serial novels as a series of events organized based on a chronological order. However, in fact, analyzing the plot text in the newspaper does not fall into sequential timing. There are also cases where the content of newspaper serial novels is changed according to the narration strategy. In light of thi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ot summary text that are distinguishable from the characteristics of newspaper serial novels. There is also a need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ot summary text and newspaper serial novels. Based on these questions, this paper fully discusses the functions and roles of plot summary text and inspects the following in the newspaper serial novels using plot summary text: (1) First,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the plot summary text in the period when modern novels were formed. Through this, the nar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lot summary text and the newspaper serial novels are analyzed to understand how the plot text functions. (2) Next, it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newspaper serial novels are summarized as the plot summary text, and analyzes the meaning of intention and judgment of each. Through this, we are able to analyze how newspaper serial novels are related to reality and ideology. All of these discussions were based on narratology. This paper attempts a comprehensive analysis, including not only an analysis of the narration and the narrative discourse of the novel, but also production issues such as the way the novel was serialized. Plot summary texts were first written in the newspapers of the period when modern novels were penned. Early plot summary texts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narrative features of Classical Novels and reveal repetitive features widely found in narratives in general. However, in the case of plot summary texts, it is prominent that the repetition of such narrative is presented outside the text. This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fact that the newspaper summarizes information on divided pages and the way in which theater or film introduced narratives in advance at the foundation of modern literature formation. Likewise, the plot summary texts developed while exchanging influences with other media are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modern readers. This is understood by analyzing the descriptive features of the initial plot summary texts. What can be understood from the analysis of “Jang-han-mong” and “Hae-Wang-Seong”, published in “Mailsinbo” in the 1910s, shows that there was a distinct difference in the narration characteristics of newspaper serial novels and plot summary texts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In the case of newspaper serial novels, the plot summary text tends to use traditional narrations while strengthening modern narrations . The plot summary text, which constitutes the introduction of a narrative from a character's past or uses colloquial style, differs from the modern narration styles of newspaper serial novels. As a result of discussing these aspects, it can be seen that the intention is to draw traditional readers familiar with the traditional narration method into the modern style newspaper serial novels. The duality of the writing of newspaper serial novels and plot summary texts allows modern readers to understand how the process has reached the point of modern novels and in turn, to enjoy them. As such, this paper has confirmed that plot summary text can contribute to the study of modern literature by focusing on the function and role of plot summary text. This paper discusses newspaper serial novels by extending them into the process of analytical works. This paper discusses narrative cracking and its meaning by analyzing newspaper serial novels using their plot summary texts. In this way, it reveals how the writing of colonial reality was able to endure and respond to oppression. Also, Park Tae-won's “Woo-Maeng”, Yi Sang-Hyeop’s “Hae-Wang-Seong”, and Kim Mal-Bong's “Millim” focused on what was omitted and summarized when the narrative was repeated. Each novel omits details that reveal the East Asian situation or colonial resistance plundered by imperialism. This is read as a trace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the oppression of colonial reality. As such,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writing, it is possible to grasp the meaning of each work more comprehensively. It also analyzed what biased intentions the plot summary text reveals when repeating the narratives of newspaper serial novels. Through this, we discussed how ideology affects narrative and text. The discussions focused on Jo Jung-hwan’s “Jang-han-mong”, Lee Gwang-su's “The Lifetime of this Woman” and Kim Dong-ni's “Liberation”. As a result, the plot summary text was understood as a narrative discourse constructed with special intentions, rather than a reduction of the narratives of newspaper serial novels into the same composition. In each work, the omission in the process of rewriting the plot summary text made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narrative. This allowed them to understand the traces of exclusion and biased narrations of ideology, gender, and sexuality. In addition, the intention of the novelist and the meaning contained within each piece of writing could be confirmed. In this way, this paper first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plot summary text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 within the period of the formation of modern literature, and compares the plot summary text with newspaper serial novels of various authors. The method of studying newspaper serial novels using plot summary texts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and the creative process than when studying a single newspaper serial novels. The plot summary texts created along with the newspaper serial novels reveal a lot about the context of their creation.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narratives requires an interpretation of the reasons for such differences. The discussions in this paper were carried out through a careful review of the repetition of the narrative and the summary of the process. This summary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plot summary text in newspaper serial novels. This is related to the problem of public readers as well as simply compressing information in newspapers. Old religious books were passed on to the public through a summary process. In the period when modern Korean literature was first penned, Western novels and movies were widely read as summaries. In modern times, videos are summarized in new media such as YouTube. Considering these things, we can see that the problem of summarization has been associated with the public for a very long time. This distribution suggests that summary has been closely associated with public readers for a very long time. Since summaries have long been an important issue for public readers who are unable to read long texts for a long time due to outside forces, it is inevitable that the summarization and the essence of the inevitability are relevant. While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ook place at the same time, summarizing narratives and reading summarized narratives is still important to humans, and this has become even more important due to the acceleration of time. Along with the shorter working hours and in the expansion of leisure time, modern society wants the narrative form that provides the shortest and the greatest pleasure through the embodied economic belief of efficiency. Future studies should understand these trends and their limitations, and at the same time, discuss the nature and meaning of plot summary texts in serial forms such as magazines, comics, and dramas, as well as newspaper serial novels. This will allow us to explore more broadly what the theme of summary and narrative repetition means in human thinking that enjoys culture.

