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노동자를 위한 ARCS모형 기반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초록/요약
본 연구는 감정노동자를 대상으로 ARCS모형 기반의 효과적인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은 자기감정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의 3가지 요인을 토대로 구성되었으며, ARCS모형의 교수 세부전략을 활용하여 학습에 대한 흥미와 주의집중을 높이며 동기부여와 적극적인 참여를 유발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자기감정조절능력은 ABC기법을 통한 상황별 스토리텔링으로 체득화 하고, 대인관계능력은 격려와 지지 기반의 사회적인 관계 향상을 통하여 도모하고, 긍정성은 감사 나눔 실천의 감사복권과 감사일기를 작성해 봄으로써 본 프로그램의 대표적인 활동들을 실시하였다. 목표수립, 프로그램 구성, 예비연구, 프로그램 실시 단계를 거쳐 최종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으며, 이후 적용 및 평가가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적용 후 감정노동자들의 회복탄력성, 감정소진,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여 대응표본 t-test로 프로그램 참여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한 결과, 첫째, 감정노동자의 회복탄력성(자기감정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에 있어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둘째, 감정소진(감정고갈, 탈인격화, 개인 성취감 저하)에 있어서도 사전과 사후 간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직무스트레스 일부요인(역할갈등, 역할과부하)에 있어서도 사전과 사후 검사 결과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감정노동자를 대상으로 ARCS 모형을 활용한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을 적용한 사례로 감정노동자의 내면에 마음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향후 감정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내면의 마음관리인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개발되고 실행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study is to develop an effective resilience program based on the ARCS model for emotional workers. The program consisted of three elements, self-emotional 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ositive attitudes, and detailed instructional strategies based on the ARCS model. Self-emotional control was acquired through situation based storytelling using ABC techniqu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acquired by promoting relationships with encouragement and support, and positive attitudes were nurtured through promoting thankfulness. After developing this program through the stages of goal-setting, program-building, preliminary research, and implementation, the researcher measured resilience, burnout, and job stress levels of the 51 emotional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Pre and post-participation scores were compared by paired t-tests. As a result,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program pre and post test scores for resilience scores (self-emotional 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ositive attitud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test scores for burnout scores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diminished personal accomplishment). Finally,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test results in some factors of job stress (role conflict, role overload). The value of this study lies in developing a resilience program based on the ARCS model for emotional workers, with the effect of nurturing their emotional management skills.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resilience program will be actively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emotional workers in the future.
more