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청년‧청춘영화의 감정구조 연구 : 청년‧청춘영화와 한국 사회의 변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ucture of Feeling of Korean Youth‧Youth-culture Film : Focusing on Korean Youth‧Youth-culture Film and Changes in Korean Society
- 주제(키워드) 청춘영화 , 청년영화 , 청년세대 , 감정구조 , 한국 청년‧청춘영화 역사 , youth film , youth-culture film , youth generation , structure of feeling , korean youth film histor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원용진
- 발행년도 2020
- 학위수여년월 2020.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연극영화
- UCI I804:11029-00000006504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한국 청년‧청춘영화 속 청년들은 시대별 정치적‧사회적 구조의 변화 안에서 기성세대를 향한 격렬한 투쟁을 통해 자신들의 존재를 드러내왔다. 각 시대 청년세대의 문화와 집단 정체성, 그리고 청년 개인의 의식 변화와 그에 따른 행동패턴 등이 한국 청년‧청춘영화에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 본 연구는 과거의 청년세대를 대표하는 특정시기의 한국 청년‧청춘영화를 통해 그들이 겪어온 한국 사회의 변화 양상과 그들의 ‘감정구조’를 살펴보려 한다. 해방 이후 세대인 60년대부터 유신정권기인 70년대와 군사정권기인 80년대까지의 ‘정치성’을 띤 청년‧청춘영화들에서는 억압과 모순의 한국사회에 맞선 주인공을 통해 청년세대가 가진 ‘계층상승 욕구’, ‘저항’, ‘탈주’와 ‘좌절’, ‘분노’, ‘폭로’ 등의 감정을 재현한다. 민주정권으로의 전환을 맞이한 90년대에는 대부분의 청년‧청춘영화가 멜로드라마적 서사의 논리로 욕망이 단순화된 ‘관습적인 청년’을 소재로 다룬다. 대신 청소년세대의 신세대문화를 다룬 영화에서 ‘자유로움’, ‘탈규격화’, ‘개성’, ‘자기주장’ 등의 긍정적인 특성과 동시에 ‘파격’, ‘일탈’ 등의 부정적인 특성이 동시에 발견된다. 기성세대가 헤게모니를 완전히 장악하게 된 2000년대 청년‧청춘영화에서는 한마디로 정의내리기 어려운 ‘모호함’과 ‘신비로움’의 이미지를 가진 청년들이 등장하면서, 동시대의 청년세대가 가진 ‘막막함’, ‘무력감’과 ‘순응주의’, ‘우울’ 등의 감정구조를 재현한다. 2010년대 청년‧청춘영화 속 청년들에게는 내재된 현실 속 ‘순응’적인 태도에서도 ‘즐거움’, ‘재미’, ‘만족감’의 감정구조가 보인다. 그리고 이들에게는 이전 청년세대에게는 없었던 불합리한 현실에서 ‘안정감’을 갖게 해주고, ‘진정성’과 ‘존엄함’을 느끼게 해주는 자신의 ‘취향’이 반영된 ‘애착도구’가 있다. 과거 여러 상황 속에서 등장하였던 당대의 청년‧청춘영화 속에서 나타나는 ‘청년’의 감정구조를 통해 ‘청년세대’를 시기상 분절을 통한 단순한 세대별 비교가 아니라, 유기성을 가진 존재들로 바라보면서, 쉽게 눈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감정구조의 변화를 한국 청년‧청춘영화를 통해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more초록/요약
The younger generation in the youth‧youth-culture shown in Korea have revealed their existence by vigorously fighting against the older generation within the changing political and social structures of the ages. According to each generation, the youth‘s culture, group identity, personal consciousness change, and behavioral patterns are reflected in Korean youth‧youth-culture films.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Korean society and the younger generations ‘structure of feeling’ through the Korean youth‧youth-culture film at each particular era, representing the youth generation. From the 60’s after liberation to the 70’s during the Yushin regime and the 80’s during the military regime, youth‧youth-culture films showed ‘political’ aspects. And through the film‘s main characters facing the society of oppression and contradiction, they recreate the emotions of the youth, such as the ‘desire for hierarchies’, ‘resistance’, ‘breakout’, ‘frustration’, ‘anger’, and ‘revelation’. In the 90’s, when the transition from the democratic regime began, most youth‧youth-culture films dealt with the ‘customary youth’, whose desire was simplified based on the epic logic of the melodrama. However, in the film dealing with the new cultural generation of the teenagers society, the positive characteristics such as ‘freedom’, ‘de-standardization’, ‘individuality’, and ‘self-assertion’ were found simultaneously with the ‘disruptive', ‘deviant’ and ‘negative’ characteristics. In the 2000’s youth‧youth-culture film, where the older generation took full control of hegemony, younger generation with images of ‘ambiguity’ and ‘mystery were difficult to define. The younger generation of that era recreate the ‘structure of feeling’ they think of, such as ‘lonesome’, ‘powerlessness’, ‘compliance’, and ‘depression’. The ‘structure of feeling’ of ‘fun’, ‘joy’, and ‘satisfaction’ can be seen in the ‘accomplishment’ attitude toward the reality inherent in the younger generation in the 2010’s. And they have ‘Affection object’ that reflect the individual's ‘taste,’ which gives younger generation a sense of ‘stability’, ‘sincerity’, and ‘dignity’ in an unreasonable society that did not exist in previous generations. Through the ‘structure of feeling’ of the ‘youth’, which has emerged as the main character of the film in various situations in the past, they viewed the ‘younger generation’ as systematic beings, not just generational comparisons through timely segments. In the meantime, it is not easy to see in our eyes, but we will look at the changes in the ‘structure of feeling’ we are experiencing through Korean youth‧youth-culture in this research.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