more

초록/요약

이 논문의 목적은 ‘줄거리 텍스트’를 활용하여 신문연재소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신문연재소설을 연구하는 한 방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신문연재소설, TV드라마, 만화에 이르기까지 연재 형식을 사용하는 많은 장르에 ‘지난 이야기’ 혹은 ‘지금까지의 줄거리’라는 이름의 텍스트가 존재한다. 특히 줄거리 텍스트는 한국의 근대문학 형성기의 신문연재소설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기 시작하는데, 이러한 텍스트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하기에 앞서 이를 ‘줄거리 텍스트’로 명명하기를 제안한다. 그동안 줄거리 텍스트는 소설을 위한 하나의 편의적 장치이자, 모방물의 지위에 머물며 문학연구의 장 안에서 잊혀져왔다. 근대 한국 사회에서 신문연재소설은 대중과 계몽적인 지식인들을 아우르는 영향력 있는 하나의 글쓰기였으므로 이와 같은 신문연재소설의 가치를 문학연구에서 평가절하 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신문연재소설의 한 부분을 이루고 있는 줄거리 텍스트는 소설의 내용을 그대로 따를 것이라는 편견 아래 문학연구의 맹점이 되어왔다. 일반적으로 줄거리 텍스트는 잠재적인 ‘스토리’로 보거나, 연재소설의 서사담화를 시간의 순서에 따라 정리한 것으로 보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 신문지면에 게재된 줄거리 텍스트의 양상을 살펴보면, 시간의 흐름을 꼭 따르지 않는 것도 있으며, 서술전략에 따라 신문연재소설의 내용을 바꾸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할 때 신문연재소설의 특성과 구분되는 줄거리 텍스트의 특성에 대한 연구와 함께, 줄거리 텍스트와 신문연재소설이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논의할 필요성이 생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제기를 바탕으로 줄거리 텍스트의 기능과 역할을 온전히 이해하고 줄거리 텍스트를 활용한 신문연재소설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논의를 진행하였다. (1)근대소설 형성기 안에서 줄거리 텍스트의 전개 양상을 논의하고, 이를 통해 신문연재소설과 ‘줄거리 텍스트’의 서술적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근대문학 형성기에 줄거리 텍스트가 어떤 고유한 기능을 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2)신문연재소설이 줄거리 텍스트로 요약되는 과정에 주목하여 각각 그 안에 담긴 의도와 판단의 의미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신문연재소설이 현실과 이데올로기로부터 어떤 영향관계를 맺고 있는지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서사학적 관점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졌으며, 연재소설의 서술 및 서사담화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소설이 연재되는 방식과 같은 제작의 문제를 포함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줄거리 텍스트는 근대소설 형성기의 신문지면 상에서 본격적으로 발견되기 시작한다. 초기의 줄거리 텍스트는 고소설의 서술적 특징과 유사한 성격을 갖기도 하며, 서사 일반에서 널리 발견되는 반복적 특징을 드러내고 있다. 다만 줄거리 텍스트의 경우에는 그러한 서사의 반복이 텍스트 외적으로 형식을 갖추어 제시된다는 점에서 두드러지는데, 이는 신문이 지면을 분할하여 요약적으로 정보를 서술하는 것과 근대문학형성기의 연극이나 영화가 도입부에서 서사를 사전에 소개하던 방식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다른 매체와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전개되어온 줄거리 텍스트는 근대독자의 형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기도 한다. 이는 초기 줄거리 텍스트의 서술적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이해된다. 1910년대 󰡔매일신보󰡕에 연재된 「장한몽」, 「해왕성」 등의 신문연재소설과 줄거리 텍스트의 비교분석을 통해 드러나는 것은 상당기간 두 형식의 서술적 특징에 두드러진 차이가 존재했다는 것이다. 신문연재소설의 경우 근대적 서술방식이 강화되던 시기에 줄거리 텍스트는 오히려 전통적인 서술방식을 사용하는 양상을 보인다. 한 인물의 과거로부터 이야기의 도입부를 구성하거나 구어체적 서술을 사용하는 줄거리 텍스트는 신문연재소설의 근대적 서술방식과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양상에 대해 논의한 결과 구어체 중심의 전통적 서술방식에 익숙한 전통독자를 보다 원활하게 근대적 형식의 신문연재소설로 끌어들이려는 의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신문연재소설과 줄거리 텍스트가 보여주는 이중의 글쓰기는 근대독자가 어떠한 전개과정을 통해 근대소설을 향유하는 위치에 도달할 수 있었는지 이해하게 한다. 