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hinking Digestive Ontology and Narrative Theodicy in John Milton’s Paradise Lost
존 밀턴의 『실낙원』 속 소화결부적 존재론과 서사 신정론의 재고
- 주제(키워드) 일원론적 유물론 , 소화 , 존재론 , 가오성 , 악의 문제 , 신정론 , 서사 , 천사 , monist materialism , digestion , ontology , fallibility , problem of evil , theodicy , narrative , angel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태원
- 발행년도 2020
- 학위수여년월 2020.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영어영문학과
- UCI I804:11029-000000065034
- 본문언어 영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This thesis reconsiders the common critical consensus that John Milton was a monistic materialist. What underlies this consensus is the digestive ontological model presented by the archangel Raphael in Book V of Paradise Lost. I discuss the authority, applicability and function of Raphael’s digestive ontology with due consideration for the emphatic fallibility of Miltonic angels. Raphael’s digestive ontology—according to which every form of creation engages in digestion—relies on his authority alone and has no divine sanction. Details within the epic indicate that his digestive ontology fails to thoroughly account for the operations of the prelapsarian universe, particularly the prelapsarian human bodies. Furthermore, certain striking resemblances between Raphael’s digestive ontology and Satan’s discourse demand us to hold its function more suspect. This thesis argues that a closer scrutiny of Raphael’s role is mandated by the dissonances he creates in Paradise Lost. I conclude that Raphael’s digestive ontology and his unreliability as a narrator reveal a body of evidence that urges readers to find the fallible Raphael, not the infallible God, accountable for the Fall. The complexity of his epic project necessitates this maneuver by Milton. As a narrative theodicy, Paradise Lost has to tackle the epistemological crises the problem of evil causes, as well as the conflicting imperatives of narrative and theodicy. Therefore, the ultimate importance of Raphael’s digestive ontology is not determined by how much it proves that Milton was a monistic materialist but by how much it contributes to Milton’s poetic theodicy.
more초록/요약
본 논문은 존 밀턴을 일원론적 유물론자(monistic materialist)로 규정하는 일반적인 비평 합의에 대한 재고이다. 이 비평 합의는 대천사 라파엘이 『실낙원』 제 5권에서 제시하는 존재론에 근거하는데, 본 논문은 밀턴의 천사들이 가진 현저한 가오성(可誤性)을 숙고함으로써 라파엘이 설파하는 소화결부적 존재론(digestive ontology)의 권위, 적용성 및 기능을 논의한다. 모든 창조물이 소화과정에 참여한다는 주지의 이 소화결부적 존재론은 오로지 라파엘의 권위에 좌우되며, 나아가 신의 확증이 결여된 주장이다. 『실낙원』의 세부 묘사들은 소화결부적 존재론이 타락 이전 우주의 작동, 그 중 특히 인체의 작동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나타내고, 소화결부적 존재론과 사탄의 담론 사이에 명백한 유사성을 부여하여 라파엘의 주장을 의심의 대상으로 삼는다. 본 논문은 『실낙원』 의 라파엘이 야기하는 이러한 불협화음들이야말로 그의 역할을 더욱 면밀하게 연구해야 할 근거라고 주장한다. 라파엘의 소화결부적 존재론과 서술자로서의 비신뢰성(unreliability)은 독자로 하여금 인류 타락의 책임을 무오(無誤)한 신이 아닌 가오(可誤)한 라파엘에게 돌리도록 촉구하는 기제로 작용하는데, 이 기제는 밀턴의 서사시적 과제의 복잡성과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서사 신정론(神正論)인 『실낙원』은 악의 문제(problem of evil)가 일으키는 인식론적 난국 뿐만 아니라 서사와 신정론 사이에서 상충하는 조건들을 또한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라파엘의 소화결부적 존재론이 가진 궁극적인 중요성은 밀턴이 드러내는 일원론적 유물론자로서의 특징을 증명하는 정도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밀턴이 수립하는 서사 신정론에 기여하는 정도에 달려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