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자비 글쓰기 프로그램이 사회불안을 지닌 대학생의 자기비난, 자기개념명확성, 사회비교경향성 및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compassion Writing Program for Undergraduate Students with Social anxiety on their Self-criticism, Self-concept clarity, Social comparison, and Social anxiety
- 주제(키워드) 자기자비 , 사회불안 , 자기비난 , 자기개념명확성 , 사회비교경향성 , Self-compassion , Social anxiety , Self-criticism , Self-concept clarity , Social comparis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향숙
- 발행년도 2020
- 학위수여년월 2020.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UCI I804:11029-00000006512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자기자비 글쓰기 프로그램이 사회불안을 지닌 대학생들의 심리증상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고, 사회불안 감소에 기여하는 기제를 자기개념을 중심으로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자기개념의 내용, 구조, 및 과정에 해당되는 자기비난과 자기개념명확성, 사회비교경향성의 변화를 중심으로 자기자비 글쓰기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5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 중 사회불안을 경험하고 후속 연구에 동의한 참가자를 처치집단에 22명, 대기자통제집단에 20명으로 무선적으로 할당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자기자비 글쓰기 프로그램은 자기자비의 하위요인인 자기친절, 마음챙김, 인간적보편성을 촉진하는 지시문으로 구성하였다. 처치집단에는 사전면담 및 사전검사 이후 6일간 1일 1회, 약 15분~20분씩 자기자비 글쓰기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처치 직후에는 사후검사를, 2주 후에는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처치집단과 같은 시기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어떠한 처치 없이 1주가 지난 후 사후검사를, 2주 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처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자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고, 사회불안 증상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다음으로 치료기제로 설정한 자기개념을 분석한 결과, 자기비난의 경우 처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비난이 유의미하게 감소한 반면, 자기개념명확성과 사회비교경향성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프로그램 종료 2주 뒤 추후 측정 결과 참가자들의 자기자비, 사회불안, 자기비난의 개선효과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함의 및 한계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elf-compassion writing program on social anxiety symptoms of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changes in the content, structure, and process of self-concept were examined focusing on self-criticism, self- concept clarity, and social comparison, respectively, as a mechanism of anxiety reduc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536 undergraduate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Seoul. Forty-two students who reported social anxiety and also agreed to participate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reatment group(n=22) and the wait-list control group(n=20). The writing program consisted of instructions to promote self-kindness, mindfulness, and common humanity, which are sub-factors of self-compassion. The treatment group performed a self-compassion writing program once a day for six days for about 15 minutes to 20 minutes. The treatment group conducted pre-assessment, post-assessment after treatment, and further assessment after two weeks. The control group conducted a pre-assessment at the same time as the treatment group, followed by a post-assessment one week later, and a subsequent assessment two weeks later without any treatment. As a result, the treatment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self-compassion an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ymptoms of social anxie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so, the treatment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its self-criticism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comparis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wo week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the result showed that participants' self-compassion, social anxiety, and self-criticism were maintained.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