이처럼 본고는 줄거리 텍스트의 기능과 역할에 주목함으로써 근대문학 형성기 연구에 줄거리 텍스트가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했는데, 이를 작품 분석의 과정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신문연재소설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먼저 줄거리 텍스트를 활용하여 신문연재소설을 분석함으로써 서사의 균열과 그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식민지 현실 안에서 글쓰기를 한다는 것이 어떻게 억압을 견디고 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밝혔다. 박태원의 「우맹」, 이상협의 「해왕성」, 김말봉의 「밀림」을 중심으로, 서사가 반복될 때 어떤 부분들이 생략 및 요약되며 변화되는지 주목했다. 각 작품에 따라 식민지현실 안에서 제국주의에 수탈당하는 동아시아 정세나 피식민지인의 저항을 드러내는 부분들이 생략되었다. 이는 식민지 현실의 억압을 내면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하나의 흔적으로 읽히며, 이러한 흔적으로서 글쓰기를 이해할 때 각 작품이 갖는 의미를 보다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줄거리 텍스트가 신문연재소설의 서사를 반복할 때 어떤 편향된 의도를 드러내는지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이데올로기가 서사와 텍스트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논의하였다. 조중환의 「장한몽」, 이광수의 「그 여자의 일생」, 김동리의 「해방」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한 결과, 줄거리 텍스트는 신문연재소설의 서사를 동일한 구성으로 축소시켜놓은 것이기보다는 특수한 의도 하에 구성된 서사담화로 이해되었다. 각 작품에 따라 줄거리 텍스트로 재서술되는 과정에서 생략된 사건이나 서사의 부분으로 인해 내용에 차이가 존재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이념에 대한 판단이나 젠더, 섹슈얼리티와 관련된 배제의 흔적과 편향된 서술방식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그 안에 담긴 작가의 의식과 작품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본고는 먼저 근대문학 형성기에 줄거리 텍스트의 특성과 전개과정을 매체 사이의 관계를 통해 규명하고, 여러 작가들의 신문연재소설과 줄거리 텍스트를 비교 분석했다. 줄거리 텍스트를 활용하여 신문연재소설을 연구하는 방식은 단일한 연구대상으로 신문연재소설을 연구했을 때보다 더 풍부한 서사외적인 맥락과 함께 창작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신문연재소설과 같은 시기에 창작된 줄거리 텍스트는 창작과 관련된 상황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려주며, 서로 다른 두 서사의 차이는 그러한 차이가 생기게 된 이유에 대한 해석지점을 열어주었다. 본고에서 진행한 논의들은 서사의 반복과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요약의 세부사항을 면밀히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런데 이러한 요약의 문제는 신문연재소설이라는 장르 안에서 줄거리 텍스트가 발전해온 것과 긴밀한 관계를 맺는다. 이는 서사와 정보를 집약하여 지면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문제뿐만 아니라 대중독자의 문제와 관련이 있다. 오래된 종교 서적들이 요약의 과정을 거쳐 대중들에게 전파되는 것이나 근대문학 형성기에 서양의 소설과 영화가 요약본으로 유통된 것, 또한 유튜브와 넷플릭스와 같은 새로운 매체 환경에서 요약된 영상이 공급되는 것들을 두고 볼 때, 요약의 문제가 대중독자와 매우 오랫동안 관계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노동으로 인해 긴 글을 읽는 데에 제약이 많던 대중들에게 요약은 오랫동안 중요한 문제였기 때문에, 요약을 한다는 것, 핵심을 담는다는 것은 필연적으로 대중과 관련될 수밖에 없다. 근대화와 동시에 산업화가 이루어졌지만 서사를 요약하고 요약된 서사를 읽는다는 것은 여전히 인간에게 중요한 행위이며, 오히려 이 점은 시간의 가속화로 인해 더 중요해지기까지 했다. 노동시간의 단축과 여가의 확대 속에서도 효율이라는 체화된 경제적 신념은 가장 짧으면서도 가장 크게 즐거움을 제공하는 서사적 형식을 원하도록 한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과 그 한계를 이해하면서 동시에 신문연재소설 뿐만 아니라 잡지와 만화, 드라마와 같이 연속된 형식으로 서사를 제공하는 매체와 장르 안에서 줄거리 텍스트의 전개 과정을 논의한다면 문화를 향유하는 인간의 사유체계 안에서 요약과 서사의 반복이라는 주제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 보다 폭넓게 탐구할 수 있을 것이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