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재중 예수회 선교 보고서 “Traité sur quelques points de la religion des Chinois, 1768” 연구 : 니콜로 롱고바르도 신부와 어둠의 정화

Nicolò Longobardo S.J. and his Purification of Confucian Confusion:A Study on “Traité sur quelques points de la religion des Chinois, 1768"

초록/요약

Nicolò Longobardo S.J. and his Purification of Confucian Confusion - A Study on “Traité sur quelques points de la religion des Chinois, 1768” - Misun Iainne Kim Sogang Graduate School of Theology Sogang University Nicolò Longobardo’s official missionary report against the early modern East Asian Confucianism has been disqualified, disrespected and disparaged. It is due to that the message of the text was interpreted to be too unyielding to historiographic narrations, and it is also because that the ecclesiastical decorum of the document was not content to meet with any religious studies. Another reason of the convictions came from the appropriation by the Confucian myth that regards the Christian missionaries as the Chinese emperor’s favorites, the mandarin scholars’ intellectual challengers, and the confucian annotators’ dissents. As a result, the East Asian superiority complex has been weighing down the honors of Jesuit works of Catholicism, and trying to hide their books of Christianity to the add-ons under the Confucian classics. This study was intended to try to recuperate the grandeur of Catholic mission from the anti-Catholic alterations, and to illuminate the missionary’s devotional hopes and expectations on the Asian Confucian nations. In 1623, Rev. Longobardo composed a long report in Portuguese in order to solve the troubles in the process of Chinese Catholic inculturation. Much to the regret, his official ecclesiastical account of the terminological discrepancies was partially accepted, and to be banned after the missionary conference at Jiading in 1627. Later, it was found and translated in Latin at first, and then in French. However, the title of the French version was misconstrued so that the readers of it were all mixed up the identity of the text until they found the other language versions to match with. Comparing with the English version in 1732 and the Japanese version in late 1990s both, this study fully examined the several figurative and theological discords between Catholicism and Confucianism represented in the report of French version in 1768. The probe of this thesis helps the Christian readers to find that the theme of the report is not on the putative scholar’s arguments but the sanctified apostolic duties by Jesuits. This paper shows that Longobardo’s Chinese mission should not be reproduced by the partisan ‘accomodationism’ but by the apostolic ‘accommodation’ in that the Sicilian missionary highly esteemed the local traditions in his critical appraisals of the Confucian Classics and the sedate discussions with the Chinese scholars whether they converted or not. Thus this research clarifies that the call of the missionary report by Longobardo in the early modern China achieves a spiritual renewal, as is the case, that his holy commitment to uproot the idolatry and superstition succeeded especially in prompting and initiating the de-facto Catholic Church in late 18th century Korea under Confucianism. His missionary work still assigns the East Asian Catholics to the roles in the devotional practices in their own places and time.

more

초록/요약

근세 재중 예수회 선교 보고서 “Traité sur quelques points de la religion des Chinois, 1768” 연구 –니콜로 롱고바르도 신부와 어둠의 정화– 근세 예수회 동아시아 선교 사제 니콜로 롱고바르도와 그의 문헌은, 전체가 아닌 파편들로 회자(膾炙)되면서, 사실과 다른 추정에 의하여 오인(誤認)되었고, 이에 따라 부적응과 반동의 기표로 외면 받으며, 신학의 명제와 사학의 과제 밖으로 추방되어 있다. 이는 단순히 특정 선교사와 그의 저술에 대한 폄훼로 그치지 않고, 예수회의 근세 동아시아 선교를, 가톨리시즘과 유교 전통 간의 ‘우연한 만남’으로 전유하거나, 선교사들의 지적 도전과 유학자들의 방어 및 변용 기재로 환원시키고, 신하로서의 선교사와 주군인 중국 황제 간의 조우(遭遇) 매체로 왜곡하는 이상 형질의 담론들을 부산물로 제조한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이 변용되고 있는 선교의 위의(威儀)를 제자리로 되돌려놓고, 선교사의 헌신과 갈망을 여기 지금의 시선으로 조명하고자 시도되었다. 60년에 가까운 세월을 중국에서 활약하고 그곳에서 선종한 롱고바르도 신부는 복음화 현장의 난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1623년 포르투갈어로 사목보고서를 작성했다. 이 문헌은 1627년 가정(Jiading 嘉定)에서 열린 선교사들 간의 회의 후 폐기된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1701년 「중국종교론」이라는 변개(變改)된 제목으로 불어본이 출간 되면서, 400여 년간 교회 안팎에서 다양한 파장을 불러왔다. 본 연구는 이 사목보고서의 불어본을 국내 최초로 완역(完譯)한 후, 1701년에 초역된 1768년판 불어본과, 1704년에 초역된 1732년판 영어본을, 그리고 1990년대 말에 출간된 일어본을 대조 및 교차 검증하면서, 본 문헌의 장르적 특성과 논지의 전개를 면밀히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롱고바르도 신부의 사목보고서가 학제적 논쟁거리가 아니라 선교지 현장을 향한 사목적 실천과 배려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한다. 본 연구는 이 과정에서 롱고바르도 신부의 중국 복음화가 사목보고서를 관통하는 유학의 고전서적들 및 당대 유자들과의 심도 있는 독본과 대담에 기초했음을 해설하고, 동아시아 선교 사제 니콜로 롱고바르도 신부의 이와 같은 사목 실천이 소위 반(反) 리치 노선도 아니었으며, 근본주의와 같은 라틴어 문화권 주도 입장의 발로(發露)나 ‘선교지 권력 굴복(accomodationism)’이 아닌 ‘현지 전통 존중(accommodation)’에 노정(路程)하고 있음을 공증한다. 본 연구는 롱고바르도 신부의 사목보고서가 글자와 소리 혹은 기표(記表)에의 집착이 아니라, 그리스도교 영성의 성장을 가로막는 관념의 기의(記意)들을 걷어내는 영성적 객토(客土)의 과정이었음을 드러내고, 이는 가톨릭교회의 조선 복음화 역사의 연장선에서 동시대 교회 안팎에서도 여전히 유의미한 실천 과제임을 제안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